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사회과학연구소

연구토론회

[노사과연 9월 연구토론회] 합목적성 개념의 논리적 내용에 대하여

주제: 합목적성 개념의 논리적 내용에 대하여   일시: 2023년 9월 22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한동백(회원)   인류가 자기 외부 세계를 합목적적으로 활용하여 삶을 영위한다고 할 때 합목적적 활동의 근거가 도대체 무엇인가는 문제는 현재까지도 관념론과 유물론이 첨예하게 부딪히는 지점입니다. 관념론자들은 그것을 그저 외부 세계와...

[노사과연 7월 연구토론회] 한국 환경운동의 역사와 쟁점

주제: 한국 환경운동의 역사와 쟁점   일시: 2023년 7월 28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박한솔(청년위원장)       지난 주말 전국을 덮친 물난리는 ‘오송 지하차도 참사’로 대표되는 인명 피해로 이어졌습니다. 기후위기가 모든 인류, 특히 가장 열악한 처지에 놓인 노동자 민중을 파멸적인 재앙으로 몰아넣고 있습니다. 거듭된 환경...

[노사과연 6월 연구토론회] 위안화를 통한 원유 결제와 제국주의 질서의 변동

  주제: 위안화를 통한 원유 결제와 제국주의 정치   일시: 2023년 6월 23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전우재(회원)   중국은 원유를 위안화로 결제하려 합니다. 이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만들고자 하는 계획입니다. 둘째, 중동 시장을 공략하고자 하는 전략입니다. 중국의 이 두 가지 목표가...

[노사과연 5월 연구토론회] 윤석열 정권의 노동정책과 노동에 대한 자본의 선제공격

주제: 윤석열 정권의 노동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대응방안   일시: 2023년 5월 26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김태균(연구위원)     윤석열 정권의 노동정책은 노동시간, 임금체계, 노사정 위원회 관련으로 압축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이미 한국의 노동시장이 자본의 입장에서 크게 건드릴 것이 없을 정도로 유연화되어 있다는 것을...

[노사과연 4월 연구토론회] 도로 민주노동당인가 노동자계급의 사회주의 정당인가?

주제: 민주노총 정치방침과 노동자계급의 정치세력화   일시: 2023년 4월 28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박문석(연구위원)   민주노총이 2024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선거방침에 대해 논의 중입니다. 추상적인 내용의 ‘진보정당을 통한 정치세력화’의 표방은 과거의 실패의 경험을 교훈삼지 못하고 있습니다. 체제내적 개량에 머물고자 하는...

[노사과연 3월 연구토론회] 윤석열 정권의 공안탄압과 국가보안법 폐지 투쟁

주제: 윤석열 정권의 공안탄압과 국가보안법 폐지 투쟁   일시: 2023년 3월 18일(토) 오후 1시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조명제(회원)   윤석열 정권의 노동자 탄압과 공안몰이가 날로 광폭해지고 있다. 권력을 움켜쥐자마자 작동하는 파쇼적 통치 행태는 모두의 예상에 한 치의 빗나감도 없다. 과잉생산으로 인해 이윤확보의 한계에 다다른 독점자본은...

[노사과연 2월 연구토론회] 윤석열 정권 하에서 청년운동의 대응과 전략

주제: 윤석열 정권 하에서 청년운동의 대응과 전략   일시: 2023년 2월 24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박한솔(청년위원장)       청년운동은 변혁운동이며, 변혁운동의 본질은 계급투쟁입니다. 80년대 청년운동이 혁명이라는 뚜렷한 지향을 공유하고 있었던 것도, 청년운동은 궁극적으로 계급투쟁의 일환임을 당시 청년운동 주체들이...

[노사과연 1월 연구토론회] 주체와 자연사적 과정

  주제: 주체와 자연사적 과정 1ㅣ 일시:2023년 1월 27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한동백(회원)   주체적인 삶은 진보적이고 자주적인 삶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물질적 관계인 자연과 사회를 어떻게 타성에 휘둘리지 않으면서 개조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문제로 나서게 됩니다. 주체는 그 객관적인 토대를 지니며, 자연사적 과정의...

[노사과연 12월 연구토론회] 윤석열 정권의 노동운동 탄압과 노동자계급의 대응방향

주제: 윤석열 정권의 노동운동 탄압과 노동자계급의 대응방향   일시: 2022년 12월 29일(목)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김태균(연구위원)     모든 것이 과잉 생산되고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이라는 ‘쓰리고 세상’은 노동자 민중을 나락으로 내몰고 있다. 자본가계급의 정권인 윤석열 정권은 자본주의의 생산의 무정부성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노사과연 11월 연구토론회] 독점자본의 위기와 인플레이션

주제: 독점자본의 위기와 인플레이션   일시: 2022년 11월 25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지하철 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조명제(부산지회 회원)     자본주의적 생산의 고도화는 또한 자본주의적 생산 모순의 고도화입니다. 우리는 늘 벌어지는 그 모순의 본질을 애써 선전 선동합니다. 그러나 지배계급이 ‘정신적 수단’을 장악하고 있어...

[노사과연 10월 연구토론회] 변증법적 유물론과 자유

  주제: 변증법적 유물론과 자유   일시: 2022년 10월 28일(금) 저녁 7시 반   장소: 노사과연 강의실(1호선 대방역 근처)   발표자: 한동백(회원)     쏘련 해체 후 세계에 대한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의 규정력이 가일층 강화되면서 자유 개념에 대한 몰이해도 현격히 심화되었습니다. 오늘날 유물론적 세계관의 자유로서 “인식된 필연성으로서의 자유” 개념 대신 자유의지론 또는...

연구소 일정

9월

10월 2023

11월
1
2
3
4
5
6
7
10월 일정

1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2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3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4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5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6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7

일정이 없습니다
8
9
10
11
12
13
14
10월 일정

8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9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10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11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12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13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14

일정이 없습니다
15
16
17
18
19
20
21
10월 일정

15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16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17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18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19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20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21

일정이 없습니다
22
23
24
25
26
27
28
10월 일정

22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23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24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25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26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27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28

일정이 없습니다
29
30
31
1
2
3
4
10월 일정

29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30

일정이 없습니다
10월 일정

31

일정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