주제: 합목적성 개념의 논리적 내용에 대하여 일시: 2023년 9월 22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한동백(회원) 인류가 자기 외부 세계를 합목적적으로 활용하여 삶을 영위한다고 할 때 합목적적 활동의 근거가 도대체 무엇인가는 문제는 현재까지도 관념론과 유물론이 첨예하게 부딪히는 지점입니다. 관념론자들은 그것을 그저 외부 세계와...
연구토론회
[노사과연 8월 연구토론회] 현대제국주의와 소위 ‘다극체제’의 세계상(世界像)에 대하여
주제: 현대제국주의와 소위 ‘다극체제’의 세계상(世界像)에 대하여
일시:2023년 8월 25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채만수(소장)
[노사과연 7월 연구토론회] 한국 환경운동의 역사와 쟁점
주제: 한국 환경운동의 역사와 쟁점 일시: 2023년 7월 28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박한솔(청년위원장) 지난 주말 전국을 덮친 물난리는 ‘오송 지하차도 참사’로 대표되는 인명 피해로 이어졌습니다. 기후위기가 모든 인류, 특히 가장 열악한 처지에 놓인 노동자 민중을 파멸적인 재앙으로 몰아넣고 있습니다. 거듭된 환경...
[노사과연 6월 연구토론회] 위안화를 통한 원유 결제와 제국주의 질서의 변동
주제: 위안화를 통한 원유 결제와 제국주의 정치 일시: 2023년 6월 23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전우재(회원) 중국은 원유를 위안화로 결제하려 합니다. 이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만들고자 하는 계획입니다. 둘째, 중동 시장을 공략하고자 하는 전략입니다. 중국의 이 두 가지 목표가...
[노사과연 5월 연구토론회] 윤석열 정권의 노동정책과 노동에 대한 자본의 선제공격
주제: 윤석열 정권의 노동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대응방안 일시: 2023년 5월 26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김태균(연구위원) 윤석열 정권의 노동정책은 노동시간, 임금체계, 노사정 위원회 관련으로 압축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이미 한국의 노동시장이 자본의 입장에서 크게 건드릴 것이 없을 정도로 유연화되어 있다는 것을...
[노사과연 4월 연구토론회] 도로 민주노동당인가 노동자계급의 사회주의 정당인가?
주제: 민주노총 정치방침과 노동자계급의 정치세력화 일시: 2023년 4월 28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박문석(연구위원) 민주노총이 2024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선거방침에 대해 논의 중입니다. 추상적인 내용의 ‘진보정당을 통한 정치세력화’의 표방은 과거의 실패의 경험을 교훈삼지 못하고 있습니다. 체제내적 개량에 머물고자 하는...
[노사과연 3월 연구토론회] 윤석열 정권의 공안탄압과 국가보안법 폐지 투쟁
주제: 윤석열 정권의 공안탄압과 국가보안법 폐지 투쟁 일시: 2023년 3월 18일(토) 오후 1시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조명제(회원) 윤석열 정권의 노동자 탄압과 공안몰이가 날로 광폭해지고 있다. 권력을 움켜쥐자마자 작동하는 파쇼적 통치 행태는 모두의 예상에 한 치의 빗나감도 없다. 과잉생산으로 인해 이윤확보의 한계에 다다른 독점자본은...
[노사과연 2월 연구토론회] 윤석열 정권 하에서 청년운동의 대응과 전략
주제: 윤석열 정권 하에서 청년운동의 대응과 전략 일시: 2023년 2월 24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박한솔(청년위원장) 청년운동은 변혁운동이며, 변혁운동의 본질은 계급투쟁입니다. 80년대 청년운동이 혁명이라는 뚜렷한 지향을 공유하고 있었던 것도, 청년운동은 궁극적으로 계급투쟁의 일환임을 당시 청년운동 주체들이...
[노사과연 1월 연구토론회] 주체와 자연사적 과정
주제: 주체와 자연사적 과정 1ㅣ 일시:2023년 1월 27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한동백(회원) 주체적인 삶은 진보적이고 자주적인 삶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물질적 관계인 자연과 사회를 어떻게 타성에 휘둘리지 않으면서 개조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문제로 나서게 됩니다. 주체는 그 객관적인 토대를 지니며, 자연사적 과정의...
[노사과연 12월 연구토론회] 윤석열 정권의 노동운동 탄압과 노동자계급의 대응방향
주제: 윤석열 정권의 노동운동 탄압과 노동자계급의 대응방향 일시: 2022년 12월 29일(목)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김태균(연구위원) 모든 것이 과잉 생산되고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이라는 ‘쓰리고 세상’은 노동자 민중을 나락으로 내몰고 있다. 자본가계급의 정권인 윤석열 정권은 자본주의의 생산의 무정부성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노사과연 11월 연구토론회] 독점자본의 위기와 인플레이션
주제: 독점자본의 위기와 인플레이션 일시: 2022년 11월 25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지하철 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조명제(부산지회 회원) 자본주의적 생산의 고도화는 또한 자본주의적 생산 모순의 고도화입니다. 우리는 늘 벌어지는 그 모순의 본질을 애써 선전 선동합니다. 그러나 지배계급이 ‘정신적 수단’을 장악하고 있어...
[노사과연 10월 연구토론회] 변증법적 유물론과 자유
주제: 변증법적 유물론과 자유 일시: 2022년 10월 28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한동백(회원) 쏘련 해체 후 세계에 대한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의 규정력이 가일층 강화되면서 자유 개념에 대한 몰이해도 현격히 심화되었습니다. 오늘날 유물론적 세계관의 자유로서 “인식된 필연성으로서의 자유” 개념 대신 자유의지론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