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인 | 편집출판위원장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1922년 12월 30일, 낫과 망치로 상징되는 붉은 깃발을 높이 휘날리며, 쏘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쏘련)이 건국되었습니다. 이를 기념하며, 이번 호는 “쏘련 건국 100주년”을 <특집>으로, 모두 5편의 원고를 실었습니다. 먼저, “쏘련 건국 100주년 기념 유럽 공산주의 구상의 화상 회의에서 그리스 공산당...
글쓴이 - 김해인 편집출판위원장
[편집자의 글] 우크라이나 전쟁…
김해인 | 편집출판위원장 이번 호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특집>으로 해서, <표지>와 <권두시>를 선정하고, 여러 원고들을 실었습니다. 먼저 그리스 공산당, 터키 공산당, 스페인 노동자 공산당, 멕시코 공산당 등이 주도하고, 전 세계 42개 공산당ㆍ노동자당 및 30개 공산주의 청년 조직들이 서명한 공동 성명, “우크라이나에서의 제국주의 전쟁을...
[편집자의 글] 반전ㆍ평화와 여성 해방
김해인 | 편집출판위원장 <정세>에는 현 정세를 개관하고 있는 권정기 전 소장의 “부자천국 인민지옥―더불어민주당이 대선에서 고전하는 이유”를 실었습니다. <현장>에는 은영지 회원의 “[소성리 소식] 저들만의 선거판 끝장내야”가 이어집니다. <번역>에는 2편의 글을 실었는데, 먼저 쓰딸린의 “우리 당의 사회민주주의 경향에 대하여―쏘련 공산당(볼)...
[편집자의 글] 돈을 먹고 사는 게 아니다
김해인 | 편집출판위원장 이번 호는 “쏘련 사회주의에 대하여”라는 제하의 <특집>으로, 모두 5편의 글을 실었습니다. “쏘련을 원래 자리로 되돌려, 혁명적 전망을 살려 내자!―≪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를 읽고”에서 임장표 동지는, 장상환 교수가 번역한 리오 휴버먼의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에서 제21장이 누락된 것의 의미를 이야기하며, 이 점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의 글] 택수곤(澤水困)
김해인 | 편집출판위원장 세상이 온통 선거 이야기로 도배되고 있어서, “정신적 테러”에 시달리고 계실 회원ㆍ독자 여러분들께 조금이나마 위안이 될 수 있으면 하는 마음을 담아, 선거를 풍자하고 있는, 하인리히 하이네의 “당나귀 선거”를 <권두시>로 실었습니다. 이 시에서 하이네는, 19세기 독일의 민족주의자들을 비판하고 있는데, 원래 내용대로 읽으며, 우리도 결코...
[편집자의 글] 극세척도(克世拓道)
김해인 | 편집출판위원장 이번 호(2021년 11/12월 합본호)는, “10월 사회주의 대혁명 104주년”을 <특집>으로 하여, <표지>로 샤갈의 ≪혁명≫을 선정했고, <권두시>로 마야꼬프쓰끼의 “혁명 송시”를 번역해 실었습니다. 그리고 지난 11월 3일 일본 도꾜에서 열린 ‘러시아 10월 사회주의 혁명 104주년 기념집회’에 보내는 운영위원회의...
[특집: 권두시] 혁명 송시
블라지미르 마야꼬프쓰끼(Влади́мир Маяко́вский) 번역: 김해인(편집출판위원장) * 이 시의 원제는 “오다 레볼류찌(Ода революции)”입니다. The Fundamental Digital Library of Russian Literature and Folklore에 등재되어 있는 러시아어 원문을 대본으로 번역하였습니다. 원문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서 확인하실 수...
[편집자의 글] 전쟁과 평화
김해인 | 편집출판위원장 최근 ‘종전 선언’ 협상에 관한 언론 보도들이 흘러나오는 가운데, 70여 년 전 이 땅에서 벌어진 잔혹했던 전쟁의 기억을 잊지 말자는 의미를 담아, “전쟁과 평화”라는 제하의 <특집>을 준비했습니다. 고희림 편집위원의 <권두시> “페터 바이스의 극 ≪베트남 토론≫에 나오는 미국 의회 기록 몇 가지”는 베트남에 대한 미 제국주의의...
[편집자의 글] 이번 호는 크게 세 부분으로…
김해인 | 편집출판위원장 이번 호는 크게 세 부분―‘아프가니스탄’, ‘현장’, ‘변증법적 유물론ㆍ사적 유물론’―으로 준비했습니다. 먼저 “아프가니스탄의 과거와 현재”라는 제하의 <특집>에는 모두 네 편의 번역 기사를 실었습니다. 그중 매럴린 벡텔의 “아프가니스탄의 사회주의 시기―미 제국주의가 절멸한 전도유망했던 미래”와 지미 저먼의 “배신당한 혁명”은 아프간의...
[특집: 아프가니스탄의 과거와 현재] 배신당한 혁명
지미 저먼(Jimmy German) 번역: 김해인(편집출판위원장) * 이 글은, 영국의 <혁명적 공산주의 그룹(Revolutionary Communist Group)>이 발행하는 신문 Fight Racism! Fight Imperialism! 제166호(2002년 4/5월)에 실린 Jimmy German의 “A revolution betrayed”를 번역한 것입니다...
[특집: 아프가니스탄의 과거와 현재]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새로운 상황에 대하여
그리스 공산당(Communist Party of Greece) 번역: 김해인(편집출판위원장) * 이 글은, 지난 8월 16일 그리스 공산당이 발표한 성명 “On the developments in Afghanistan”을 번역한 것입니다. 원문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미국, 나토, 그리고 그들의 동맹들의 제국주의적 간섭 이래 아프가니스탄에...
[편집자의 글] 혁명적 이론 없이, 혁명적 운동 없다
김해인 | 편집출판위원장 맑스는 “헤겔 법철학 비판. 서설”에서 “비판의 무기는 물론 무기의 비판을 대신할 수 없다. 물질적 힘은 물질적 힘에 의해 전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론 또한 대중을 사로잡자마자 물질적 힘으로 된다”라고 했습니다. 레닌은 ≪무엇을 할 것인가?≫에서 “혁명적 이론 없이는 혁명적 운동도 있을 수 없다”라고 했습니다. 이론과 실천의 통일에 관한 맑스와 레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