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공산당 중앙위원회 국제 관계 부문 번역: 신재길(교육위원장) * International Relations Section of the CC of the Communist Party of Mexico, “Note on the “World Anti-Imperialist Platform” Meeting in Caracas”, In Defense of Communism, 2023...
글쓴이 - 신재길 교육위원장
[번역] 여성 노동자는 자본주의에서 착취, 억압, 빈곤 외에는 아무것도 얻을게 없다
유럽 공산주의 구상 사무국 번역: 신재길(교육위원장) * Secretariat of the European Communist Initiative, “Capitalism has nothing to offer working women except exploitation, oppression and poverty”, In Defense of Communism, 2023. 3. 9...
[정세] 현대 자본주의(국제독점자본주의)의 붕괴와 대공황의 징후들
신재길 | 교육위원장 현재 진행되는 경제 정세는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해야 이해될 수 있다. 1. 현대 자본주의(국제독점자본주의)의 구조적 특징과 취약성 국제독점자본주의는 현대 자본주의의 ‘세계화’와 ‘금융화’의 조건하에서 독점자본주의의 특수한 역사적 발전 단계이다. 국제독점자본주의는 1970년대 초 국제적인 금-달러화 교환 정지[1][편집자 주] 1971년 8월 15일...
[번역] 쏘련에서의 농업 정책의 제 문제에 대하여(1)
― 맑스주의적 농업 문제 연구자 회의에서 한 연설 이오씨프 쓰딸린(Иосиф Сталин) 번역: 신재길(교육위원장) * 1929년 12월 20일부터 27일까지 쏘련 중앙집행위원회의 공산주의 아카데미가 소집한 농업 문제에 대한 맑스주의 연구자들의 전 연방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 과학 연구 기관, 농업 대학 및 경제 대학, 잡지사 및 신문사 대표 등 302명이 참가하였다. 쓰딸린은...
[자료] 중국,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의 후퇴
신재길 | 교육위원장 * 이 글은, 지난 2월 16일에 진행되었던 <(가칭) 포럼>의 2월 정례 토론회 “중국은 사회주의인가?”에서 발표되었던 글입니다. 1. 중국 사회 성격을 바라보는 입장 중국 사회 성격에 대한 견해는 구쏘련의 네프와 같은 사회주의로 이행하는 과도기로 보는 견해와 완전한 자본주의로 보는 견해로 크게 대립된다. 그리고 자본주의로 보는 견해에는...
[번역] 보고서 ≪우리 당의 사회민주주의 경향에 대하여≫에 관한 토론의 결론(6)
이오씨프 쓰딸린(Иосиф Сталин) 번역: 신재길(교육위원장) [차례] 1. 몇 가지 일반적 문제 1) 맑스주의는 교조가 아니라 행동의 지침이다 2) 프롤레타리아 독재에 대한 레닌의 몇 가지 의견 3) 자본주의 국가에서 발전의 불균등성 2. 까메네프는 뜨로쯔끼의 길을 닦아 주고 있다 3. 믿기 어려운 혼란, 또는 혁명성과 국제주의에 대한 지노비예프의 견해 4...
[특집: 쏘련 건국 100주년] 쏘련 붕괴의 원인―로저 키란ㆍ토마스 케니의 ≪배반당한 사회주의≫를 중심으로
신재길 | 교육위원장 * 이 글은, 지난 1월 19일에 열린, <가칭 ‘포럼’>의 2023년 1월 정례 토론회 ‘소련 붕괴 원인에 대한 다양한 견해’에서 발표된 것입니다. 이 글은, 로저 키란(Roger Keeran)과 토마스 케니(Thomas Kenny)가 저술한 ≪배반당한 사회주의: 쏘련 붕괴의 배후(Socialism Betrayed: Behind the...
[정세] 경제 위기의 예상 경로와 노동자ㆍ민중의 대응 자세
신재길 | 교육위원장 * 이 글은, 지난해 11월 26일, <노동전선>이 주최한 토론회 ‘격동하는 정세, 어떻게 투쟁할 것인가―정세 진단과 투쟁(활동) 방향’에서 발표된 것입니다. 1. 달러 경제의 딜레마 현재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달러 지배 체제가 딜레마에 빠지고 있다.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잡고자 하는 목적이다. 인플레이션은 달러 가치의 하락을...
[번역] 보고서 ≪우리 당의 사회민주주의 경향에 대하여≫에 관한 토론의 결론(5)
이오씨프 쓰딸린(Иосиф Сталин) 번역: 신재길(교육위원장) [차례] 1. 몇 가지 일반적 문제 1) 맑스주의는 교조가 아니라 행동의 지침이다 2) 프롤레타리아 독재에 대한 레닌의 몇 가지 의견 3) 자본주의 국가에서 발전의 불균등성 2. 까메네프는 뜨로쯔끼의 길을 닦아 주고 있다 3. 믿기 어려운 혼란, 또는 혁명성과 국제주의에 대한 지노비예프의 견해 4...
[번역] 보고서 ≪우리 당의 사회민주주의 경향에 대하여≫에 관한 토론의 결론(4)
이오씨프 쓰딸린(Иосиф Сталин) 번역: 신재길(교육위원장) [차례] 1. 몇 가지 일반적 문제 1) 맑스주의는 교조가 아니라 행동의 지침이다. 2) 프롤레타리아 독재에 대한 레닌의 몇 가지 의견 3) 자본주의 국가에서 발전의 불균등성 2. 까메네프는 뜨로쯔끼의 길을 닦아 주고 있다. 3. 믿기 어려운 혼란, 또는 혁명성과 국제주의에 대한 지노비예프의 견해 4...
[이론] 소비에트 민주주의
신재길 | 교육위원장 * 이 글은 가칭 ‘포럼’ 정례 토론회에서 발표한 글입니다. 1. 쏘비에트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레닌은 쏘비에트 민주주의를 ‘새로운 방식의 민주주의’라 했다. 새로운 방식의 민주주의는 첫째. 무권리 상태에 있거나 단지 형식적인 권리만을 갖고 있던 대다수 인민에게 자신의 이해를 대변하는 인민의 권력기관을 구성하고 이들의 활동을 통제하는 데 참여할 수...
[이론] 현대제국주의(신제국주의)의 기원과 특성
신재길 | 교육위원장 * 이 글은 가칭 ‘포럼’ 정례 토론회(9월)에서 발표한 글이다. 1. 현대제국주의(신제국주의)의 성격 신제국주의는 현대경제의 세계화와 금융화의 조건하에서 독점자본주의의 특수한 역사적 발전단계이다.[1]Cheng Enfu, Lu Baolin and Yu Shichao, “Five Characteristics of Neoimperi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