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사회과학연구소

[기고] 우려를 넘어 분노로―좌파활동가 전국결집 제안서에 대하여

 

김태균 | 경기지역 노동전선 회원

 

* 이 글은, 지난 4월 17일에 진행되었던, 2021년 노동전선 정기 대의원대회 ‘제1부 전국 좌파활동가 결집을 위한 토론’에 제출되었던 글입니다.

 

 

1. 글을 쓰며

 

지난 4월 10일 ‘좌파활동가 전국결집 1차 추진모임(이하 추진모임)’에서 “좌파활동가 전국결집 제안서(이하 전국결집)”을 확정ㆍ제출하였다. 이날 추진모임에서 확정ㆍ제출한 전국결집의 내용을 보면 전국 좌파활동가들이 개별 가입(3천 명 이상)하는 지역 조직을 골간으로 하는 전국 조직을 건설하자는 제안이다.

 

추진모임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국결집은 이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해 봐야겠지만 실질적 내용은 제2의 노동전선을 건설하자는 제안으로밖에 볼 수 없다. 추진모임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국결집은 조직의 목표가 진보적/변혁적 대안을 만들어 내고, 좌파활동가들의 대표성을 가지며,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전국 좌파의 전국적 조직 그리고 정치 조직과의 이중 가입 형태를 인정하고, 회비를 납부하는 개별 회원 가입 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조직이다.

 

어디서 많이 들어 본 조직 아닌가?

 

2007년 출범한 ‘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은 1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전국적 좌파활동가 조직이다. 현장실천과 사회변혁을 위해 지역 전선을 기반으로 개별 활동가들이 회비를 납부하는 전국적 좌파활동가 조직이 바로 노동전선이다. 물론 친절하게도 노동전선은 정치 조직과의 이중 가입 형태를 인정하고 있다. 추진모임에서 제안한 전국결집과 노동전선의 그것은 무엇이 다른 것인가? 조직의 목표와 방향 그리고 조직적 위상과 조직 형태 및 운영에 있어 추진모임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국결집은 노동전선 그 자체를 이야기하고 있다.[1]물론 추진모임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국결집은 제안문에서 3천 명의 회원을 목표로 제시했다. 현재 노동전선의 회원이 3백 명이 채 안 되는 회원 … Continue reading

 

추진모임에서 전국결집을 통해 전국 좌파활동가들을 조직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아래의 두 가지 내용이 정리되어야 설득력이 있을 것이다.

 

우선 첫 번째 전국결집은 노동전선과 달라야 한다.

현재의 계투 상황에서 노동전선으로는 도저히 감당하기 힘들거나 어렵기 때문에 노동전선과는 다른, 즉 조직의 목표와 방향 그리고 위상과 내용 및 조직 운영 등이 전혀 다른 새로운 조직을 건설하겠다고 제안을 해야지만 추진모임의 진정성이 인정될 것이다. 그러나 지난 4월 10일 추진모임에서 확정ㆍ제안한 전국결집은 노동전선과 하등 차이가 없다. 단지 노동전선이 아니고 전국결집이면 3천 명의 회원을 희망할 수 있다는 것뿐이다. 노동전선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노동전선과 동일한 조직을 전국결집이라는 이름으로 제안하고 있는 추진모임의 진정성은 이러한 의미에서 전혀 설득력이 없다.

 

그리고 두 번째 노동전선과 전혀 다르지 않는 전국결집을 노동전선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왜 제안하고 있는 것일까?”라는 질문을 고민해 보면 결국 반조직(노동전선)적 행위임과 동시에 전국적 좌파결집(노동전선)을 해하고자 하는 반동적 행위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

추진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동지들과 그 동지들의 소속 조직들은 보면 지난 2007년 노동전선 출범 이후 노동전선의 회원으로 함께해 왔던 동지들이거나 노동전선과 공동ㆍ연대 투쟁을 해 왔던 동지들이다. 노동전선에 회원으로 함께해 왔던 동지들은 노동전선이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잘못되었다는 평가도 없이 탈퇴하거나 이름만 걸어 두고 노동전선 활동을 안 하다가 지금 노동전선과 똑같은 전국결집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공동ㆍ연대 투쟁을 할 수밖에 없는 조건임을 인정하고 함께했던 공동ㆍ연대 투쟁의 동지들 또한 노동전선에 가입을 주저하면서 그나마 공동ㆍ연대 투쟁을 해 왔던 동지들이다. 그 동지들을 폄하하고자 함은 아니다. 노동전선에 가입하지 못했던 이유가 있음[2]물론 그 이유는 정확하게 모른다. 다만 노동전선에 직접 가입하지 못했기 때문에 공동ㆍ연대 투쟁했던 것은 분명하다. 노동전선에 가입하지 못함에도 … Continue reading에도 불구하고 노동전선과 동일한 전국결집을 제안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결국 또 다른 종파적 행위 속에 노동전선을, 전국적 좌파 현장 조직을 해하고자 하는 행위는 아닐까?

 

여하튼 4월 10일 추진모임에서 전국결집을 제안했다. 그리고 노동전선은 4월 17일 대의원대회에서 이 문제를 논의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지난 4월 4일 노동전선 운영위원회에서 이 문제를 가지고 노동전선 운영위원 동지들이 논의를 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4월 4일 운영위원회 동지들의 논의는 추진모임 전국결집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3]물론 4월 4일 운영위원회는 4월 10일 추진모임 전국결집 제안서가 나오기 전 회의였다. 그러나 4월 10일 전국결집 제안서에 대한 정보와 내용을 충분히 … Continue reading에 비해 긴장도가 떨어졌던 회의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당장의 결정 사항이 아니다”부터 “개별 가입도 있지만 조직 가입도 할 수 있지 않을까?”, “당장 노동전선을 해산하는 것은 아니다”, “4월 17일 대의원대회에서 당장 결정하지 않고 이후 논의하면 된다”는 식의 운영위원 동지들의 논의는, 회비를 납부하는 회원을 기본으로 지역 조직을 골간으로 하는 전국 좌파 결집 조직을 오는 11월 전노대에서 결성하자는 추진모임의 전국결집 제안에 비해 긴장도가 떨어져도 한참 떨어지는 논의 수준이었다.

이 글은 4월 10일 추진모임에서 확정ㆍ제안하고 있는 전국결집에 대한 글이다. 그리고 이 글은 노동전선 회원 동지들에게 드리는 글이기도 하다. 그리고 가능하면 오는 4월 17일 노동전선 대의원대회에서 논의가 되어 노동전선의 입장으로 확정이 되었으면 하는 글이다.

 

 

2. 노동전선(전국 좌파활동가 조직)의 역사

 

한국의 좌파활동가 조직의 태동은 87년 노동자 대투쟁의 과정이었다. 어용 한국노총의 굴레를 벗고 민주노조를 건설하고자 전국의 활동가 동지들은 87년 노동자 대투쟁의 과정에서 목숨을 건 투쟁을 전개해 왔다. 단위 노동조합을 건설하고 파업 투쟁을 조직하고 현장 노동자들을 주인으로 묶어세우는 그 모든 역할을 마다하지 않았다. 이러한 동지들의 헌신으로, 87년 노태우의 6ㆍ29 선언 이후 10월 31일까지 총 3,235건의 파업 투쟁과 122만 명의 노동자 파업 대오, 하루 44건의 쟁의 행위가 가능했다.

 

어용 한국노총 산하 노조를 민주화시키고, 없던 사업장에서 민주노조를 건설하고, 새롭게 건설되고 변화된 민주노조를 중심으로 파업 투쟁을 조직하고 전개하고 만들어 갔던 이 모든 투쟁의 한복판에 전국 좌파활동가 동지들이 있었다. ‘기아자동차 평등세상을 여는 노동자회’, ‘기아정기 노조 민주화 추진위원회’, ‘대우자동차 현장조직 건설 추진위원회’, ‘대우캐리어 평등세상 실천하는 노동자회’, ‘만도기계 비전연구모임’, ‘현대정공 민주동지회’, ‘현대자동차 민주노동자 투쟁위원회’, ‘현대중공업 전진하는 노동자회’, ‘한라중공업 민주노동자 투쟁위원회’, ‘한국타이어 실천하는 노동자회’, ‘한라공조 현장조직 준비위원회’, ‘금호타이어 현장조직 추진위원회’ 등으로 조직되어 활동했던 전국의 좌파활동가 동지들이 바로 그들이었다.

 

노민추(노조민주화추진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했던 87년 기업별 현장 조직 운동은 현장 조직의 조직적 위상과 함께 각 조직의 위상의 관계 논쟁에서 “노동조합–현장 조직–정치 조직”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이러한 논의는 현재 노동전선 내부에서도 치열한 논쟁의 지점이기도 하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사회주의 조국이라 할 수 있는 쏘련의 해체(1991년) 등은, 이러한 기업별 현장 조직 운동의 이념적 지양점이 흔들리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90년 세계적 대공황과 맞물리며 자본의 노동 통제 전략의 급변과 이에 대한 노동자 운동의 대응 방향에 대한 고민이 겹치면서 전국 기업별 활동가 조직은 전국적 대응체로의 전환을 꾀하게 되었다.

1996년 출범한 ‘전국현장조직대표자회의(이하 대표자회의)’[4]전국현장조직대표자회의 참석과 참관 조직 참석 조직(14개 조직) 참관 조직 기아차 평등회, 대우차 대현추, 한타 실노회, 한라공조 현준위, … Continue reading가 바로 그것이다. 대표자회의 출범 이전 노동조합 운동은 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노협)를 건설(1990년)하고 곧이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을 건설(1995년)하였다. 기업별 현장 조직을 넘어 전국적 조직체로서의 대표자회의의 출범은 사회적 합의주의 세력에 의한 민주노총의 어용화에 대한 분노였고, 자본과 정권의 신자유주의 노동 통제 전략에 대한 전국 좌파활동가 동지들의 투쟁의 조직체였다.

 

1990년 사회주의권의 붕괴로 인해 눈치를 볼 필요가 없어진 자본과 정권은 정리해고제와 근로자파견제 확대를 중심으로 한 노동의 유연화와 노동자계급 투쟁을 저지하고자 노사관계개혁위원회(노개위), 노사정위원회 등 사회적 합의기구를 동원하는 노동 통제 전략을 전개하게 된다. 자본과 정권의 사회적 합의주의를 동원한 노동 통제 전략은 전노협에서 민주노총으로 전화하는 과정에서 치밀하게 전개된 공작을 근거로 하고 있다.

자본과 정권의 독점이윤에 의해 배양된 민주노조 내부의 사회적 합의주의 세력은 1996년 김영삼 정권의 정리해고제를 중심으로 한 날치기 노동법 통과에 항의하며 투쟁을 전개했던 96ㆍ97 노동법 개악 저지 투쟁의 성과를 무로 돌렸다. 민주노총 초대 위원장이었던 권영길 등 사회적 합의주의 세력은 96ㆍ97 총파업 투쟁을 수요 투쟁으로 전환하고, 권영길 위원장 사퇴 이후 직무대행으로 나섰던 국민파 배석범 직대의 총파업 포기는 자본과 정권의 치밀한 사회적 합의주의 공작이었고, 이후 지금까지 민주노총 내부에서 암약하는 사회적 합의주의 세력의 토대가 되었다.

 

대표자회의는 바로 이러한, 즉 사회적 합의주의 세력의 민주노총 어용화에 반대하면서 기업별 현장 조직의 한계를 넘어 전국적 대응을 전개하고자 했던 전국 좌파활동가들의 전국적 활동이었다. 이후 전국 좌파활동가들은 기업별 현장 조직의 대표자회의 체계로는 체계적ㆍ일상적으로 자본과 정권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고, 전국적 좌파활동가들의 전국적 조직, 회비를 내고 안정적인 집행력을 구축하고, 지역적 조직을 기반으로 하는 전국적 좌파활동가 조직 건설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되었다.

 

2003년 3월 ‘금속 현장 조직 모임’을 시작으로 2005년 4월 지역과 업종별 현장활동가 조직 토론회, 2005년 5월 좌파 현장활동가 토론회, 2005년 9월 좌파 현장활동가 토론회 그리고 2006년까지 3회에 걸쳐 전국 순회 간담회를 거쳐, 2006년 9월 충남 논산에서 400여 명의 전국 좌파활동가 동지들이 모여 ‘전국 활동가대회 및 준비위원회’[5]당시 지역 준비 위원회는 제주, 전북, 충남, 대구, 경기, 부산, 강원, 충북, 대전, 부천, 인천, 서울, 울산, 광주전남이 조직되었다.를 출범하였다. 이후 준비위원회는 마침내 2007년 4월 ‘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을 출범시켰다.

 

노동전선의 출범은 지난 87년 노동자 대투쟁의 과정에서 분투했던 기업별 현장 조직이 전국현장조직대표자회의를 거쳐 전국적 좌파활동가 조직을 건설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노동전선은 제조업 대공장에서 비제조업과 지역까지 포괄하는 조직으로, 국민파ㆍ중앙파와는 달리 이념적 분화를 넘어 좌파의 전국적ㆍ조직적 결집이라는 의미가 있다.

 

추진모임은 노동전선의 조직 건설과 동일한 방안으로, 예를 들면 지역 준비위 출범, 지역 간담회 등의 조직화 경로와 조직의 방향과 목표 그리고 조직 운영 방침 등이 똑같다. 어쩜 이렇게 같을 수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그런데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럴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바로 1987년 노동자 대투쟁부터 2007년 노동전선 출범까지 함께했던 동지들이 추진모임에서 전국결집을 제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금 이야기하지만 노동전선은 전국 좌파활동가들의 전국 조직이다. 노동전선은 회비를 내는 개인 회원이 가입하는 전국 좌파활동가 조직이다. 노동전선은 지난 87년 노동자 대투쟁의 과정에서 ‘기업별 현장 조직’ 활동으로, ‘전국현장조직대표자회의’로 그리고 ‘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으로 발전해 온 전국 좌파활동가들의 대표 조직이다.

 

 

3. “추진모임의 전국결집 제안”은 무슨 의미인가?

 

추진모임은 지난 2021년 1월 23일 이영주 선투본이 전국 선거 투쟁 평가회의를 진행하면서 만든 조직이다. 이날 선투본은 “이영주 선투본을 좌파활동가 전국결집을 위한 추진모임”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후 추진모임은 세 차례의 실무모임(2월 18일 1차, 2월 27일 2차, 3월 28일 3차)을 진행하고, 4월 10일 ‘좌파활동가 전국결집 1차 추진모임’을 통해 전국결집 제안문을 확정ㆍ제안하였다.

 

전국결집 제안문은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노동전선과 다름이 하나도 없는 조직화 경로와 조직 방향 및 목표, 조직 운영 등을 제시하고 있다. 전국결집 제안서의 내용[6]4월 10일 추진모임에서 확정ㆍ제안된 “현장 활동 복원! 지역조직 건설! 조직 통합과 조직 확대! 좌파활동가 조직 건설을 제안합니다.”을 보면, “작년 선거 투쟁[7]2020년 실시한 민주노총 직선 3기 선거.의 과정에서 확인된 좌파 조직의 전국적인 고립 분산 상태를 점검(했고)”, “선거연대를 넘어, 일상적으로 함께 투쟁하고 함께 논의하며 민주노조 운동 강화와 비전을 만들어갈 조직”, “진보적ㆍ변혁적 대안을 만들어 내고”, “좌파활동가의 대표성을 가질 수 있도록”, “지역을 기반으로 한 전국 조직”, “정치 조직과의 이중 가입 형태를 통해”, “회비를 납부하는 개별 회원 가입 방식을 기본”, “출범 이전까지 지역 추진 모임을 건설하고, 지역 조직화를 시작”, “6월까지 추진모임 시기로 순회 토론, 10월까지 준비위원회 건설 시기로 회칙 마련과 집행 체계 구축, 11월 노동자대회에서 본 조직 출범”이다. 그리고 주요 전국결집의 주요 사업으로는 “위기에 몰린 노동자 투쟁을 지역 연대 투쟁으로, 사회적 합의주의를 넘어, 대선 방침” 등이다.

 

추진모임이 제안하고 있는 전국결집 제안문은 노동전선의 그것과 비교해 볼 때 하나도 다르지 않다. 아무리 눈을 싹싹 씻고 봐도 2003년부터 수차례의 토론과 순회 간담회를 거쳐 2007년 4월 출범한 노동전선의 그것과 하나도 다름이 없다. 도대체 왜 추진모임은 이런 무리수를 두는 것일까? 그냥 노동전선으로 가입해서 전국결집을 제안했던 노동전선의 그것을 집행하면 왜 안 되는 것일까?

 

노동전선은 작년 민주노총 직선 3기 선거 투쟁을 앞두고 민주노총 내부에서 암약하는 사회적 합의주의 세력을 척결할 것을 지상 과제로 삼은 바가 있다. 이는 직선 2기 김명환 집행부의 사회적 합의주의 노골화에 맞서 김명환 퇴진 및 문재인 정권의 사회적 합의주의 분쇄 투쟁을 잇는 투쟁 기조이기도 했다.

 

이에 노동전선은 민주노총 직선 3기 선거를 앞두고 좌ㆍ중ㆍ우로 분열되어 있던 전국의 활동가 동지들에게 간절하게 호소하면서 함께할 것을 제안한 바가 있다. 좌ㆍ중ㆍ우 연대ㆍ연합 후보 전술을 통해 사회적 합의주의에 반대하는 모든 세력에 모여 민주노총 직선 3기 선거에 공동으로 임하자는 제안이 바로 그것이었다.

 

그러나 전국회의의 독자 출마와 노동전선 회원인 이영주, 이호동 회원의 독자 출마가 확정되면서 사실상 노동전선의 좌ㆍ중ㆍ우 연대ㆍ연합 후보 전술을 통한 사회적 합의주의 세력 분쇄 선거 투쟁은 1차적으로 실패했다. 이후 노동전선은 차선으로 이영주 선투본에 집중해서 선거 투쟁을 전개할 것으로 결의하고 선거 투쟁을 전개했으나, 이 또한 낙선을 하면서 민주노총 직선 3기 임원 선거 투쟁에서 노동전선은 최종적으로 실패를 했다.

 

노동전선의 좌ㆍ중ㆍ우 연대ㆍ연합 선거 전술은 노동전선 내부에서도 많은 문제 제기가 있었다. 그러나 결정이 되었다. ‘중앙파나 우파(전국회의)와 어떻게 함께할 수 있는가? 김명환 사회적 합의주의 세력은 전국회의 후보였지 않았나, 전국회의 또한 사회적 합의주의 세력과 무엇이 다른가?’라는 식의 문제 제기는 노동전선 내부의 치열한 논쟁을 촉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좌ㆍ중ㆍ우 연대ㆍ연합 선거 전술이 확정 되었다.

 

문제는 그 이후였다. 전국회의야 노동전선이 아니니까 전국회의 독자적 논의 구조가 있어 노동전선의 제안(좌ㆍ중ㆍ우 연대ㆍ연합 선거 전술)을 안 받으면 그만이었다. 문제는 노동전선 회원인 이영주와 이호동의 독자 출마[8]이후 노동전선은 이영주 선대본을 지지하고 이호동은 징계 제명 처리하였다.였다. 이영주와 이호동 동지는 노동전선이 치열한 내부 논의를 통해 좌ㆍ중ㆍ우 연대ㆍ연합 선거 전술을 확정하는 과정에 별도로 독자 출마 이야기들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특히 이영주 선대본의 경우 노동전선의 좌ㆍ중ㆍ우 연대ㆍ연합 선거 전술 확정의 과정에서 이영주를 중심으로 한 좌파 독자 출마 논의를 하면서 선투본을 구성하고 논의하고 있었다. 결국 노동전선의 좌ㆍ중ㆍ우 연대ㆍ연합 선거 전술은 전국회의에게 그리고 이영주와 이호동 우리 조직 회원들에게조차 동의가 안 되면서 실패한 전술이 되었다. 이렇게 선거 투쟁이 끝나고 난 뒤 이영주 선투본에서 추진모임을 결의하고 노동전선과 똑같은 전국결집을 제안하였다.

 

앞에서도 지적을 했듯이 추진모임의 전국결집이 전국의 동지들에게 진정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우선 첫 번째로 지난 19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 전국의 좌파활동가들의 조직의 역사인 ‘기업별 현장 조직–전국현장조직대표자회의–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 즉 노동전선과 전국결집의 차이점을 분명하게 제시해야 한다.

현재 추진모임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국결집 제안문의 내용대로라면 노동전선과 전국결집은 단 1도 차이점[9]아니, 딱 0.00001 차이점이 있다. 노동전선은 300여 명의 회원인데 전국결집은 3천 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뿐.이 없다. 만약 전국결집 제안문의 내용처럼 노동전선과 1도 차이가 없는 조직 건설을 제안하고 있는 것이라면 좁게는 노동전선의 입장에서 반조직적 행위이며, 넓게는 전국 좌파활동가 조직의 강화를 위한 노동전선의 핵심 사업을 방해하는 반동적 행위일 뿐이다.

 

두 번째로 노동전선이 현존함에도 불구하고 노동전선과 1도 다르지 않는 전국결집을 제안하는 것이 만약 노동전선의 한계라고 한다면 전국결집은 노동전선의 한계를 분명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노동전선의 조직의 건설 경로, 조직 운영, 조직의 목표와 방향 등을 전국결집은 제안서를 통해 동일하게 제안하고 있다. 조직 형태와 목표, 방향, 운영 방식 등을 동일하게 제안하면서 노동전선은 안 된다는 전국결집의 제안이라면 결국 “노동전선의 지도집행력은 안 되고 내가 해야 한다”는 식의 종파적 사고에 기반한 것일 수밖에 없다는 합리적 의심을 추진모임은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노동전선과 단 1이라도 달라야 새로운 조직을 건설하는 것이 아닌가? 결국 내가 아니면 안 된다는 식의 사고에 기반해서 제출된 제안이라면 운동적 도의로도 도저히 용납해서는 안 되는 행위일 것이다.

 

세 번째 추진모임에 참여하는 동지들이 진정성을 보여 줘야 한다.

추진모임의 주요 참여 동지들은 많은 수가 노동전선에서 활동을 했던 동지들이다. 노동전선이 무엇이 문제고 무엇을 극복해야 한다는 식의 평가도 없이 노동전선을 탈퇴하거나 활동을 접은 동지들이다. 이러한 동지들이 노동전선과 1도 다르지 않는 새로운 조직 전국결집을 제안하자고 하고 있다.

나는 기본적으로 신뢰하지 않는다. “당을 만들자고 혹은 만든 이후 노동전선을 탈퇴하거나 활동을 접은 동지들이 왜 또 노동전선은 아니고 노동전선과 1도 다르지 않는 전국결집을 제안하고 있는 것일까?”, “당 만들어 놓고 안 되니까 다시 현장 조직으로 돌아오려고 하는 것일까?”, “아니면 현장 조직 없으면 선거 사업(의회)도 안 되니까? 선거 사업 좀 하려고 전국결집을 제안하는 것인가?”

 

노동전선의 좌ㆍ중ㆍ우 연대ㆍ연합 선거 전술을 깨고 이영주 선투본을 중심으로 좌파 독자 후보 선거 투쟁을 했던 동지들이 노동전선과 1도 다르지 않는 전국결집을 제안했다. 그리고 그 제안의 중심에 노동전선 활동을 하다가 아무런 평가 없이 탈퇴하거나 활동을 접은 동지들이 있다. 추진모임의 전국결집 제안은 도대체 어떤 의미인가?

 

 

4. 노동전선은 전국결집에 개인 회원이 아니라 조직적으로 참여ㆍ활동할 것을 제안한다

 

추진모임의 전국결집 제안의 내용을 보면 노동전선과 같다. 제안문의 내용대로라면 노동전선 회원이 가입하는 방안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노동전선에 회비 내면서 회원으로 있는 상황에서 노동전선과 1도 다름이 없는 전국결집에 회비 내고 조직원으로 가입하는 경우[10]물론 이 경우는 노동전선이 동일한 조직의 위상을 가지고 있는 전국결집과 이중 가입 형태를 인정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제안문에는 안 나와 있지만 … Continue reading하면 동일한 조직에, 굳이 두 개의 조직에, 없는 돈을 내면서 이중 가입해서 활동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전국결집 또한 지역 조직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지역 전선과 지역 전국결집과 동일한 지역에서 활동한다는 것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한번쯤 진지하게 고민해 봐야 할 문제이다.

 

두 번째는 노동전선을 해산하고 전국결집에 가입하는 경우의 수다. 이는 앞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노동전선은 왜 안 되고 전국결집은 왜 되는가?”라는 질문에 답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난 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 전국 좌파 현장활동가들의 역사에 대한 평가와 직접적으로 2007년 건설된 ‘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요구된다. 평가 작업 없이, 그리고 평가를 통한 노동전선의 한계와 극복에 대한 명확함 없이 노동전선 해산과 전국결집 가입이라면 이는 종파적ㆍ반조직적 행위일 수밖에 없다.

 

전국결집은 “사회적 합의주의 분쇄를 위한 공동 투쟁체”로 전국적 공투제로 제안을 바꿔야 한다

 

노동전선은 지난 민주노총 직선 3기 임원 선거 투쟁에서 좌파의 연대ㆍ연합을 넘어 좌ㆍ중ㆍ우 연대ㆍ연합 후보 전술을 제안한 바가 있다. 이러한 노동전선의 결정은 현재 민주노총을 향한 자본과 정권의 집요한 사회적 합의주의 공작과 민주노총 내부에서 암약하는 사회적 합의주의 세력에 맞선 연대ㆍ연합 전술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충정이었다.

 

노동전선의 이러한 충정은 전국결집 제안문에 대해 답을 해야 한다. 노동전선과 1도 다르지 않는 조직 건설이 아니라 사회적 합의주의 반대를 위한 노동 운동 내부의 모든 세력의 연대ㆍ연합의 투쟁체 건설로의 전환을 전국결집에 역제안을 해야 한다.

노동전선과 똑같은 새로운 조직 건설이 아니라 사회적 합의주의 분쇄를 위해 이에 동의되는 모든 동지들이 공동의 과제를 가지고 공동의 투쟁을 전개하는 새로운 투쟁체 건설에 전국결집은 복무를 해야 할 것이다.

 

노동전선 대의원 동지들에게 호소합니다

 

전국결집은 노동전선과 하등의 차이가 없는 조직을 새롭게 건설하자고 하고 있다. 그것도 지난 전국 좌파활동가 조직에 대한 평가도 없이, 그리고 노동전선에 대한 평가도 없이 제안하고 있다. 전국결집 제안문은 결국 종파적 사고에서 제출되고 있는 반조직적 행위이며, 노동전선이 제기하고 있는 사회적 합의주의 분쇄를 위한 연대ㆍ연합 투쟁을 방해하는 반동적 행위일 수밖에 없다.

 

전국결집은 “회비 내는 개인 회원이 가입하는 전국 조직”이 아니라 “사회적 합의주의 분쇄를 위한 전국 활동가의 투쟁체”로서, 조직 단위로 결합하는 투쟁 연대체로의 조직적 위상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국결집의 “개인 회원 가입 기본” 조항을 무력화해야 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당면한 투쟁인 “사회적 합의주의 분쇄 투쟁을 분명히 하면서 이에 동의하는 모든 동지들의 공동 투쟁체”라는 조직적 위상을 분명히 할 수 있게끔 노동전선이 강제해야 한다.

 

우리는 오는 4월 17일 대의원대회에서 추진모임의 전국결집 제안에 대해 논의를 할 예정이다. ‘조직의 해산이냐? 아니냐?’라는 갈림길에서 긴장력을 가지고 논의에 임하자. 우리는 지난 87년 노동자 대투쟁의 역사에서 시작된 ‘기업별 현장 조직 운동과 전국현장조직대표자회의 그리고 현장실천 사회변혁 노동자전선’의 전국 좌파활동가 동지들의 역사를 움켜쥐고 있는 동지들이다. 역사를 통해 우리는 미래의 과제를 분명히 할 수 있다.

 

4월 17일 노동전선 대의원대회의 힘찬 논의를 기대하며

2021년 4월 11일, 김태균(경기 전선) 드림

 

References

References
1 물론 추진모임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국결집은 제안문에서 3천 명의 회원을 목표로 제시했다. 현재 노동전선의 회원이 3백 명이 채 안 되는 회원 규모로 보면 많은 차이가 난다. 노동전선 가지고도 3백 명의 전국적 좌파 현장활동가들을 조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추진모임에서 전국결집을 제안하면 3천 명의 전국 좌파활동가들이 집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은 그 어디서 나오는 걸까?
2 물론 그 이유는 정확하게 모른다. 다만 노동전선에 직접 가입하지 못했기 때문에 공동ㆍ연대 투쟁했던 것은 분명하다. 노동전선에 가입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노동전선과 동일한 전국결집을 제안했다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 동지들에게 묻고 싶다. 노동전선은 안 되고 전국결집은 왜 가능한 것인지? 노동전선과 전국결집은 무슨 차이가 있는지? 이 문제를 분명하게 하지 않으면 결국 종파적 행위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노동전선에 가입하지 못(?)하고 공동ㆍ연대 투쟁을 해 왔던 동지들이 노동전선에 가입을 못 하면서 동일한 전국결집을 제안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3 물론 4월 4일 운영위원회는 4월 10일 추진모임 전국결집 제안서가 나오기 전 회의였다. 그러나 4월 10일 전국결집 제안서에 대한 정보와 내용을 충분히 알고 있었을 것이고, 이 문제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었다는 결과서를 보면 비록 제안서 제출 사전 회의이지만 조직적 긴장이 붙었어야 하는 회의였다.
4 전국현장조직대표자회의 참석과 참관 조직

참석 조직(14개 조직)

참관 조직

기아차 평등회, 대우차 대현추, 한타 실노회, 한라공조 현준위, 현중 전노회, 현차 민투위, 현대정공 동지회, 아시아차 현장추, 한라중 현장투, 대우케리어 현장, 기아정기 노민추, AP 현민연, 현장전주 노해투, 만도기계 비전연구모임

부평아남반도체 현장을 사랑하는 노동자회, 대우중 미래의 희망을 여는 노동자회, 대한이연 실천위, 신탄진 노동자회, 늘 푸른 노동자 학교, 금타 금현추, 전해투

5 당시 지역 준비 위원회는 제주, 전북, 충남, 대구, 경기, 부산, 강원, 충북, 대전, 부천, 인천, 서울, 울산, 광주전남이 조직되었다.
6 4월 10일 추진모임에서 확정ㆍ제안된 “현장 활동 복원! 지역조직 건설! 조직 통합과 조직 확대! 좌파활동가 조직 건설을 제안합니다.”
7 2020년 실시한 민주노총 직선 3기 선거.
8 이후 노동전선은 이영주 선대본을 지지하고 이호동은 징계 제명 처리하였다.
9 아니, 딱 0.00001 차이점이 있다. 노동전선은 300여 명의 회원인데 전국결집은 3천 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뿐.
10 물론 이 경우는 노동전선이 동일한 조직의 위상을 가지고 있는 전국결집과 이중 가입 형태를 인정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제안문에는 안 나와 있지만 전국결집에서도 노동전선의 회원이 전국결집에 가입하는 이중 멤버십을 허용해야 한다. 이는 현차의 민투위처럼 기업별 현장 조직과는 분명하게 차이가 있다. 민투위야 기업별 현장 조직이지만 노동전선은 전국결집과 동일한 위상인 전국 조직이기 때문이다.

노사과연

노동운동의 정치적ㆍ이념적 발전을 위한 노동사회과학연구소

5개의 댓글

연구소 일정

3월

4월 2024

5월
31
1
2
3
4
5
6
4월 일정

1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3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4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5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6

일정이 없습니다
7
8
9
10
11
12
13
4월 일정

7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8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9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0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1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2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3

일정이 없습니다
14
15
16
17
18
19
20
4월 일정

14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5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6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7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8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9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0

일정이 없습니다
21
22
23
24
25
26
27
4월 일정

21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2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3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4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5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6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7

일정이 없습니다
28
29
30
1
2
3
4
4월 일정

28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9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30

일정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