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사회과학연구소

[번역] 쓰딸린의 ‘반유대주의’에 대하여

 

저자 미상

번역: 김의진(회원)

 

* 이 글의 원제는 “Stalin’s ‘Anti-Semitism’”입니다. 원문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espressostalinist.com/2016/07/27/stalins-anti-semitism/>

 

 

 

쓰딸린이 반유대주의자였다는 비방은 오늘날 유언비어(流言蜚語)처럼 도처에서 횡행한다. 그러나 쓰딸린이 “반유대주의자”에 해당됐거나, 반유대주의로 지탄받을 만한 논거는 글과 행동 어디에서도 사실상 찾아볼 수 없다. 이 글에서도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쓰딸린의 글과 행동은 세간에 알려진 바와 다르게 오히려 정반대의 입장을 내보이고 있었다. 문필가들은 비방을 위한 비방을 양산하기 위해 쓰딸린과 불화를 빚은 친딸[쓰베뜰라나 알릴루예바: 역자]에 의해 쓰인 글이나, “쓰딸린이 반유대주의자”였다는 취지로 쓰인 논평들을 가리지 않고 구전을 통해 2차ㆍ3차 사료들로 와전된 풍문들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1]For useful collections of such hearsay, see Erik Van Ree, The Political Thought of Joseph Stalin: A Study in Twentieth-Century Revolutionary Patriotism (London: Routledge Curzon, 2002), pp. 201-7; … Continue reading 만일 이러한 견해가 정설로서 확고부동하게 자리를 “굳혔다면”, 쓰딸린의 행동과 논평이 읽히는 방식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1940년대 후반의 “반(反)코스모폴리타니즘” 운동에 있어서는 “반유대주의”라는 오명이 전가됐다. 정부의 인사들에게 암살을 시도한 요주의 의사들을 겨냥한 사건으로 알려진 “의사의 음모”(1952-1953)와 같은 경우는 어떠한가? 이른바 “의사의 음모”는 대체적으로 반유대주의적 숙청과 광범위한 강제 이주의 전조(前兆)로서 간주되며[2]Jonathan Brent and Vladimir P. Naumov, Stalin’s Last Crime: The Plot Against the Jewish Doctors, 1948-1953 (New York: HarperCollins, 2003); Simon Sebag Montefiore,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 Continue reading, 쓰딸린 사후에야 사건에 연루된 인물들에 대한 조사가 비로소 중단될 수 있었다고 세간에 널리 회자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을 보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단지 쏘련에서 의사들 중 상당수가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공격이 곧 반유대주의적 성격을 띠었다고 말하는 것 이외에는 달리 존재하지 않았다. 쏘련의 의사들 중에서 러시아인들이 유대인들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만큼, 쓰딸린이 “반유대주의”적 견해를 보였다고 말하는 이들의 주장대로라면 “의사의 음모”는 러시아인들을 집중적으로 겨냥한 사건으로 인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의 음모” 사건은 작금의 상황 속에서 반(反)러시아적인 에피소드로 규정되지 않고 있다.

 

쓰딸린을 비난하는 문필가들의 입장에서는 한 편의 비보로 들릴 수 있겠지만, 풍문처럼 떠도는 유언비어조차도 하다못해 쓰딸린이 러시아 문화에 깊게 배인 뿌리 깊은 반유대주의에 반대했다고 말한다. 반(反)코스모폴리타니즘 운동(1948-1949)―전후 쏘련에서 자본주의에 엄연히 반대하여 일어난 운동이었다― 당시 일부 학술지에서 러시아식 이름 뒤에 민족 고유의 성씨를 괄호로 표기하는 현상은 관행처럼 변해 가고 있었다. 민족 고유의 성씨 중에서 일부는 유대인들의 작명도 포함되어 있었다. 쓰딸린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말체프(Maltsev)와 로빈쓰끼(Rovinskii)에 괄호를 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여기서 나타나는 문제는 무엇인가? 작금의 관행은 언제까지 계속되어야 하는가? 주지하듯, 필명(筆名)을 선택하는 문제는 개인의 권리이다. … 그런데도 불구하고, 어떤 이들은 말체프와 로빈쓰끼와 같은 인물이 이중(二重)의 성씨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유대인임을 부각시키고자 부단한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어째서 반유대주의를 조장하는가?[3]Van Ree, The Political Thought of Joseph Stalin: A Study in Twentieth-Century Revolutionary Patriotism, p. 205.

 

쓰딸린은 1947년에 루마니아의 지도자 게오르게-게오르기우 데지(Gheorghe Gheorghiu-Dej)와 나눈 대화에서 예리하게 지적했듯이 “인종주의는 파씨즘을 야기한다”고 말했다.[4]Van Ree, The Political Thought of Joseph Stalin: A Study in Twentieth-Century Revolutionary Patriotism, p. 205. 여기서 우리는 극명한 모순에 부딪힌다. 쓰딸린의 ‘반유대주의’를 비난하고자 하는 이들은 파씨즘에 대한 쓰딸린의 뿌리 깊은 적개심을 무시하며, “히틀러와 다를 바 없다”는 수사를 동원하려 들 것이다. 히틀러와 쓰딸린이 서로 다르지 않다고 무의식적으로 판단을 내릴 경우에도 쓰딸린이 반유대주의자일 것이라는 논변은 시시때때로 멈추지 않는다. 반(反)파쑈적 파씨스트라는 유치한 말장난을 굳이 자세히 논하지 않더라도, 쓰딸린이 히틀러와 다를 바 없다는 주장은 동어반복을 수없이 한 결과 “진실”로 덧칠된 유언비어들과 하등의 차이도 없다.[5]As a small sample, see Benjamin Pinkus, The Jews of the Soviet Union: a History of a National Minor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 138-45; Vojtech Mastny, The Cold War and … Continue reading

 

쓰딸린에 대한 연구에는 풍문과 험담, 억측보다 내재적 접근법에 따른 방법론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인물을 향한 내재적 연구는 쓰딸린 개인의 글과 행동에 방점을 두며, 소문을 통해 와전된 정보들과는 차원을 달리한다. 일찍이 유대인들과 분트(리투아니아, 폴란드, 러시아의 유대인 노동자총연맹)에 대하여 상세하게 다룬 ≪맑스주의와 민족 문제≫(1913)에서 쓰딸린은 유대인들처럼 사회주의 국가에 거주하는 분산된 소수민족들을 대상으로 언어와 교육, 문화, 표현의 자유를 전면적으로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쓰딸린의 이와 같은 견해는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을 확고한 입장으로 자리 잡았으며, 포그롬(pogrom)을 유발했던 짜르정의 태도와 극명하게 대조를 이뤘다.[6]I. V. Stalin, “The Russian Social-Democratic Party and Its Immediate Tasks,” in Works, vol. 1, pp. 9-30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01 [1954]), pp. 20-21; I. V. Stalin, … Continue reading 쓰딸린의 이러한 관점은 이디시ㆍ유대계 민족 기관들의 발전과 정부의 모든 층위에서 요직을 맡은 유대인들의 활동에서 드러나듯이, 유대인들에게 광범위하게 적용된 정책들과 포고령에도 어김없이 반영된 것이었다.[7]Pinkus, The Jews of the Soviet Union: a History of a National Minority, pp. 58-71, 77-84; Anna Shternshis, Soviet and Kosher: Jewish Popular Culture in the Soviet Union, 1923–1939 (Bloomington: … Continue reading

 

쓰딸린은 짜르정의 영향으로 인해 러시아 문화에 깊숙이 뿌리박힌 반유대주의에 시시때때로 대처해야 했다. 예를 들어, 그는 1927년에 노동자들과 당원들 사이에서도 출현하는 반유대주의의 모든 잔재들을 두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반드시 척결해야 할 해악”이라고 말했다.[8]I. V. Stalin, “The Fifteenth Congress of the C.P.S.U.(B.), December 2-19, 1927,” in Works, vol. 10, pp. 274-382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27 [1954]), p. 332; I. V. Stalin, … Continue reading 쓰딸린은 1931년에 미국 유대인 언론사의 인터뷰 질문에 응답하면서 “인종주의의 극단화된 형태”로서 반유대주의가 자본주의에 대한 투쟁으로부터 노동계급의 주의를 돌리기 위해 착취계급이 이용하는 고전적인 수단이라고 평가했다. 공산주의자들은 “반유대주의와 타협하지 않는 불구대천의 원수”로서 기능할 뿐이었다. 아울러, 쏘련에서 반유대주의는 쏘비에트 체제에 매우 적대적인 행위로서 법정 최고형에 해당되는 중대한 문제였다. “반유대주의 활동”을 벌인 모든 형사범들에게는 사형 선고가 내려졌다.[9]I. V. Stalin, “Anti-Semitism: Reply to an Inquiry of the Jewish News Agency in the United States,” in Works, vol. 13, p. 30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31 [1954]), p. 30; I. V. … Continue reading

 

쓰딸린의 말은 “반유대주의” 혐의를 전가하는 문필가들이 제기하는 것과 달리 단순한 공문구가 아니었다. 예컨대, 1936년 쏘련 헌법 제123조는 반유대주의 활동을 법정 최고형으로 규정했다는 점에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10]I. V. Stalin, “Constitution (Fundamental Law) of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With amendments adopted by the First, Second, Third, Sixth, Seventh and Eighth Sessions of the Supreme … Continue reading 반유대주의 활동은 인종적 비난의 경우에도 엄격한 처벌이 집행되는 사안이었다. 의외의 측면으로 들릴지 몰라도, 내무인민위원회(NKVD, KGB의 전신)의 중차대한 임무들 중 하나는 바로 멈출 줄 모르는 반유대주의 열풍에 대응하는 것이었다.[11]Pinkus, The Jews of the Soviet Union: a History of a National Minority, 84-88; Sheila Fitzpatrick, Everyday Stalinism: Ordinary Life in Extraordinary Times: Soviet Russia in the 1930 (Oxford: Oxford … Continue reading 반유대주의를 뿌리 뽑는 과제는 이른바 “악명 높은” 쏘련의 비밀경찰이 맡았던 업무의 일부였다.

 

쓰딸린의 민족문제인민위원 재직 기간(1917-24) 동안에 채택된 쏘련의 “어퍼머티브 액션”(affirmative action, [미국에서 소수민족에 대한 차별을 폐지하기 위해 추진된 정책])은[12]Terry Martin, The Affirmative Action Empire: Nations and Nationalism in the Soviet Union, 1923-1939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Terry Martin, “An Affirmative Action Empire: The Soviet … Continue reading 소수민족의 공인된 영토가 고유어 및 교육 체계의 도입과 문학의 진흥, 문화적 표현의 활성화, 그리고 현지의 사정을 반영한 지역 차원의 정부 형태와 결부되어 확립됐다는 사실을 여실하게 보여 준 정책이었다. 각지에 흩어진 소수민족에게도 지방적 자치의 테두리 안에서 영토적 기반이 분명한 민족들의 경우처럼 모든 종류의 인종적 비하와 차별 행위에 대한 강력한 처벌 등을 포함하여 민족 보호에 기반한 정책들이 추진됐다. 쓰딸린은 1913년에 일찍이 “폴란드의 유대인과 리투아니아의 레트족, 까프까쓰의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의 폴란드인을 비롯한 여러 소수민족”들을[13]Stalin, “Marxism and the National Question,” pp. 375-76; Stalin, “Marksizm i natsionalʹnyĭ vopros,” p. 362. See also the exposition of the seventh and ninth clause of the Party Program, … Continue reading 특별히 언급하면서 혁명 이후에 입안될 정책을 예비하고 있었다. 소수민족들도 마찬가지로 ―토착화 정책(Коренизация[꼬레니자찌야])[14]꼬레니자찌야(Korenizatsiia): “토착 인민”을 뜻하는 ‘korrenoi narod’의 용례로 ‘korrenoi’가 쓰인 것처럼, 파생어 ‘koren-’이 아니라 ‘koren’의 … Continue reading의 일환으로서― 고유어를 사용할 권리와, 자체적인 학교와 법정, 쏘비에트를 운영할 권리, 그리고 더 나아가 종교와 연관된 사항에서 표현의 자유를 획득할 수 있어야 했다. 1930년대 중반에 유대인들 역시 영토를 지닌 “민족”으로 분류됐으며, 비로비잔(Биробиджа́н)에 소재지를 둔 유대인 자치주를 보유하고 있었다.[15]Stalin, “Constitution (Fundamental Law) of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With amendments adopted by the First, Second, Third, Sixth, Seventh and Eighth Sessions of the Supreme Soviet of … Continue reading 비로비잔 유대인 자치주는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유대인들의 영토적 자결을 위한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에서 일정한 유산을 남겼다.[16]For a little detail, see Pinkus, The Jews of the Soviet Union: a History of a National Minority, pp. 71-76.

 

마지막으로, 종교로서 유대교에 대한 비판은 반유대주의와 어떻게 다른가? 1913년에 쓰딸린은 “오래된 종교적 풍습과 퇴락해 가는 심리적 유산들”[17]Stalin, “Marxism and the National Question,” p. 310; Stalin, “Marksizm i natsionalʹnyĭ vopros,” p. 300.이 “교권주의적인 반동적 유대교 공동체”[18]Stalin, “Marxism and the National Question,” pp. 374-75; Stalin, “Marksizm i natsionalʹnyĭ vopros,” p. 361.의 선전으로 말미암아 유지되고 있다고 논했다. 이는 반유대주의에 기반하는가? 아니다! 쓰딸린의 주장은 오히려 반(反)종교적 맥락으로부터 기인한다. 유대교 역시 다른 종교들처럼 반(反)종교 운동의 대상에 속했다. 반(反)종교 운동의 의의는 유대인들을 종교적 “근원”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대신 민족 고유의 기관과 문화에 일대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종교에 천착하지 않고도 쏘련 사회에 대한 헌신을 통해 자긍심을 함양할 수 있게 견인하는 유대인 문화의 “쏘비에트화”에 있었다.[19]Shternshis, Soviet and Kosher: Jewish Popular Culture in the Soviet Union, 19231939, pp. 1-43.

 

우리는 이 모든 것들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소문과 억측이 진실을 담지하는가? 아니면 쓰딸린의 말과 행동이 진실을 말하고 있는가? 나는 후자를 택한다. 그런데 만약 우리가 그 풍문을 약간이라도 믿고자 한다면, 그것은 뿌리 깊은 반유대주의와 함께 자랐지만 사회주의의 이름으로 그것을 뿌리 뽑으려는, 한 그루지야인[쓰딸린]의 완전히 개인적인 싸움을 가리키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노사과연

 

References

References
1 For useful collections of such hearsay, see Erik Van Ree, The Political Thought of Joseph Stalin: A Study in Twentieth-Century Revolutionary Patriotism (London: Routledge Curzon, 2002), pp. 201-7; Erik Van Ree, “Heroes and Merchants: Stalin’s Understanding of National Character,” Kritika: Explorations in Russian and Eurasian History 8, no. 1 (2007).
2 Jonathan Brent and Vladimir P. Naumov, Stalins Last Crime: The Plot Against the Jewish Doctors, 1948-1953 (New York: HarperCollins, 2003); Simon Sebag Montefiore,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London: Phoenix, 2003), pp. 626-39.
3, 4 Van Ree, The Political Thought of Joseph Stalin: A Study in Twentieth-Century Revolutionary Patriotism, p. 205.
5 As a small sample, see Benjamin Pinkus, The Jews of the Soviet Union: a History of a National Minor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 138-45; Vojtech Mastny, The Cold War and Soviet Insecurity: The Stalin Years, vol.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96), pp. 157-58, 162; Bernard Lewis, Semites and Anti-Semites: An Inquiry into Conflict and Prejudice (New York: W. W. Norton, 1999), pp. 33-38; Philip Boobyer, The Stalin Era (London: Routledge, 2000), p. 78; Konstantin Azadovskii and Boris Egorov, “From Anti-Westernism to Anti-Semitism: Stalin and the Impact of the ‘Anti-Cosmopolitan’ Campaigns of Soviet Cultur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4, no. 1 (2002); Montefiore,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pp. 310-12; Simon Sebag Montefiore, Young Stalin (London: Weidenfeld and Nicolson, 2007), p. 264; Van Ree, “Heroes and Merchants: Stalin’s Understanding of National Character,” p. 45; Paul R. Gregory, Terror By Quota: State Security from Lenin to Stalin (An Archival Stud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009), pp. 53, 265.
6 I. V. Stalin, “The Russian Social-Democratic Party and Its Immediate Tasks,” in Works, vol. 1, pp. 9-30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01 [1954]), pp. 20-21; I. V. Stalin, “Rossiĭskaia sotsial-demokraticheskaia partiia i ee blizhaĭshie zadachi,” in Sochineniia, vol. 1, pp. 11-32 (Moscow: Gosudarstvennoe izdatel´stvo politicheskoi literatury, 1901 [1946]), pp. 21-23; I. V. Stalin, “To the Citizens: Long Live the Red Flag!,” in Works, vol. 1, pp. 85-89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05 [1954]); I. V. Stalin, “K grazhdanam. Da zdravstvuet krasnoe znamia!,” in Sochineniia, vol. 1, pp. 84-88 (Moscow: Gosudarstvennoe izdatel´stvo politicheskoi literatury, 1905 [1946]); I. V. Stalin, “Marxism and the National Question,” in Works, vol. 2, pp. 300-81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13 [1953]), pp. 319-21; I. V. Stalin, “Marksizm i natsionalʹnyĭ vopros,” in Sochineniia, vol. 2, pp. 290-367 (Moscow: Gosudarstvennoe izdatel´stvo politicheskoi literatury, 1913 [1946]), pp. 308-10; I. V. Stalin, “Abolition of National Disabilities,” in Works, vol. 3, pp. 17-21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17 [1953]), p. 17; I. V. Stalin, “Ob otmene natsionalʹnykh ogranicheniĭ,” in Sochineniia, vol. 3, pp. 16-19 (Moscow: Gosudarstvennoe izdatel´stvo politicheskoi literatury, 1917 [1946]), p. 16; I. V. Stalin, “The Immediate Tasks of the Party in the National Question: Theses for the Tenth Congress of the R. C. P. (B.) Endorsed by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Party,” in Works, vol. 5, pp. 16-30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21 [1953]), pp. 17, 27; I. V. Stalin, “Ob ocherednykh zadachakh partii v natsionalʹnom voprose: Tezisy k Х s”ezdu RKP(b), utverzhdennye TSK partii,” in Sochineniia, vol. 5, pp. 15-29 (Moscow: Gosudarstvennoe izdatel´stvo politicheskoi literatury, 1921 [1947]), pp. 16, 26; Stalin, “Concerning the Presentation of the National Question,” pp. 52-53; Stalin, “K postanovke natsionalʹnogo voprosa,” pp. 52-53.
7 Pinkus, The Jews of the Soviet Union: a History of a National Minority, pp. 58-71, 77-84; Anna Shternshis, Soviet and Kosher: Jewish Popular Culture in the Soviet Union, 19231939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2006), pp. xv-xvi.
8 I. V. Stalin, “The Fifteenth Congress of the C.P.S.U.(B.), December 2-19, 1927,” in Works, vol. 10, pp. 274-382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27 [1954]), p. 332; I. V. Stalin, “XV s”ezd VKP (b) 2–19 dekabria 1927 g,” in Sochineniia, vol. 10, pp. 271-371 (Moscow: Gosudarstvennoe izdatel´stvo politicheskoi literatury, 1927 [1949]), p. 324.
9 I. V. Stalin, “Anti-Semitism: Reply to an Inquiry of the Jewish News Agency in the United States,” in Works, vol. 13, p. 30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31 [1954]), p. 30; I. V. Stalin, “Ob antisemitizme: Otvet na zapros Evreĭskogo telegrafnogo agentstva iz Аmerik,” in Sochineniia, vol. 13, p. 28 (Moscow: Gosudarstvennoe izdatel´stvo politicheskoi literatury, 1931 [1951]), p. 28.
10 I. V. Stalin, “Constitution (Fundamental Law) of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With amendments adopted by the First, Second, Third, Sixth, Seventh and Eighth Sessions of the Supreme Soviet of the U.S.S.R., Kremlin, Moscow, December 5, 1936,” in Works, vol. 14, pp. 199-239 (London: Red Star Press, 1936 [1978]), article 123; I. V. Stalin, “Konstitutsiia (osnovnoĭ zakon) soiuza sovetskikh sotsialisticheskikh respublik (utverzhdena postanovleniem chrezvychaĭnogo VIII s”ezda sovetov soiuza sovetskikh sotsialisticheskikh respublik ot 5 dekabria 1936 g.),” (Moscow: Garant, 1936 [2015]), stat’ia 123. This also applied to the earliest constitutions of republics, such as the RSFSR, Ukraine and Belorus. See Pinkus, The Jews of the Soviet Union: a History of a National Minority, pp. 52-57.
11 Pinkus, The Jews of the Soviet Union: a History of a National Minority, 84-88; Sheila Fitzpatrick, Everyday Stalinism: Ordinary Life in Extraordinary Times: Soviet Russia in the 1930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p. 169, 186-87.
12 Terry Martin, The Affirmative Action Empire: Nations and Nationalism in the Soviet Union, 1923-1939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Terry Martin, “An Affirmative Action Empire: The Soviet Union as the Highest Form of Imperialism,” in A State of Nations: Empire and Nation-Making in the Age of Lenin and Stalin, ed. Ronald Grigor Suny and Terry Martin, pp. 67-90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3 Stalin, “Marxism and the National Question,” pp. 375-76; Stalin, “Marksizm i natsionalʹnyĭ vopros,” p. 362. See also the exposition of the seventh and ninth clause of the Party Program, concerning equal rights, language and self-government in I. V. Stalin, “The Social-Democratic View on the National Question,” in Works, vol. 1, pp. 31-54 (Moscow: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04 [1954]), pp. 42-46; I. V. Stalin, “Kak ponimaet sotsial-demokratiia natsionalʹnyĭ vopros?,” in Sochineniia, vol. 1, pp. 32-55 (Moscow: Gosudarstvennoe izdatel´stvo politicheskoi literatury, 1904 [1946]), pp. 43-47.
14 꼬레니자찌야(Korenizatsiia): “토착 인민”을 뜻하는 ‘korrenoi narod’의 용례로 ‘korrenoi’가 쓰인 것처럼, 파생어 ‘koren-’이 아니라 ‘koren’의 형용사에 해당되는 ‘korennoi’에서 직접적으로 파생됐으며 볼쉐비끼에 의해 고안된 용어였다. 상세한 내용은 Martin, “An Affirmative Action Empire: The Soviet Union as the Highest Form of Imperialism,” p. 74를 보라.
15 Stalin, “Constitution (Fundamental Law) of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With amendments adopted by the First, Second, Third, Sixth, Seventh and Eighth Sessions of the Supreme Soviet of the U.S.S.R., Kremlin, Moscow, December 5, 1936,” article 22; Stalin, “Konstitutsiia (osnovnoĭ zakon) soiuza sovetskikh sotsialisticheskikh respublik (utverzhdena postanovleniem chrezvychaĭnogo VIII s”ezda sovetov soiuza sovetskikh sotsialisticheskikh respublik ot 5 dekabria 1936 g.),” stat’ia 22.
16 For a little detail, see Pinkus, The Jews of the Soviet Union: a History of a National Minority, pp. 71-76.
17 Stalin, “Marxism and the National Question,” p. 310; Stalin, “Marksizm i natsionalʹnyĭ vopros,” p. 300.
18 Stalin, “Marxism and the National Question,” pp. 374-75; Stalin, “Marksizm i natsionalʹnyĭ vopros,” p. 361.
19 Shternshis, Soviet and Kosher: Jewish Popular Culture in the Soviet Union, 19231939, pp. 1-43.

노사과연

노동운동의 정치적ㆍ이념적 발전을 위한 노동사회과학연구소

1개의 댓글

연구소 일정

2월

3월 2024

4월
25
26
27
28
29
1
2
3월 일정

1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

일정이 없습니다
3
4
5
6
7
8
9
3월 일정

3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4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5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6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7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8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9

일정이 없습니다
10
11
12
13
14
15
16
3월 일정

10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1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2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3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4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5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6

일정이 없습니다
17
18
19
20
21
22
23
3월 일정

17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8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9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0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1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2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3

일정이 없습니다
24
25
26
27
28
29
30
3월 일정

24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5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6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7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8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9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30

일정이 없습니다
31
1
2
3
4
5
6
3월 일정

31

일정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