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사회과학연구소

<기획번역> 스딸린 바로 보기 (19)

루도 마르텐스(Ludo Martens)

 

기회주의에 대항한 스딸린

우리는 이제 거론할 수 있다: 어떻게 수정주의자인 흐루쇼프가 스딸린의 죽음 이후에 즉시 권력을 잡을 수 있었을까?

몇 가지 상황은, 일찍이 1951년에 스딸린은 당의 상태에 대해 심각하게 걱정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이전인 1945년에서 1950년까지, 그는 (전쟁 후의: 역자) 재건과 국제적 문제들에 집중해야만 했다.

1930년대의 부르주아적 경향

스딸린이 20-30년대에 싸워야만 했던 가장 중요한 부르주아적 경향은 뜨로츠끼주의(극좌익 수사로 은폐된 멘셰비끼주의), 부하린주의(사회 민주주의 일탈들), 나폴레옹주의(군부 내에서 군사주의 경향) 그리고 부르주아 민족주의였다. 이러한 네 가지 경향은 모두 1945년에서 1953년까지 계속하여 영향을 끼쳤다.

두 가지 드러난 예를 살펴보자.

전후에, 중앙위원회 선전부에서 일했던 체첸 출신의 젊은 공무원인 압두라크만 아브또르하노프(Abdurakhman Avtorkhanov)는 쏘련에서 미국으로 달아났다. 그의 사상적 경력은 30년대의 다양한 기회주의적 경향과 1945년 이후에 드러난 경향 사이의 연결고리를 보여준다: ‘정치적으로 나는 부하린의 추종자였다.’1)

그러나 그의 책인 ≪스딸린의 시대(The Reign of Stalin)≫에는, ‘10월 혁명의 사자(the lion)’이자, ‘레닌의 정치적 유언’에 따라, 부하린의 도움을 받아 공산당을 지휘했어야 했던 뜨로츠끼에 대한 찬양으로 가득차 있다.2) “뜨로츠끼는 그루지아 ‘민족주의자’의 친구였다.”3) 아브또르하노프는, 뜨로츠끼가 “유럽에서 가장 후진적인 농업 국가에 프롤레타리아 ‘사회주의’를 강제로 주입하는 시도”는 ‘소수의 불법적 사회주의자들에 의해서 전제적 독재로 퇴보할 것’이라고 생각하였음을 암시한다.4)

아브또르하노프는 주로 사회 민주주의 사상의 열성 지지자였다. 그는 ‘부하린파’가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분야 간의 자유 경쟁을 옹호했다고 생각했다: ‘사회주의적 중공업은 자유 경쟁을 통해 점차 자본주의적 부분을 제거할 것이다.’ … “누군가는 협동 농장의 농부들에게 ‘스스로 부자가 되시오’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협동 농장과의 경쟁을 견딜 수 없는 농촌의 쁘띠부르주아(꿀락들)는 점차 사라질 것이다.’5)

마침내, 아브또르하노프는 또한 부르주아 민족주의의 입장을 지지했다:

‘모든 국가 공화국 중에서 코카서스의 공화국들이 항상 분리주의적 경향을 가장 강력하게 보여주었다.’ …

‘1921년 쏘비에뜨가 무력에 의해 이곳의 국가들을 점령하자, 민주주의자와 독립 운동을 하는 빨치산들이 지하로 숨었다…. 코카서스에서는 민족주의 반란이 반복되었다.’6)

그래서 우리는 20-30년대에 사회주의를 위협하는 네 가지 주된 기회주의 경향에 동조를 표현하는 아브또르하노프를 본다: 뜨로츠끼주의, 부하린주의, 부르주아 민족주의와 군사주의. 마지막 경향(군사주의: 역자)에 대해 호의를 보이는 그의 이러한 견해들은 이 책의 7장에 나와 있다.

전쟁 중과 1945-1950년 동안의 아브또르하노프의 견해는 의미심장하다. 나찌의 침략을 언급하며, 그는 이렇게 적었다. ‘비록 히틀러의 승리라는 대가를 치른다고 할지라도, 인민의 90%가 은밀하게 생각하고 바라는 것은 … 스딸린의 종말이었다…. 독일 군인들이 1941년에 승리했던, 그들(쏘련 인민: 역자)을 위한 쏘련과의 전쟁을 나찌 친위대가 망쳐버렸다.’7) ‘독재자 히틀러는 단지 스딸린의 그림자에 지나지 않았다.’8)

히틀러와 얼마동안 시시덕거린 후, 단호한 반공주의자인 아브또르하노프는 결국 영국 및 미국 제국주의자들의 손아귀에 넘어갔다.

‘전쟁 초기 2년 동안 쏘련 인민들은 스딸린보다 히틀러를 선호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들(영국과 미국: 역자)은 서로 적대하는 독일과 러시아라는 두 적수를 가지고 놀 수 있는, 자신의 군대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역사상 만나기 힘든, 특별한 기회를 잡았다…. 히틀러가 그의 군대를 동쪽으로 향하게 했던 날에 그것이 가능해졌다….’

‘히틀러와 스딸린이 씨름하고 있을 때, 연합국들은 … 히틀러를 묻고 돌아온 군중들이 스딸린의 장례행렬을 따르도록 하는 일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했을 것이다.’9)

미국에서 좋은 대우를 받은 아브또르하노프는 미국 패권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고, 미국은 그가 ‘공산주의의 팽창’에 대항하여 싸우도록 장려했다.

‘레닌의 가르침에 충실한 스딸린은 … 세계 혁명에 모든 것을 걸었다…. 스딸린주의의 목적은 … 단일 정당에 의한 테러주의적 세계 독재를 수립하는 것이다.’10)

‘오늘날 모든 이들은 세계가 ― 스딸린주의인가 민주주의주의인가 ― 라는 양자택일에 직면하고 있음을 반드시 깨달아야 한다. 스딸린은 일생 동안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 세계 도처에서 그의 제5열을 동원하였다.’

그러나 아브또르하노프에 의하면, 미국의 대응책은 이러한 계획들을 쓸모 없게 만들 것이었다.

‘마침내, 스딸린주의라는 문제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이 있을 수 있다 ― 그것은 바로 전쟁이다.’11)

우리의 두 번째 예는 1930년대에 나폴레옹주의자들, 부하린주의자들, 부르주아 민족주의자들과 연계된 또까예프의 비밀조직과 관련된 것이다. 전후에도 그들의 활동은 계속되었다.

1947년, 또까예프는 독일의 칼스호르스트(Karlshorst)에 있었다. ‘매우 고위직의 동지’가 또까예프의 최근의 개인적 서류일체가 담긴 마이크로필름들을 가지고 왔다.

‘너무나 많은 것이 알려졌다…. 추적은 불편할 정도로 근접했다. 그리고 기소가 준비되었을 때, 기소장에는 1934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행위들이 적시될 것이다.’12) ‘1947년 말에 쏘련의 혁명적 민주주의자들은 자신들이 반드시 행동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노예로 연명하기 보다는 명예롭게 죽는 것이 낫다…. 우리는 자유주의적 경향의 정당들과 국외의 제2차 인터내셔널에 속한 정당들이 우리를 도울 것이라고 생각하길 좋아했다…. 우리는 유고슬라비아뿐만 아니라 폴란드, 불가리아, 헝가리와 발트해 국가들에까지도 민족주의적 공산주의자들이 있다는 것을 알았고, 비록 우리는 결코 공산주의자가 아니지만, 그들도 역시 그들이 도울 수 있는 곳에서 우리를 지원하리라는 것을 믿었다….’

‘그러나 내무부(국가 보안기관, MVD)가 승리했다. 우리는 기동하기에는 너무 느렸다. 우리는 다시 한 번 대재앙을 겪었다…. 체포가 시작되었고, 기소는 1934년의 끼로프의 암살까지 계속해서 거슬러 올라갔다…. 다른 이들은 1937년과 1940년의 나폴레옹주의자들의 음모와, 부르주아 민족주의, 1941년의 정권 전복을 위해 제출된 시도로 기소되었다. 그물망이 우리를 조여오면서, 나는 적어도 우리 기록의 일부라도 보호하라는 임무를 받았다.’13)

또까예프는 영국으로 도망간 뒤, 서방 언론에 일련의 글을 발표했다. 그는 쏘비에뜨 항공기 산업에 대해 파괴활동을 했던 것을 인정했고,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세계를 지배하려는 탐욕스러운 야망을 가진 내 동포들을 말리려고 하지 않은 것은 히틀러가 독일인들을 위해 준비한 운명으로 그들(쏘련 인민: 역자)을 밀어 넣어버리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세계를 지배하겠다는 것이 스딸린의 유일한 목표임을 서방이 이해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14)

쏘련의 부르주아 경향을 대표하는 두 인사인 아브또르하노프와 또까예프는 서방으로 도망간 뒤, 냉전 중에 영국 및 미국 부르주아지들의 가장 극단적인 입장을 지지했음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회주의에 맞선 투쟁의 약화

스딸린이 말년에 사회-민주주의 및 부르주아 민족주의 경향에 대항하고, 영국 및 미국의 파괴활동에 맞서 투쟁을 계속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투쟁이 사상 및 정치면에서 공산당을 교정하고 활기를 되찾게 하는 데 필요한 만큼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은 명백하다.

군사, 기술, 과학 분야 간부들의 비상한 전문적 효율이 필요했던 전쟁이 끝나면서, 군사적 전문주의와 기술 관료제라는 전통적 경향이 상당히 강화되었다. 관료주의화 및 특권과 안락한 삶을 추구하는 성향 또한 강화되었다. 이러한 부정적인 사태의 전개는 ‘성공으로 인한 현기증’으로 인해 조장되었다: 반파시스트 전쟁의 승리를 통해 간부들이 형성되었다는 굉장한 자부심은, 종종 건방과 오만함으로 변질되었다. 이러한 모든 현상은 기회주의 경향과 싸우기 위해 필요한 이데올로기 및 정치적인 경계심을 서서히 손상시켰다.

스딸린은 기회주의와 수정주의의 특별한 형태에 대항하여 투쟁했다. 그는 이데올로기의 범주에서 계급투쟁이 장기간 계속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는 이것의 (계급투쟁의: 역자) 기본 원리와 이것의 사회적인 토대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을 정식화하는 능력은 없었다. 바꿔 말하면, 그는 사회주의 사회에서 여러 계급들 및 계급투쟁이 어떻게 지속되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일관된 이론을 정식화할 수 없었다.

스딸린은 자본주의적, 봉건적 착취의 경제적 기초가 사라진 이후에, 쏘련에 부르주아 경향이 성장하는 비옥한 토양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을 완전하게 이해하지는 못했다. 관료주의, 기술 관료제, 사회적 불평등과 특권들은 쏘비에뜨 사회의 특정한 분야에서 부르주아적 생활 방식의 전개와 자본주의의 특정한 부분의 재도입에 대한 열망을 가능하게 했다. 대중들과 간부진들 모두에서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의 지속은 모든 분야가 반사회주의 입장으로 선회하는 것을 조장하는 추가적인 요소였다. 사회주의의 적들은 언제나, 간첩을 침투시키고 배신자를 매수하는 일을 결코 멈추지 않았던 제국주의에서 유래한 중요한 자원들과, 사상 및 물질적 자원들이 있었다; 제국주의는 쏘련 내부의 모든 형태의 기회주의를 활용하고 강화시키려는 그들의 노력을 결코 멈추지 않았다. ‘우리 쏘비에뜨 사회에는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의 지배를 위한 계급적 토대는 없으며, 있을 수도 없다.’는 스딸린의 논제는 편향적이며 비변증법적이었다. 그것은 정치 노선에서 약점과 오류를 초래했다.15)

스딸린은 과거로의 회귀라는 위험과 싸우기 위해 노동자와 꼴호즈 농부들을 대규모로 동원하는 적절한 형태를 정의할 수 없었다. 대중 민주주의는 관료주의, 기술 관료제, 야심, 특권들을 제거하려는 계획적인 목적하에서 발전했어야 했다. 그러나 프롤레타리아트 독재를 방어하기 위한 그러한 대중의 참여는 이루어졌어야 했던 것 만큼 확실하게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스딸린은 항상 부르주아지와 제국주의의 영향력이 기회주의 경향을 통해 공산당 내부에 반영된다는 것을 강조했다. 그러나 그는 공산당 내부의 두 노선 간의 투쟁에 대한 이론을 정식화할 수 없었다. 1939년, 대숙청을 요약하면서, 스딸린은 오직 ‘뜨로츠끼파와 부하린파 지도자들의 간첩 행위와 공모 행위’에만, 그리고 ‘부르주아 국가들이 … 인민들의 약점, 그들의 허영심, 그들의 의지박약을 이용한 방식에만 집중했다.’16)

스딸린은, 일단 (외국의: 역자) 정보기관에 의해 침투당한 후, 제국주의로 연결되는 여러 경로가 되었던 기회주의 경향을 만든 내부 원인을 명백하게 과소평가했다. 결과적으로, 스딸린은 기회주의 경향과 싸워 유해한 경향을 제거하기 위해 모든 공산당원들을 동원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이데올로기 및 정치적 투쟁 기간 동안 모든 간부진과 당원들은 스스로를 교육하고 변화시켜야 했다. 1945년 이후, 기회주의에 대항한 투쟁은 공산당의 최고위직에 제한되었고, 전체 공산당의 혁명적 변화에는 도움이 못 되었다.

마오 쩌뚱이 혁명의 지속에 대한 그의 이론을 공식화한 것은 이러한 약점의 분석에 의한 것이다.

‘사회주의 사회는 상당히 긴 역사적 시기를 가진다. 사회주의라는 역사적 시기에 여전히 여러 계급들, 계급들의 모순과 계급투쟁이 있으며, 사회주의의 길과 자본주의의 길 사이의 투쟁과 자본주의로의 복귀에 대한 위험도 있다. 우리는 이러한 투쟁의 길고 복잡한 성격을 반드시 깨달아야 한다. 우리는 우리의 경계심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반드시 사회주의 교육을 전파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와 같은 사회주의 국가는 정반대로 돌아서서 퇴보할 것이고, 자본주의로의 복귀가 일어날 것이다.’17)

베리아와 흐루쇼프의 수정주의 집단들

이러한 정치적 약점은 40년대 후반에 등장한 공산당 지도부 내부의 수정주의 경향에 의해 더욱 악화되었다.

공산당과 정부의 여러 분야를 지휘하기 위해 스딸린은 항상 그와 가장 가까운 동료들에게 의지하였다. 1935년부터, 쯔다노프(Zhdanov)는 공산당의 통합 사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48년의 그의 죽음은 공백을 남겼다. 50년대 초반, 스딸린의 건강은 전쟁 중에 초래된 과로 이후로 갑자기 매우 심각하게 악화되었다. 스딸린의 후계구도에 관한 문제는 가까운 미래의 문제였다.

스딸린에 대한 충성을 설교하면서, 지도부 내에 수정주의 두 분파가 나타났고, 자신들의 음모를 진행시키기 시작했던 시기는 바로 이 시기 즈음이었다. 베리아와 흐루쇼프의 집단은 서로 경쟁하는 두 개의 수정주의 분파였고, 스딸린의 사업을 은밀하게 침식하면서, 서로 간에 전쟁을 벌이고 있었다.

스딸린이 죽은 직후, 1953년 베리아가 흐루쇼프에 의해 총살되었기 때문에, 그는 흐루쇼프의 수정주의에 대한 적으로 여겨질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빌 블랜드(Bill Bland)가 스딸린의 죽음에 대해 잘 기록한 연구에서 채택한 견해이다.18)

그러나 완전히 정반대의 자료에 의한 증거는 베리아가 우익의 입장을 견지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시온주의 저자인 타데우스 위틀린(Thaddeus Wittlin)은 매카시즘의 구역질나는 방식으로 베리아의 자서전을 출간했다. 여기의 예가 있다: ‘쏘비에뜨 러시아의 독재자는 마치 그가 수백만 인민들의 무자비하고 새로운 신인 것처럼 인민들을 내려다보았다.’19) 글자 그대로다. 그러나 1951년 무렵에 베리아가 전개한 사고들을 제시하면서 위틀린은, 그가 ‘전(前)스딸린 시대의 접근법, 신경제정책으로의 회귀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경공업에서 사기업을 허가하고, ‘집단 농장 체제를 완화’하기를 원했다고 주장했다. ‘베리아는 공화국과 비러시아 민족들을 러시아화하는 스딸린의 정책에 반대했다.’ ‘베리아는 … 서방과 더 우호적인 국제 관계를 원했으며’ ‘또한 티토와의 관계도 회복시키려고 했다.’20) 그러한 구역질나는 반공주의 작가들로부터, 베리아의 ‘합리적인 정책’에 대한 이러한 경의가 두드러진다.

반대파 비밀 조직원인 또까예프는 30년대에 베리아와 다른 사람들이 ‘체제의 봉사자가 아니라 적’임을 알았다고 주장했다.21) 베리아의 측근인 가르디나쉬빌리(Gardinashvili)는 또까예프와 친밀한 관계였다.22)

베리아가 스딸린 비슷하다고 묘사하는 것이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흐루쇼프는 이렇게 적었다:

‘스딸린의 마지막 시기에 베리아는 점점 더 나쁘게 스딸린에게 무례함을 표현하곤 했다.’23)

‘스딸린은, 베리아가 선택할 수도 있는 최초의 인사가 되지 않을까 두려워했다.’24)

‘때때로 스딸린은 베리아를 두려워했고 그를 쫒아내고 싶었으나 그 방법을 모르는 것처럼 보였다.’25)

우리는 몰로또프의 견해를 잊어서는 안 된다. 그와 까가노비치는 그들의 혁명적인 과거에 대한 충성을 유지한 유일한 지도자들이었다.

‘나는 베리아가 스딸린의 죽음을 촉발시켰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나는 그의 발언을 통해 그렇게 느꼈다. 1953년 5월 1일, 마우솔레움 강단(Tribune of the Mausoleum)에서 그는 그러한 암시를 하였다. 그는 공모자를 찾고 있었다. 그는 “내가 그를 사라지게 했다.”고 말했다. 그는 나를 포섭하려 애를 썼다. “내가 당신들 모두를 구했다.”’26)

‘나는 흐루쇼프를 우익으로 생각했으나, 베리아는 훨씬 더 우익이었다. 둘 다 우익이었다. 그리고 미꼬얀(Mikoyan)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그들은 서로 다른 성격을 가졌다. 흐루쇼프는 우익이었고 완전히 타락하였으나, 베리아는 훨씬 더 우익으로 기울었고 더욱 더 타락하였다.’27)

‘의문의 여지없이, 흐루쇼프는 반동분자였고 공산당으로 침투하는 데 성공했다. 물론, 그는 어떠한 형태의 공산주의도 믿지 않았다. 나는 베리아를 적으로 여겼다. 그는 파괴적인 목적을 가지고 스스로 공산당에 침투하였다. 베리아는 원칙이 없는 사람이었다.’28)

스딸린의 말년에, 흐루쇼프와 미꼬얀은 후계 작업이 끝난 후 더 나은 지위를 차지하기 위해서 그들의 정치적 사상을 철저하게 숨겼다.

스딸린에 대한 흐루쇼프의 경멸은 그의 회고록에 분명하게 나온다:

‘내 생각으로, 스딸린이 사상면에서 상당히 우경화하기 시작한 때는 바로 전쟁 중이었다.’29) ‘1949년 말’에, ‘질병은 스딸린의 정신을 덮기 시작했다.30)

엔베르 호크사(Enver Hoxha)는 흐루쇼프가 스딸린의 죽음을 애타게 기다렸다고 기술했다. 회고록에서 그는 1956년 있었던 미꼬얀과의 토론에 대해서 적었다:

‘미꼬얀은 본인이 직접 나에게, 그들이 흐루쇼프 및 그들의 패거리들과 함께 “포쿠셰니에 (pokushenie)”를 실행하는 것, 즉 스딸린의 생명에 대한 시도를 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으나, 이후에 미꼬얀이 우리에게 말한 바에 따르면, 그들은 이러한 계획을 포기했다.’31)

미래의 흐루쇼프주의에 대항한 스딸린

스딸린은 자신 주위의 수정주의자들이 준비하고 있던 음모에 대해서 알았을까?

1952년 10월, 제19차 당 대회에서 말렌꼬프(Malenkov)에 의해 제출된 주요 보고서와, 같은 시기에 출간된 스딸린의 책 ≪사회주의의 경제적 문제들(Econ-omic Problems of Socialism)≫은, 스딸린이 기회주의에 반대하는 새로운 투쟁과 공산당의 새로운 숙청이 필요해졌다고 확신했음을 보여주었다.

말렌꼬프의 보고서는 스딸린의 상표를 가졌다. 이것은 흐루쇼프와 미꼬얀에 의해 4년 후에 해체될 혁명적 이념을 방어하였다. 이것은 경제와 공산당 활동에서의 수많은 부정적인 경향과, 1956년 흐루쇼프 수정주의에 의해 강요될 경향들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것이다.

먼저, 1937-1938년의 숙청을 회상하며 말렌꼬프는 이렇게 적었다:

‘전쟁과 그 결과에 비추어, 우리는 공산당이 맑스주의 및 레닌주의의 모든 대표적인 적들 ― 공산당을 올바른 길에서 빗나가게 하고 당원들을 분열시키려는 뜨로츠끼파와 부하린파 변절자, 투항주의자와 배신자 ― 에 맞서 수행한 수년간의 무자비한 투쟁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뜨로츠끼파와 부하린파 비밀조직을 분쇄함으로써, … 공산당은 적절한 시기에 쏘련의 “제5열”의 등장 가능성을 없애 버렸고, 적극적인 방어를 위해 정치적으로 국가를 준비시켰다. 만일 이것이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전쟁 중에 전방과 후방에서 공격을 당했을 것이며, 아마도 전쟁에서 졌을 것이다.’32)

4년 후, 흐루쇼프는 뜨로츠끼파들과 부하린파들 중 몇몇이 적대적인 외국 세력과 연락망을 유지했다는 사실을 부인하며, 그들이 사회 민주주의 및 부르주아 강령을 옹호하는 수준까지 퇴보한 것도 부정하곤 하였다. 흐루쇼프는 그런 다음, 사회주의가 1936년에 명백하게 성공했으며, 더 이상 반역이나 자본주의로의 복귀를 위한 사회적 토대가 없다는 이론을 고안하였다! 여기에 주된 선언내용이 있다:

‘쏘비에뜨 국가는 강해졌다…. 착취계급은 이미 해소되었고, 사회주의 관계가 국가 경제의 모든 면에서 단단히 뿌리내렸다.’33)

‘우리 국가의 사회주의는 근본적으로 건설되었다…. 착취계급은 전반적으로 해소되었고, …. 쏘비에뜨 사회의 구조는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정치 운동을 위한 사회적 토대와 당에 적대적인 집단은 극도로 줄어들었다.’34)

흐루쇼프는, 기회주의자들과 사회주의의 적들의 정치적 입장을 복권시키면서, 숙청은 독단적인 행위였으며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제19차 당 대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말렌꼬프는 공산당의 주된 네 가지 약점을 강조했다. 그것은 정확히, 흐루쇼프가 4년 후에 그의 수정주의 쿠데타에 성공하기 위해 사용할 그러한 약점이다.

말렌꼬프는 많은 관료화된 간부진이 평당원들의 비판과 통제를 거부했으며, 형식주의자이자 부주의한 이들이라고 강조했다.

‘우리의 오류와 부족함, 약점과 병폐를 폭로하고 극복하는 원칙적 방식인 자아비판과 특히 아래로부터의 비판이, 공산당 모든 기구에서 그리고 어디에서도 결코 충분하게, 실현되지 않았다…’

‘인민들이 비판을 했다고 박해받고 희생당한 사례가 있다. 우리는, 공산당에 대한 자신들의 충성을 공언하는 데에 결코 싫증내지 않지만, 아래로부터의 비판에 사실상 견딜 수 없으며, 그것을 억누르고, 자신을 비판한 이들에 대해서 보복을 하는 책임 있는(간부: 역자) 노동자들을 여전히 만난다. 우리는 비판과 자아비판에 대한 관료주의적인 태도가 … 창발성을 죽이고 … 관료주의적인 반당적인 습성과 당의 불구대천의 원수들로 일부 조직을 감염시킨 수많은 사례를 알고 있다.

‘여러 조직과 기관 활동에 대한 대중들의 통제가 약화된 곳이… 어디든지 간에, 거기에서 … 관료주의와 퇴보, 그리고 심지어는 공산당 기구의 개개 부문에서 부패도 변함없이 발생한다….’

‘성취가 당의 대오에 자기만족적 경향을 낳았고, 모든 것이 순조로운 듯이 가장하게 만들고, 자기도취되고, 이미 얻은 승리에 안주하고, 과거의 공헌을 밑천으로 살아가려는 욕구가 일부 인민들에게서 생겨났다…. 지도자들은… 드물지 않게 허영심과 자기찬양을 목적으로 활동적인 당원들을 모아 모임이나 총회를 개최하며, 결과적으로 사업의 오류와 결함, 병폐와 단점이 폭로되어 비판받지 않는다…. 나태한 정신이 우리 공산당 조직에 침투했다.’35)

이것은 1930년대 스딸린의 글에서 되풀이되는 주제였다: 안락한 삶을 추구하고, 활동적인 당원들을 억압하며, 부주의하고, 공산주의의 적들처럼 행동하는 관료주의화 된 이들을 비판하고 통제하기 위해서, 평당원들에게 호소하라. 스딸린이 수정주의자들에 대항하여 비판의 물결을 다시 한 번 더 분출시키고자 했던 이 글은 사람들을 경탄스럽게 한다.

4년 후, 흐루쇼프가 스딸린하에서 지배적이었다는 ‘불안, 공포, 절망’을 규탄했을 때, 그는 관료주의자들과 기회주의자들에게 이제는 편안하게 잘 수 있다고 약속한 것이었다. 그들은 더 이상 평당원들로부터 ‘좌익적’ 비판에 의해서 ‘박해’받지 않을 것이다. 자기만족과 편안한 생활은 흐루쇼프 정권에서 명확하게 권력을 잡은 수정주의 관료들의 기본적인 특징이 되었다.

둘째로, 말렌꼬프는 공산당의 규율을 무시하고 소유자처럼 행동한 공산주의자들을 규탄했다:

‘공산당과 정부의 결정에 대한 형식적 태도, 그리고 그것을 수행하는 데 있어 수동성은 아주 무자비하게 뿌리 뽑아야 하는 악덕이다. 공산당은 일에 대한 흥미보다 그들 자신의 편안함을 더 원하는 수동적이고 무관심한 집행부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당은 끈기 있게 헌신적으로 싸울 사람이 필요하다….’

‘그들이 책임지고 있는 기업이 국가의 기업이라는 것을 망각하고, 그것들을 그들 자신의 사적 소유물로 만들려고 하는 집행부 인사들이 상당히 많다…. 그곳에서… 그들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공산당의 결정과 쏘비에트의 법은 자신들과는 관련이 없다고 믿는 상당히 많은 수의 집행부 인사들이 있다.’

‘공산당에 진실을 숨기고 공산당을 기만하는 시도를 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공산당의 당원으로 남아 있도록 허락될 수 없다.’36)

이 구절에서 말렌꼬프에 의해 규탄받았던 사람들은 흐루쇼프가 자신들을 대표하는 인물이라는 사실을 곧 알게 될 것이었다. 흐루쇼프가 ‘간부진의 과도한 교체’를 비난했을 때, 그는 관료주의자들의 대변인이 되었다.37)

말렌꼬프의 글을 통해, 흐루쇼프가 스딸린을 심하게 매도하는 글을 보며, 우리는 실제로 진행되고 있었던 일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그가 말하기를, 스딸린은 ‘이데올로기적 투쟁의 방식을 포기’했다: ‘인민들의 적’이란 표현을 사용하여, 스딸린은 체계적으로 ‘대규모의 탄압과 테러’를 사용했다.38) 이러한 문구들은 말렌꼬프의 글에서 공격받은 자들, 국가 기업을 그들 자신만의 개인적인 재산으로 만든 자들, 공산당에 진실을 숨겨서 아무 처벌 없이 횡령과 전용을 하는 자들, 조금도 ‘맑스-레닌주의’를 지지할 의도가 없으면서 이를 계속 지껄이는 자들의 입장을 공고히 하도록 계획되었다. 흐루쇼프 시대에, 진짜 부르주아가 되고자 열망하는 모든 자들은 사회주의 권력에 의한 ‘대규모 탄압과 테러’를 더 이상 두려워할 필요가 없었다.

세 번째로, 말렌꼬프는 어떠한 통제도 받지 않는 파벌을 형성하고, 불법적으로 재산을 불린 간부들을 공격했다.

‘몇몇 공직자들은 집단 농장의 재산을 좀도둑질 하는 데 전념하였다…. 이들은 공유지를 그들 사유지처럼 사용하고, 집단 농장 위원회와 의장들에게 강요하여, 곡물, 고기, 우유, 다른 농산물을 저렴하게, 심지어는 공짜로 그들에게 공급하도록 강요했다.’39)

‘몇몇 우리 집행부 사람들은 정치 및 업무 능력을 보고 직원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혈연, 친밀성, 지연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직원의 선출과 승진에 관한 문제에서 공산당 노선의 그러한 왜곡으로 인해, 상호 보험의 관계를 맺고 공산당과 국가의 이해보다 자신들의 이해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친밀한 패거리들이 몇몇 조직에서 생겼다. 그러한 사태가 대개 퇴행과 부패를 초래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40)

‘지도부의 지시를 수행하는 데 있어, 부도덕하고 무책임한 태도는 가장 위험하고 타락한 관료주의적 행위이다.’41)

‘업무 수행에 대한 검증의 주된 목적은 잘못된 점을 폭로하고, 법규 위반을 적발하며, 조언을 통해 정직한 집행부 임원들을 돕고, 구제할 방법이 없는 사람은 처벌하는 것이다.’42)

흐루쇼프 정권하에서 간부진은 더 이상 최상의 정치 능력을 보유한 이유로 선택되지 못했다. 반대로, 그들은 ‘스딸린주의자’라는 이유로 ‘숙청’되곤 했다. 부르주아 써클들이 베리아, 흐루쇼프, 미꼬얀과 브레즈네프 주변에서 형성되곤 했고, 정확히 말렌꼬프가 묘사한 것처럼, 그 써클들은 혁명적 대중적 활동을 완전히 멀리했다. 스딸린은 더 이상 ‘잘못을 뉘우치지 않는 자들’을 처벌하려 그곳에 있지 않았다. 도리어, 뉘우치지 않던 자들이 지금은 진정한 공산주의자들을 처벌하려 한다.

끝으로, 말렌꼬프는 이데올로기 사업을 경시하여, 부르주아 경향을 또다시 출현시키고, 지배적 이데올로기가 되도록 허용하는, 간부진을 비판했다.

‘많은 공산당 조직들은 이데올로기 사업의 중요성을 경시하고 있으며, 이는 공산당의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으며, 많은 조직에서 태만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력이 약화된다면, 그 효과는 부르주아 이데올로기 영향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여전히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의 흔적과, 사적소유의 정신과 도덕이라는 잔재가 있다. 이러한 잔재들은 … 매우 집요하여 그들의 지배력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들에 맞선 결정적 투쟁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우리는 외부로부터, 자본주의 국가로부터 또는 내부로부터, 쏘비에뜨 국가에 적대적인 집단들의 잔재로부터 유래하는, 이질적인 관점, 사상, 정서의 침투로부터 안전하다고 보장할 수 없다….’43)

‘기계적으로 암기한 공식들에 의존하고 새로운 것에 아무런 감정도 느끼지 못하는 … 사람은 누구라도, 국내외 업무를 이해할 능력이 없다.’44)

‘우리 공산당의 일부 조직은 경제 업무에 그들의 모든 주의를 쏟고 이데올로기 문제들은 잊는 경향이 있다…. 이데올로기 문제에 대한 주의가 이완될 때는 언제나, 우리에게 적대적인 관점과 사고의 부활에 우호적인 토양이 생겨난다. 어떤 이유에서든 당 조직의 통제범위 밖의 이데올로기 사업 분야들이 있다면, 공산당 지도력과 영향력이 약해진 분야가 있다면, 이질적 요소들과 공산당에 의해 분쇄된 반레닌주의 조직들의 잔재들이 이러한 분야들을 지배하려고 할 것이다.’45)

흐루쇼프는 이러한 내용의 레닌주의를 없애고, 그것을 혁명적인 정신이 없는 일련의 선전 문구로 변질시키곤 했다. 결과적으로 초래된 진공상태는 모든 낡은 사회 민주주의와 부르주아 이데올로기를 빨아들였고, 그것을 청년들이 흡수하게 되었다. 게다가 흐루쇼프는 맑스-레닌주의의 본질적인 개념들을 왜곡하고 아예 제거하곤 했다: 반제국주의 투쟁, 사회주의 혁명, 프롤레타리아트 독재, 계급투쟁의 지속, 레닌주의 당의 기본 개념 등등. ‘맑스주의자 교육’에 대해 그가 언급할 때에, 그는 말렌꼬프와 반대되는 의견을 제시했다:

‘수년 동안 우리 공산당의 간부진은 경제 건설이라는 실제적인 문제에 있어 … 불충분하게 가르침을 받았음을 인정해야만 한다.’46)

기회주의자와 숙청당한 적들을 복권시킴으로써, 흐루쇼프는 사회 민주주의, 부르주아와 짜르 이데올로기의 부활을 허용했다.

제19차 당 대회에 이어 개최된 총회 동안 스딸린은 미꼬얀, 몰로또프, 보로쉴로프를 훨씬 더 가혹하게 비판했다: 스딸린은 베리아와 거의 공개적으로 충돌하였다. 모든 지도자들은, 스딸린이 상태의 근본적 변화를 강하게 주장한다는 것을 완전히 이해하고 있었다. 흐루쇼프는 그 내용을 명백하게 이해했으며, 다른 이들처럼 출석을 회피했다:

‘스딸린은 오래된 정치국원들을 제거해버리려는 계획을 분명하게 세웠다. 그는 종종 정치국 임원들이 새로운 사람들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제19차 당 대회가 끝나고, 중앙위원회 최고 회의 간부진 25명 선출에 관련한 그의 제안은 오래된 정치국의 임원들을 면직시키고 경험이 적은 인사들로 채우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리는 이것이 또한 오래된 정치국 임원들을 장래에 전멸시키기 위한 계획이었고, 이런 방식으로, 스딸린의 모든 부끄러운 행위들을 은폐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47)

이 당시, 스딸린은 매우 늙었고 지치고 병들었다. 그는 주의를 기울여 행동했다. 정치국의 임원들을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고 결론내리며, 그는 더욱 혁명적인 사고의 청년들을 단련시키고 평가하기 위해서 최고회의 간부회에 임명했다. 흐루쇼프, 베리아, 미꼬얀과 같은 수정주의자들과 공모자들은 그들이 곧 지위를 잃을 것이라는 점을 알았다.

그럼에도 흐루쇼프에 따르면, 스딸린은 1952년 말의 의사들의 음모 이후에 정치국 위원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자네들은 새끼 고양이처럼 눈이 멀었다: 내가 없이 어떠한 일이 일어나겠는가? 국가는 누가 적인지를 인식하지 못하는 자네들 때문에 무너지고 말 것이다.’48)

흐루쇼프는 스딸린의 어리석음과 편집증의 증거로 그와 같이 진술했다. 그러나 역사는 그 말이 맞았음을 입증했다.

흐루쇼프의 쿠데타

베리아의 음모

스딸린의 유망한 후임자였던 쯔다노프(Zdanov)는 1948년 8월에 죽었다. 심지어 그가 죽기 전에도, 여의사인 리디아 띠마쉬크(Lydia Timashuk)는 부적절한 치료로 그의 죽음을 앞당기게 했다며 스딸린의 의사들을 비난했다. 그녀는 이후에도 계속 이러한 비난을 반복하곤 했다.

1949년, 쯔다노프의 측근 거의 대부분이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중앙위원회의 비서이면서 쯔다노프의 오른팔이었던 꾸즈네트소프(Kuznetsov), 그리고 러시아 공화국의 수상인 로디오노프(Rodionov), 경제계획의 수장인 보쯔네센스끼(Voz-nesensky)가 모두 주요한 피해자들이었다. 그들은 가장 영향력 있는 새로운 간부진의 일원이었다. 흐루쇼프는 그들의 제거는 베리아의 음모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스딸린은 가치법칙이 여러 분야에 걸쳐 자본과 노동의 분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는, 보쯔네센스끼의 일부 이론을 비판했다. 스딸린이 대답하길, 이럴 경우 자본과 노동력은 더 많은 이익이 나는 경공업으로 옮겨가게 되며, 중공업은 지체된다.

‘가치법칙이 미치는 영향력의 범위는, 국가 경제의 계획된 (균형 잡힌) 발전의 법칙에 의해 … 우리 경제 체제 내에서 매우 엄격하게 제한되고 엄밀하게 한계가 정해진다.’49)

그러나 그의 글에서 스딸린은 그 글의 저자를 반역자로 여기지 않고 이러한 기회주의자 견해를 논박했다. 흐루쇼프에 의하면, 스딸린은 보쯔네센스끼의 석방과 국가 은행의 수장직 임명을 위해 여러 번 개입했다.50)

쯔다노프의 의사들에 대한 띠마쉬크의 비난에 관해, 스딸린의 딸인 스베틀라나(Svetlana)는 그녀의 아버지가 처음에는 “의사들이 ‘부정직’했다는 것을 믿지 않았다.”고 회상했다.51)

베리아와 가까운 사이였던 국가 보안국의 장관 아바꾸모프(Abakumov)는 당시 조사를 지휘하고 있었다. 그러나 1951년 말, 보안국 경험이 없는 공산당원인 이그나띠예프(Ignatiev)가 아바꾸모프를 대체했는데, 아바꾸모프는 경계심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체포되었다. 아바꾸모프가 그의 상관인 베리아를 보호했었을까?

그후, 과거에 스딸린 개인 비서실의 보안 책임자였던 류민(Ryumin)이 조사를 지휘했다. 9명의 의사들이 체포되었고, “미국 정보국에 의해 설립된, 국제 유대인 부르주아 민족주의 조직인 ‘JOINT’(American-Jewish Joint Distribution Committee)와 연관”된 혐의로 고소되었다.52)

이 사건은 베리아에 대한 스딸린의 첫 번째 공격으로 이해된다. 두 번째 공격은 동시에 일어났다. 1951년 11월, 그루지아 공산당 지도자가 공공 자금을 전용하고 국가 재산을 도둑질한 혐의로 체포되어, 영국 및 미국의 제국주의와 연결된 부르주아 민족주의 세력으로 기소되었다. 그 결과로서 일어난 숙청에서 베리아의 추종자들로 알려진, 중앙위원회의 임원의 반 이상이 면직당했다53) 새로운 제1서기장은 그의 보고서에서 숙청은 ‘스딸린 동지의 개인적인 지시’에 의해 진행되었다고 언급했다.54)

스딸린의 죽음

스딸린이 죽기 몇 달 전, 그를 보호하던 모든 보안체제가 해체되었다. 그의 개인 비서이며, 1928년부터 훌륭한 능력으로 그를 도왔던 알렉산더 쁘로스크레비체프(Alexander Proskrebychev)가 해고되어 가택연금 당했다. 그는 비밀문서를 변조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25년 동안 스딸린의 개인 보안실장이었던 니꼴라이 블라시끄(Nikolay Vlasik) 중령은 1952년 12월 16일에 체포되었고, 몇 주 뒤 감옥에서 죽었다.55) 스딸린의 보안 책임자이자, 크렘린 경비대의 부사령관인 뻬떼르 꼬신낀(Peter Kosynkin) 소장은 1953년 2월 17일 ‘심장 마비’로 죽었다. 데리아빈(Deriabin)은 이렇게 기술하였다:

‘스딸린에게서 모든 개인적인 보안을 해제하는 과정은 계획적이고 매우 교묘하게 수행된 일이었다.’56)

오직 베리아만이 그런 음모를 준비할 수 있었다.

3월 1일, 23시, 스딸린의 경호원들이 그의 방바닥에서 의식을 잃은 그를 발견했다. 그들은 전화로 정치국의 임원들에게 연락했다. 흐루쇼프는 자신 또한 도착했고, (그후: 역자) 각자가 집으로 돌아갔다고 주장했다.57)

아무도 의사를 부르지 않았다. 발작 이후 12시간 뒤에 스딸린은 처음으로 치료를 받았다. 그는 3월 5일 죽었다. 루이스(Lewis)와 화이트헤드(Whitehead)는 이렇게 적었다:

‘몇몇 역사가들은 미리 계획된 살인의 증거를 찾았다. 아브두라하만 아브또르하노프(Abdurakhaman Avtorkhanov)는 30년대의 경쟁자들을 숙청하려고 스딸린이 눈에 보이게 분명한 계획을 한 것이 원인이었다고 보았다.’58)

스딸린의 죽은 후 즉시, 최고회의 간부회가 소집되었다. 베리아는 말렌꼬프를 장관 회의의 의장으로 추천했고, 말렌꼬프는 베리아를 부의장 및 내무부 장관과 국가 보안국의 장관으로 임명할 것을 추천했다.59) 그 뒤 몇 달 동안 베리아는 정치무대를 지배했다. 흐루쇼프는 ‘우리는 매우 위험한 시기를 경과하고 있었다.’라고 적었다.60)

일단 보안국의 지도자로 임명된 베리아는 스딸린의 비서였던 쁘로스크레비체프를 체포했고, 그 다음에는 쯔다노프의 의문스런 죽음에 대한 조사를 지휘하던 류민이 체포되었다. 류민의 상관인 이그나띠예프는 동일한 사건에서 그의 역할로 인해 고발되었다. 4월 3일에 쯔다노프를 죽인 혐의로 고소된 의사들이 석방되었다. 시온주의 작가 위틀린은, 베리아는 유대인 의사들을 복권시킴으로써, ‘일차적으로 서방과 미국, 영국에 대한 스딸린의 호전적인 외교 정책을… 손상’시키고 싶었다고 주장했다.61) 여전히 4월에, 베리아는 그의 고향인 그루지아에서 반쿠데타(counter-coup)를 준비하였다. 그는 또 다시 자기 사람을 공산당과 국가의 최고위직에 임명했다. 베리아와 함께 이후에 총살당한 데까노조프(Dekanozov)는 국가보안국의 장관이 되어, ‘인민의 적’으로 체포된 루하드쩨(Rukhadze)를 대체하였다.62)

베리아에 대한 흐루쇼프의 음모

그러는 동안, 흐루쇼프는 베리아에 대한 음모를 꾸미고 있었다. 그는 먼저 베리아의 ‘부하’인 말렌꼬프로부터 지원을 얻고, 그 다음에 개별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했다. 마지막으로 접촉한 사람은 미꼬얀으로, 그는 베리아의 가장 친한 친구였다. 6월 24일 최고회의 간부회가 소집되었고 베리아를 체포할 수 있었다. 미꼬얀은 베리아가 ‘우리의 비판을 마음에 새기어 스스로 교정하려고 했다’라고 진술했다.63) 사전에 준비된 신호에 따라, 주꼬프가 지휘하는 11명의 원수들과 장군들이 방으로 들어가 베리아를 체포했고, 그는 1953년 12월 23일 그의 추종자들과 함께 총살당했다.

1953년 7월 14일, 알렉세이 안또노프(Alexei Antonov) 장군과 에피모프(Efi-mov) 소장은 그루지아 공산당에서 ‘쿠데타’를 조직했고 베리아의 세력을 밀어냈다. 므자바나드제(Mzhavanadze) 전직 중장은 공산당의 총리가 되었다.64)

류민은 베리아에 의해 1953년 4월 5일 체포되었다. 15개월 후, 흐루쇼프파들은 ‘의사들의 음모’에서 그의 역할을 비난했다. 7월 23일 그는 총살당했다. 그러나 흐루쇼프가 보호했던, 그의 상관인 이그나띠예프는 바슈끼르(Bashkir) 공화국의 제1서기장으로 임명되었다.65)

1954년 12월 말에 국가 보안국의 전직 장관인 아바꾸모프와 그의 동료들은, 보즈네센스끼(Voznesensky)와 그의 친구들에 적대하는 ‘레닌그라드 사건(Leni-ngrad Affair)’을 베리아의 명령에 따라 날조한 죄명으로, 사형 판결을 받았다.

1955년 9월 그루지아의 안보국 책임자이자 1951년에 베리아의 추종자들에 대한 숙청을 이끌었던 니꼴라이 루카드제(Nikolay Rukhadze)는 ‘베리아의 공범자’로 유죄 판결을 받아 총살당했다.66)

그래서 1950년부터 1955년까지, 여러 수정주의 집단은 스딸린의 지지자들을 제거하는 상황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송곳니로 서로를 물어뜯었다.

‘복권’된 적들

스딸린이 죽고 난 뒤 흐루쇼프의 정권하에서, 스딸린 시대에 정당하게 시베리아로 유배된 기회주의자들과 레닌주의의 적들은 복권되어 핵심적인 직위에 임명되었다. 흐루쇼프의 아들인 세르게이(Sergei)가 하나의 사례이다. 30년대에 흐루쇼프와 미꼬얀은 1938년에 인민의 적으로서 25년형을 선고받은 스네고프(Snegov)라는 인사와 가까웠다. 1956년 흐루쇼프는 그를 석방했고, 그는 ‘스딸린주의 범죄’에 대해서 증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스네고프는 흐루쇼프의 아들에게 ‘문제는 스딸린의 실수나 망상이 아니었으며, 모든 것은 그의 범죄적인 정책의 산물이었음’을 ‘증명’했다. 소름끼치는 결과(“스딸린의 범죄”: 역자)들은 30년대에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었다. 스네고프가 말하길, 그것들의 뿌리는 10월 혁명과 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7) 10월 혁명을 공개적으로 반대한 이러한 인사가 흐루쇼프에 의해 내무부 인민위원으로서 임명되었고, 그 지위를 가지고 ‘스딸린주의의 희생자들’의 복권에 대한 책임을 맡았다!68)

흐루쇼프는 또한 솔제니친을 노동 수용소에서 석방했다. 따라서 ‘레닌주의로 돌아가기’를 원했던 수정주의자의 지도자는 ‘스딸린주의’와 싸우기 위해 짜르 반동과 동맹을 맺었다. 두 인간 쓰레기는 완벽하게 어울렸다. ‘맑스주의’ 동료에 대한 흥분이 폭발한 솔제니친은 이후에 이렇게 적었다:

‘흐루쇼프가 제22차 당 대회 기간에 스딸린에 대해서 준비한 갑작스럽고, 우레와 같은, 격렬한 공격을 예견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나는 오랫동안 그렇게 흥미로운 것을 읽은 기억이 없다.’69)

흐루쇼프와 조용하게 진행된 반혁명

베리아의 처형 이후, 흐루쇼프는 최고 간부회에서 가장 중요한 인사가 되었다. 1956년 2월, 제20차 당 대회에서 그는 공산당의 이데올로기 및 정치 노선을 완전히 역전시켰다. 그는 ‘레닌주의적 민주주의’와 ‘집단 지도체제’가 재건되어야 한다고 떠들썩하게 공표했으나, 최고 간부회의 다른 위원들에게 스딸린에 대한 자신의 비밀 보고서를 거의 강요했다. 몰로또프에 따르면:

‘흐루쇼프가 제20차 당 대회에서 그의 보고서를 읽었을 때, 나는 이미 막다른 길에 몰려 있었다. 나는 종종, 왜 제20차 당 대회 동안에 당신은 흐루쇼프에게 반대하여 발언하지 않았냐는 질문을 받는다. 공산당은 그것에 대해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공산당 내부에 머물러 있으면서, 나는 우리가 그 상황을 부분적으로 시정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70)

맑스-레닌주의와 부르주아 경향 사이의 투쟁은 1917년 10월 25일 직후부터 지금까지 결코 끝나지 않았다. 흐루쇼프로 인해 권력 관계는 역전되었고, 당시까지 억압받고 공격받은 기회주의는, 공산당의 지도부를 차지했다. 수정주의는 이러한 직위를 이용하여 맑스-레닌주의 세력을 조금씩 조금씩 제거했다. 스딸린의 죽음으로, 최고 간부회의에는, 말렌꼬프, 베리아, 흐루쇼프, 미꼬얀, 몰로또프, 까가노비치, 보로쉬로프(Voroshilov), 불가닌(Bulganin), 사부로프(Saburo-v), 뻬르부킨(Pervukhin) 등 열 명의 최고 간부가 있었다.71) 베리아의 제거 이후, 미꼬얀은 1956년에 ‘지난 3년 동안 중앙위원회와 그것의 최고 간부회에서 …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집단 지도 체제가 완성되었다.’라고 말했다.72) 그러나 다음 해에 흐루쇼프와 미꼬얀은 ‘반당적 분파주의 집단’이 ‘개인숭배에 의해 야기된 비난할 만한 방식과 행위가 지배한 시기인, 우리 공산당과 국가에 아주 고통스러웠던 시기로 돌아가기’를 원했다고 주장하며 나머지 인사들을 면직시켰다.73) 최고 간부 회의에서 맑스-레닌주의 다수파를 제거한 것은 군부, 특히 주꼬프와, 흐루쇼프가 소수파였을 때 그를 도와준 지역 서기장들 덕분에 가능했다. 몰로또프, 말렌꼬프, 까가노비치의 망설임과, 정치적 통찰력의 부족 및 타협적인 자세가 그들의 패배를 초래했다.

외교 정책에서 1945년부터 1953년까지 스딸린의 노선은 완전히 제거되었다. 흐루쇼프는 전 세계 부르주아지에게 항복했다. 그는 제20차 당 대회에서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공산당은 … 시대에 뒤진 사고를 분쇄했다.’ ‘우리는 미국과 친구가 되기를 원한다.’ ‘또한 유고슬라비아는 사회주의 건설에서 상당한 성취를 했다.’ ‘노동계급은 … 의회에서 안정된 다수가 되어 부르주아 민주주의 기관을 진정으로 대중의 의지를 수행하는 기구로 전환시키는 … 기회를 가진다.’74)

흐루쇼프는 온갖 종류의 근사한 약속들을 제시하며 스딸린의 업적을 제거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그것을 들어보면, 우리는 흐루쇼프가 단지 광대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흐루쇼프에 따르면, ‘개인숭배의 상황에서 … 권력을 강탈한 이들(스딸린과 그 측근들: 역자)은 … (공산당의) 통제에서 벗어난다.’75) 이러한 아첨꾼들과 사기꾼들은 명백히 스딸린과 함께 사라졌다. 그리고 흐루쇼프는 이어서 말했다.

‘10년(1961-1970년)이 지나면, 공산주의의 물질적, 기술적 토대를 창출한 쏘련은 가장 강력하고 부유한 자본주의 국가인 미국을 능가할 것이다.’76)

흐루쇼프가 약속한 ‘공산주의의 시작’인 1970년 이후 20년이 지나서, 쏘련은 미제국주의의 타격으로 폭발하였다: 쏘련의 공화국들은 이제 마피아들과 탐욕스러운 자본가들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 인민들은 실직 상태로 처참하게 살고 있다; 범죄가 창궐한다; 민족주의, 파시즘이 끔찍한 내전을 야기했다; 수만 명의 사망자와 수백만 명의 난민들이 생겼다.

스딸린의 관점을 살펴보면, 그는 또한 불확실한 미래를 보았다. 1938년 그가 감수한 ≪쏘련 공산당의 역사: 단기 과정(볼셰비끼)≫이라는 글의 결론은 최근의 사건들을 고려해 보면 다시 읽어볼 가치가 있다. 그 글에는 볼셰비끼 공산당의 경험에서 얻은 여섯 가지의 기본적인 교훈이 들어 있다. 네 번째는 이렇게 써져 있다:

‘회의론자들, 기회주의자들, 항복주의자들과 배신자들은 노동계급을 지도하는 간부로서 용인될 수 없다.’

‘뜨로츠끼파, 부하린파, 민족주의 일탈자들이, … 결국 파시스트 첩보 기관의 요원이 된 것은 우연한 일로 여겨질 수 없다.’

‘요새를 점령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내부에서 시작하는 것이다.’77)

스딸린은 고르바초프나 옐친이 정치국에 들어갈 경우 쏘련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를 정확하게 예견했다.

20세기 말에, 인류는 여러 제국주의 정권이 자기들끼리 전 세계를 지배할 수 있다고 생각한, (러시아 혁명의: 역자) 출발점인, 1900-1914년과 유사한 상태로 돌아갔다. 앞으로 제국주의의 범죄, 야만, 비인간적 특성이 점점 더 분명하게 드러나면서, 스딸린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새로운 세대는 그에게 경의를 표할 것이다. 그들은 1939년 12월 21일, 거대한 중국의 오지의 동굴에서 스딸린의 60세 생일에 축배를 든 마오쩌뚱의 다음의 말을 이해할 것이다.

‘스딸린에 대한 축하는, 그와 그의 대의에 대한 지지, 사회주의의 승리에 대한 지지, 그리고 그가 제시하는 인류가 나아갈 길에 대한 지지를 의미하며, 친애하는 친구에 대한 지지를 의미한다. 오늘날 인류의 절대 다수는 고통 받고 있으며, 인류는 오직 스딸린이 제시한 길에 의해서만, 그리고 그의 도움을 받아야만 고통에서 해방될 수 있다.’78) <끝> <노사과연>

번역 : 편집부

1) Alexander Uralov (Abdurakhman Avtorkhanov), op. cit. p. 8.

2) Ibid. pp. 38, 41

3) Ibid. p. 79.

4) Ibid. p. 169.

5) Ibid. p. 123.

6) Ibid. pp. 144-145.

7) Ibid. p. 158.

8) Ibid. p. 237.

9) Ibid. p. 240.

10) Ibid. p. 242.

11) Ibid. p. 245.

12) Tokaev, op. cit. pp. 354-355.

13) Ibid. pp. 358-359.

14) La Libre Belgique, 4 March 1949, p. 1; 6 March 1949, p. 1.

15) G. Malenkov, Report to the Nineteenth Party Congress on the Work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P.S.U.(B.)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52), p. 126.

16) Stalin, Leninism: Selected Writings (Westport, Conn.: Greenwood Press, 1975), pp. 468-469.

17) Mao Tse-tung and Lin Pao, Post-Revolutionary Writings (Garden City, N.Y.: Anchor Books, 1972), p. 429.

18) Bill Bland, `The “Doctors’ case” and the death of Stalin’ (London: The Stalin Society, October 1991), Report.

19) Thaddeus Wittlin, Commissar: The Life and Death of Lavrenty Pavlovich Beria (New York: Macmillan, 1972), p. 354.

20) Ibid. pp. 363-365.

21) Tokaev, op. cit. p. 7.

22) Ibid. p. 101.

23) Nikita Khrushchev, Khrushchev Remembers (London: André Deutsch, 1971), p. 313.

24) Ibid. p. 311.

25) Ibid. p. 250.

26) Chueva, op. cit. p. 327.

27) Ibid. p. 335.

28) Ibid. p. 323.

29) Ibid. p. 311.

30) Ibid. p. 246.

31) Enver Hoxha, With Stalin: Memoirs (Toronto: Norman Bethune Institute, 1980), p. 31

32) Malenkov, op. cit. pp. 108-109.

33) Khrushchev, Special Report, op. cit. p. S17.

34) Ibid. p. S15.

35) Malenkov, op. cit. pp. 113-116.

36) Ibid. pp. 119-121.

37) Khrushchev, `Central Committee Report’, The Documentary Record of the 20th Communist Party Congress and its Aftermath (New York: Frederick A. Pra-eger), p. 58.

38) Khrushchev, `Secret Report’, op. cit. pp. S14-S15.

39) Malenkov, op. cit. p. 76.

40) Ibid. p. 124.

41) Ibid. p. 122.

42) Ibid. pp. 125-126.

43) Ibid. pp. 126-127.

44) Ibid. p. 128.

45) Ibid. p. 127.

46) Khrushchev, `Central Committee Report’, op. cit. p. 57.

47) Khrushchev, `Secret Report’, op. cit. p. S63.

48) Ibid. p. S49.

49) Stalin, `Economic Problems of Socialism in the U.S.S.R.’, The Documenta-ry Record of the 19th Communist Party Congress and the Reorganization After Stalin’s Death (New York: Frederick A. Praeger), p. 5.

50) Khrushchev, Khrushchev Remembers, op. cit. p.`251.

51) S. Alliluyeva, p. 215; cited in Bland, op. cit. p. 4.

52) Pravda, 13 January 1953, p. 4; cited in Bland, op. cit. p. 18.

53) J. Ducoli, `The Georgian Purges (1951-1953)’, Caucasian Review, vol. 6, pp. 55, 1958; cited in Bland, op. cit. p. 11-13.

54) A. Mgdelaze, Report to Congress of Georgian Communist Party, Sept. 1952; cited in Bland, op. cit. p. 24.

55) P. Deriabin, Watchdogs of Terror: Russian Bodyguards from the Tsars to the Commissars (1984), p. 321; cited in Bland, op. cit. p. 24.

56) Deriabin, op. cit. p. 209; cited in Bland, op. cit. p. 27.

57) Deriabin, op. cit. p. 300.

58) J. Lewis and P. Whitehead, Stalin: A Time for Judgment (London, 1990), p. 279; cited in Bland, op. cit. p. 34.

59) Khrushchev, Khrushchev Remembers, op. cit. p. 324.

60) Ibid. p. 331.

61) Wittlin, op. cit. p. 388.

62) Bland, op. cit. p. 46.

63) Khrushchev, Khrushchev Remembers, op. cit. p. 337.

64) Bland, op. cit. pp. 55-57.

65) Ibid. pp. 67-70.

66) Ibid. p. 73.

67) Sergei Khrushchev, Khrushchev on Khrushchev: An Inside Account of the Man and His Era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1990), p. 8.

68) Ibid. p. 13.

69) Solzhenitsyn, Le chêne et le veau; cited in Branko Lazitch, Le rapport Kh-rouchtchev et son histoire (Paris: Éditions du Seuil, 1976), p. 77.

70) Chueva, op. cit. p. 350.

71) R. A. Medvedev and Zh. .A. Medvedev, op. cit. p. 4.

72) A. I. Mikoyan, Discussion of Khrushchev-Moskatov Reports, 20th Commu-nist Party Congress, op. cit. p. 80.

73) Kozlov, `Report on the Party Statutes’, The Documentary Record of the 22nd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2), p. 206.

74) Khrushchev, `Central Committee Report’, op. cit. pp. 29, 35, 30, 38.

75) Khrushchev, `Concluding Remarks’ 22nd Congress, op. cit. p. 198.

76) Khrushchev, `The Party Program’, 22nd Congress, op. cit. p. 15.

77) Commission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P.S.U. (B.), editor. Histor-y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Bolsheviks): Short Course (To-ronto: Francis White Publishers, 1939), p. 360.

78) Mao Tse-Tung, `Stalin, Friend of the Chinese People’, Works, vol. 2, p. 335.

노사과연

노동운동의 정치적ㆍ이념적 발전을 위한 노동사회과학연구소

0개의 댓글

연구소 일정

5월

6월 2023

7월
28
29
30
31
1
2
3
6월 일정

1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2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3

일정이 없습니다
4
5
6
7
8
9
10
6월 일정

4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5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6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7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8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9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10

일정이 없습니다
11
12
13
14
15
16
17
6월 일정

11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12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13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14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15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16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17

일정이 없습니다
18
19
20
21
22
23
24
6월 일정

18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19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20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21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22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23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24

일정이 없습니다
25
26
27
28
29
30
1
6월 일정

25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26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27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28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29

일정이 없습니다
6월 일정

30

일정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