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백 | 회원 [차례] 머리말 1. 마흐주의ㆍ아베나리우스주의란 무엇인가? 1-1. 세계 요소 1-2. 원리적 동격 1-3. 경험일원론 2. 감각소여이론과 주관주의적 논리학 3. “감각소여이론을 극복한” 감각소여이론의 변종 3-1. L. J. J. 비트겐슈타인 3-2. W. V. O. 콰인 결론: 철학의...
이론
[이론] 새로운 비합리주의 (하)
존 벨라미 포스터(John Bellamy Foster) | ≪먼쓸리 리뷰(Monthly Review )≫ 편집장 번역: 신재길(교육위원장) * John Bellamy Foster, “The New Irrationalism”, Monthly Review, Vol. 74, No. 9(February 2023). <; [차례] 1. 서론 2. 역사 속의 비이성 3. 비합리주의의...
[이론] 마흐주의ㆍ아베나리우스주의의 변종들에 대하여 (상)
한동백 | 회원 [차례] 머리말 1. 마흐주의ㆍ아베나리우스주의란 무엇인가? 1-1. 세계 요소 1-2. 원리적 동격 1-3. 경험일원론 2. 감각소여이론과 주관주의적 논리학 ㆍㆍㆍ <이번 호에 게재된 부분> 3. “감각소여이론을 극복한” 감각소여이론의 변종 3-1. L. J. J. 비트겐슈타인 3...
[이론] 새로운 비합리주의 (상)
존 벨라미 포스터(John Bellamy Foster) | ≪먼쓸리 리뷰(Monthly Review)≫ 편집장 번역: 신재길(교육위원장) * John Bellamy Foster, “The New Irrationalism”, Monthly Review, Vol. 74, No. 9(February 2023). <; [차례] 1. 서론 2. 역사 속의 비이성 ...
[이론] 합목적성 개념의 논리적 내용에 대하여
한동백 | 회원 1. 머리말 자연과 사회의 합법칙성을 활용하여 자신의 이해에 맞게 각각을 개변하고자 하는 의지를 합목적적 의지(zweckmäßiger Wille)라고 하며, 이러한 의지를 현실적으로 발현하는 것을 합목적적 활동(zweckmäßige Tätigkeit)이라고 한다. 합목적적 활동은 크게 외적 합목적성에 의해 추동되는 타성적 활동으로서의 합목적적 활동, 그리고...
[이론] ‘노동력의 위축된 재생산’에 따른 저출산 및 인구감소
― ‘인구학 권위자’ 조영태의 ≪인구, 미래, 공존≫ 비판 김조일 | 회원 서론 ≪어벤져스 엔드게임≫이라는 미국 히어로물 영화에서는 ‘타노스’라는 악당이 등장한다. 타노스는 외계인으로서, 자신의 고향이 인구과잉으로 몰락하는 것을 보고 우주의 항구적인 평화와 안녕을 위해서는 우주 전체의 인구의 절반을 날려 버려야겠다는 굳센 신념을 가지게 된다. 이 타노스라는 악당의 견해는...
[이론] 파씨즘국가와 통일전선(2)―혁명 전술(방법)로서의 통일전선
권정기 | 편집위원 필자는 지난 ≪정세와 노동≫ 제187호(2023년 1월)에서 “파씨즘국가”에 대해 다루었다. 이번 호에는 “반파씨즘 통일전선”에 대해 다룬다. 1. 전술로서의 통일전선 일반적으로 통일전선은 여러 계급들, 혹은 그 계급의 분파들이, 공동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조직의 독자성을 유지한 채, 연합하여 공동의 적에 맞서는 것을 의미한다...
[이론] 파씨즘국가와 통일전선(1)―혁명전술(방법)로서의 통일전선
권정기 | 편집위원 1. 윤석열정권 ― 노동자·민중에 대한 저돌적 공세를 시작하다 윤석열정권이 파씨즘국가로 치닫고 있다. 화물연대파업을 “업무개시명령”으로 진압했다. 법이라는 폭력으로 노동자에게 강제노동을 시킨 것이다. 여세를 몰아, 파업 중 손실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하여 화물연대를 와해시키려 하고 있다. 공세는 민주노총에까지 이르고 있다. “귀족노조” 공세로...
[이론] 주체와 자연사적 과정
한동백 | 회원 적지 않은 사람들은 흔히 자기의 활동이 순전히 환경을 초월한 자신 의지의 활동인 것처럼 생각하곤 한다. 따라서 인간 활동에 대한 통속적인 이해는 항상 타인의 불행, 또는 타인의 ‘성공’이 오로지 독립된 의지인 노력의 결과로서 좌우된다는 생각을 전혀 의심하지 않고 내면화하는 원인이 된다. 인간의 활동과 사회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의 가장 비극적인 형태는 사회 모순에...
[이론] 소비에트 민주주의
신재길 | 교육위원장 * 이 글은 가칭 ‘포럼’ 정례 토론회에서 발표한 글입니다. 1. 쏘비에트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레닌은 쏘비에트 민주주의를 ‘새로운 방식의 민주주의’라 했다. 새로운 방식의 민주주의는 첫째. 무권리 상태에 있거나 단지 형식적인 권리만을 갖고 있던 대다수 인민에게 자신의 이해를 대변하는 인민의 권력기관을 구성하고 이들의 활동을 통제하는 데 참여할 수...
[이론] 탈성장을 어떻게 볼 것인가
박한솔 | 회원, 민주노총 제주본부 선전홍보부장 * 이 글은 ‘평등교육실현을위한 학부모회’와 ‘현장과 광장’이 주최한 2022 기획 강좌 “기후 ‘위기’가 아니라 재앙이다”에서 발표한 글이다. ‘탈성장’은 무엇을 말하는가 지난 몇 년 사이 이른바 ‘탈성장’ 담론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탈성장이란 그 단어에서 짐작할 수 있듯 ‘성장지상주의로부터 벗어나자’는 주장이다...
[이론] 현대제국주의(신제국주의)의 기원과 특성
신재길 | 교육위원장 * 이 글은 가칭 ‘포럼’ 정례 토론회(9월)에서 발표한 글이다. 1. 현대제국주의(신제국주의)의 성격 신제국주의는 현대경제의 세계화와 금융화의 조건하에서 독점자본주의의 특수한 역사적 발전단계이다.[1]Cheng Enfu, Lu Baolin and Yu Shichao, “Five Characteristics of Neoimperi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