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사회과학연구소

초기 맑스ㆍ엥겔스의 공황관과 공황분석

 

나카가와 히로시(中川弘)

                      福島大學 經濟學部 교수

 

 

맑스가 경제학 연구의 성과를 하나의 정리된 이론, 즉 경제학 비판 체계로서 전개하려는 구상을 최초로 밝힌 것은 1850년대 중반이다. 그의 경제학 비판 체계의 마지막 편에 “세계시장”(세계시장과 공황)이 배치된 것은 세계시장 공황이야말로, “부르주아적 경제의 모든 모순의 현실저인 총괄 및 폭력적 조정”으로서, 자본주의적 생산관계에 대해서 너무나도 강대해지고 지나친 생산력의 반역의 의사표시임과 동시에, 그것을 계기로 자본주의의 사활의 명운을 건 계급대립이 첨예화된다는 의미에서 그 폭발은 생산양식의 “새로운 역사적 형태를 수용하라는 압박”을 의미한다고 인식하고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1)

‘추상’에서 ‘구체’로 범주 상호간의 내적 연관을 밝히면서 구축되는 맑스의 경제학비판 체계는 공황에 관한 ‘추상적 형태규정’으로부터 ‘구체적 형태규정’으로의 발전관계를 이론적으로 해명하는 공황론 체계로서 총괄되도록 구상되어 있는데, 맑스의 경제이론의 혁명적 진수(眞髓)가 ‘비판의 무기’인 점에 있다고 얘기되는 것도 무릇 공황과 공황론에 대한 위와 같은 의의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2)

 

 

A. 공황관의 확립과 그 의의의 평가

 

(1) 공황관의 확립

 

위에서 서술한 공황관(恐慌觀) 혹은 ‘공황과 혁명의 경제학’이라고 그 특징을 응축할 수 있는 바로 그 경제이론의 성격이 맑스ㆍ엥겔스에 의한 경제학 연구의 ‘초기’ 시대, ‘초기’ 단계에 획득된 것임은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연구가 똑같이 인정하는 바이다. 예컨대, 스기하라 시로(杉原四郞)의 <<맑스경제학의 형성>>(未來社, 1964, 제4장), 같은 저자의 <<맑스경제학으로의 길>>(未來社, 1967, p. 118) 등을 보라.

스기하라 씨는 이러한 공황관은 <<공산당선언>>에 집약되어 있다며, <<선언>>에서의 공황 파악의 특징을 ① 주기적 과잉생산공황으로 규정하고 있고, ② 근대적 생산력과 부르주아적 생산관계의 모순으로서 파악하고 있으며, ③ 그 누진적 재발을 체제적 위기와의 관련 속에서 파악하고 있다고, 세 가지로 정리하고 있다(위 <<맑스경제학의 형성>>, p. 76). 또 <<선언>> 직전에 엥겔스가 기초한 “공산주의의 원리”에서도 공황을 ① 산업자본의 전기구적 확립의 소산으로서, ② 세계시장에 미치는 주기적 과잉생산공황으로서, ③ 근대적 생산력과 부르주아적 생산관계의 기본적 모순의 표현으로서, ④ 체제변혁의 압박이라는 의의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파악하고 있고, 스기하라 씨는 그것에 <<선언>>의 내용을 “보완”하는 것으로서의 지위를 부여하고 있다(위 <<맑스경제학으로의 길>>, p. 121).

다카스카 요시히로(高須賀義博) 씨도 또한 기본적으로 같은 관점에서 이 주제에 관해서 꼼꼼히 고찰하고 있다(<<マルクスの競爭ㆍ恐慌觀>>, 岩波書店, 1985). 다카스카 씨의 주장의 요체는 다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① “전기(前期) 맑스”의 시기(즉, 1857년의 <<경제학비판 요강>> 집필 이전)에 확립된 ‘공황 본질관’의 특징은, 공황은 가) 순환성 공황이고, 나) 세계시장공황이며, 다)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모순의 폭발로서의 공황이고, 라) ‘과잉생산’이 공황의 근본현상이며, 순환을 반복할 때마다 차츰 강대화되고 격화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같은 책, pp. 142-46)는, 4가지 점에 있다고 인정할 수 있고, ② 동시에, 위 다)와 라)로부터의 필연적 귀결로서 사회혁명은 “새로운 공황의 결과로서만 가능하다”라는 “공황ㆍ혁명 테제”가 공식화되고, 이것이 공황의 이론적 해명을 중시한 맑스의 경제학 연구의 “내적 추진력”ㆍ“이론 구축을 위한 비전”이 되어, “전기 맑스” 시기 이후에도 “일관해서 유지되고 있지 않았나 미루어 생각”(같은 책, p. 149)할 수 있는, 이상 2가지이다.

 

 

(2) 공황관 불변설

 

경제학 연구의 초기 단계의 공황관과 공황과 혁명의 관계에 관해서,  양자가 어떻게 파악되고 있었는가에 관한, 위에서 서술한 것과 같은 사실인식(“공황ㆍ혁명 테제”의 확립)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견해가 일치하지만, 1860년대 이후 그것이 여전히 견지되고 있었는가 하는 점을 포함하여 그 의의의 평가에 관해서는 견해가 나뉜다.

다카스카 씨는, 앞에서 말한 것처럼, 이러한 공황관이 그 후 “일관해서 유지되고 있지 않았나 미루어 생각”할 수 있다고 하고 있었다. 다만 엄밀히 하기 위해서 덧붙이자면, 다카스카 씨는 “공황ㆍ혁명 테제”가 역사적으로 “실증”되지도 않았고, 이 테제에 거는 “열기”를 만년의 맑스는 상실하고 있었다, 즉 “은밀히 방기하고 있었다”라고도 미루어 생각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엥겔스는 죽기 직전에 테제가 “환상”이었다고 “심각하게 반성”하고 방기할 때까지 견지하고 있고, 그 영향은 독일 사회민주당의 “에르푸르트 강령”(1891년)에 여실히 나타나 있다고 지적하고 있는 데(같은 책, pp. 149-53)에 유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3)

스기하라 씨도 마찬가지로 맑스ㆍ엥겔스에 있어서 공황의 필연성의 해명은 단순한 경제이론상의 중심문제일 뿐 아니라 정치적ㆍ실천적으로도 결정적인 중요성을 갖는 문제이고, 현실의 공황의 예측과 전망은 혁명운동의 “전략전술 수립과 밀접히 결부된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서 “평생 절실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관심”을 기울였던 문제였다며,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① <<자본론>>은 공황의 격화=혁명의 객관정세의 성숙이라는 인식과 함께, “조직된 프롤레타리아트라고 하는 형태로 혁명의 주체적 에너지가 축적돼 간다고 하는 필연적인 역사의 발걸음”(위 <<맑스경제학의 형성>>, p. 192)도 자본주의의 운동법칙에 비추어 해명하고 있고, ② “공황론의 전개를 그 배후에서 떠받치고 있는” 이러한 노동자계급론은 “맑스경제학의 주춧돌을 놓은 1840년대의 노동소외론의 궁극적인 구체적 형태”, 노동소외론의 <<자본론>>에서의 “질적인 심화”라고 파악해야 할 문제이다(같은 책, pp. 192-94).

 

 

(3) 공황관 변경설

 

이에 대해서, 예컨대 오우치 히데아키(大內秀明) 씨는 이러한 견해를 비판적으로 논박하고 있다(<<景氣と恐慌>>, 紀伊國屋書店, 1966). 오우치 씨의 주장의 요점은 이렇다.

① 자본주의가 세계자본주의로서 존립하는 이상, “자본주의―공황―혁명”이라고 하는 관련은 “세계자본주의―세계시장공황―세계혁명”이라고 하는 “전략도식”을 그릴 수 있는 규모의 것으로서 생각되고 있었음은 <<공산당 선언>>에서 명백했지만(같은 책, pp. 16, 27), 이러한 공황 파악은 엥겔스의 영향을 농후하게 받고 있었기 때문에 공황=“무정부적인 자유경쟁에 의해서 초래되는 상품의 시장 범람”이라는 식으로 “경쟁론적인 공황 파악”에 머문다(같은 책, p. 32)고 하는 “이론적 결함”을 면하지 못하고 있었고,4) 공황과 자본주의의 붕괴를 직결시키는 위와 같은 “전략도식”은 이러한 “이론적 결함”의 소산이었다고도 말할 수 있는 것이었다며, 그러한 공황 파악의 의의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② 동시에 그것은, 가) 이론 곧 경제학과 실천 곧 혁명운동을 통일하는 것으로서의 공황론이라는 지위를 바로 그 이론에 부여하고, 나) “경제법칙”을 “순수자본주의”의 내부구조와 운동기구를 관통하는 “자율적인 운동법칙”으로서가 아니라 “자본주의의 발생ㆍ발전ㆍ몰락의 필연성”을 보여주는 “역사법칙”으로서 파악한다(같은 책, p. 37)고 하는 난점ㆍ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③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 결함”이나 난점은 1850년대 이후 <<자본론>>에 접근함에 따라 차츰 극복ㆍ해소되어 간다. ―“공황론은 자본주의의 몰락에 다름 아닌 붕괴론과 사실상 선을 긋는” 것으로 되고, “플랜의 최종 항목에 두어져 있던 세계시장으로부터 공황이 서서히 떼어내져” 간다고 하는 변화가 생기게 된다. 즉, 공황은 반복하는 “산업순환의 일환”, 그 한 국면으로서 “순수자본주의의 내부분석 속에 정착시켜지는” 것으로 되었다(같은 책, pp. 37-38)는 것처럼.5)

또한 야마노우치 야스시(山之內靖) 씨는 “이론적 추상”을 통해 “완전히 발달한 자본주의 사회”를 상정한 “이론경제학의 대상으로서의 공황”과 현실 자본주의 세계의 구체적인 공황 사이에는 “극복되지 않으면 안 되는 몇 가지 커다란 장벽”이 존재하고 있다는 인식에 입각하여(<<マルクスㆍエンゲルスの世界史像>>, 未來社, 1969, p. 81), 오우치 씨와는 다른 시각에서, 공황과 혁명 사이의 관련을 파악하는 방식에 관한 양자의 인식의 변화와 발전의 경위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①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구체적인 자본주의 사회는 많건 적건 “앞 세대로부터의 유산으로서의 소생산적 비자본주의 요소”를 태내에 포함하고 있고, 그것이 “이론적 추상 속에서 상정된 공황”의 운동 메커니즘을 “수정”하지 않을 수 없고(같은 곳), 또 “공황의 발현을 세계사적인 규모에서 고찰하는” 경우 공황의 “심장부(중심)”와 “말단”의 관계, 즉 “공황의 국제적 파급 메커니즘”과 사회변혁의 발발 곧 파급과의 관계의 다이나미즘의 분석이야말로 불가결함을 그들은 차차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같은 책, pp. 81-85, 97-101).

② 복잡한 계급구성을 반영한 사회변혁의 주체형성ㆍ세력배치에 관한 분석, 즉 “주체론적 분석”과, “세계공황론을 기초”로 하는 “경제결정론적 분석”은 “운동의 국면이 변화함에 따라서 주역(主役)의 역할에서 조역의 역할로 서로 이행하는” 관계에 있다는 의미에서 구체적인 역사분석을 할 때에 “상호 보완하는” 관계에 있는 것이고, 가) 초기단계에는 후자[=‘경제결정론적 분석’: 역자]에 우위성이 주어진 결과 전자[=‘주체론적 분석’: 역자]는 현저하게 후퇴하여 후자 속에 매몰되어 있었는데(같은 책, 서문, p. ix), 나) 1860년대 이후에는 전자의 분석 방법이 전면에 내세워지게 되었다(같은 곳).

야마노우치 씨의 견해는, 공황의 발발을 사회변혁의 실현과 무매개적으로 직결시키는 파악방법을 양자가 극복하고 있었다고 주장하는 점에서 일종의 구상 변경설에 속할 것이다.

 

 

B. 공항 분석의 도달점

 

초기의 맑스ㆍ엥겔스가 공황 발발의 필연성과 메커니즘의 해명에 어디까지 도달할 수 있었는가, 이것이 지금 남겨진 문제의 하나이다. 그것을 검토할 때에 출발점이 되는 것이 엥겔스의 “국민경제학비판대강”(이하 “대강”이라고 표기한다)이고, 또 “대강”의 공황 분석이 1840년대 말까지의 맑스의 공황 분석과 그 이론적 틀의 형성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주고 있었는데, 이 점도 지금까지의 연구가 거의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바이다.

 

 

(1) “대강”의 공황 분석

 

“대강”은 자본주의 경제의 기본원리를 “사적소유”라고 하며, “사적소유”의 본질을 “경쟁”이라는 범주에서 구하면서 “관여자의 무의식에 입각한 자연법칙”으로서의 “경쟁의 법칙”의 관철에 의해서 생산의 무정부성, 즉 불균형적 생산(생산부문들 간의 불비례, 수급의 불일치)이 불가피하고, 그 불균형의 주기적인 반복회귀가 “상업공황”이라고 파악하고 있었음은 사토 긴자부로(佐藤金三郞)의 “경쟁과 과잉인구―엥겔스, <<국민경제학비판대강>>을 중심으로”(大坂市立大學, <<經濟學雜誌>> 제42권 제6호, 1960, pp. 13, 25)가 일찍부터 명백히 하고 있었던 바이다.

동시에 “대강”은 “상업공황”의 규칙적ㆍ주기적인 발발과 규모의 확대→“소유의 집중”과 계급분화의 촉진, 즉 “고용해야 할 노동량”의 증대와 “빈궁”의 증대→“과잉 생산”, 즉 “과잉자본”과 “과잉인구” 즉 “대량실업”의 동시 발생→혁명적 정세의 발생, 즉 “사회혁명”의 발발이라고 하는 도식으로 체제 변혁의 필연성의 논리를 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생산의 무정부성, 즉 수급의 불일치에 기인하여 생산부문들에 발생하는 “과잉생산”은 근대 부르주아 사회의 항상적인 현상이고, 주기적인 전반적 과잉생산 공황의 가능성을 의미하긴 하지만, 그 필연성을 충분히 설명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6)

“대강”의 이러한 공황 파악의 한계는 자본의 축적과정을 자본들의 현실적 운동을 취급하는 경쟁론, 즉 현상론적인 수준에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자본 일반”이라는 논리 수준, 특히 자본의 직접적 생산과정으로 내려가 분석함으로써 극복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음에 관해서도 사토 긴자부로(佐藤金三郞) 씨가 이미 지적하고 있던 바이다(“産業豫備軍理論の形成”, 橫山正彦 編, <<マルクス經濟學論集>>, 河出書房新社, 1960, pp. 141-42, 150). 실제로 맑스 자신이 1840년대 후반부터 그러한 작업에 착수하기 시작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토 씨는, ① 경제학 연구의 처음 단계에서의 엥겔스의 선구, 즉 맑스에 대한 그의 커다란 영향이라고 하는 관계에서 생긴 양자의 동일성(경쟁론적 관점 중시의 분석)을 거듭거듭 인정하면서도 “사적소유”의 본질을 “경쟁”이라고 보는 엥겔스에 대해서 그것을 “소외된 노동”(자본ㆍ임노동관계)로 본 <<경제학ㆍ철학 초고>>의 맑스의 관점의 방식에 “독자성”이 있다며, 거기에서 엥겔스의 공황론의 틀을 뛰어넘는 “발단”을 발견하고 있고(같은 책, pp. 130-31), 동시에 ② “부의 증가”가 “노동자의 상태에 미치는 영향”이라고 하는 문제를 설정하여, “부의 증가”, 즉 자본의 “집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노동자의 상태는 “악화”한다고 결론지은, 제1 초고의 스미스 축적론 비판 속의 일절에 주목하고, 이로써 <<자본론>>의 자본축적론이라는 과제를 향한 ‘노선’ 설정으로 규정하고 있음(같은 책, p. 134)을 주목할 만하다.

 

 

(2) 초고 “임금”과 <<임노동과 자본>>의 공황 분석

 

맑스가 공황 분석의 이론적 틀을 직접적 생산과정에서의 자본의 축적운동이라는 메커니즘에서 구하는 ‘노선’을 구체적으로 걷기 시작한 것은 초고 “임금”(이하 “초고”라고 표기)과 <<임노동과 자본>>에서이다.

<<임노동과 자본>>은 1847년 말에 노동자들에게 했던 강연 내용의 일부를 1년 몇 개월이 지난 후에 1849년 4월의 <<신라인신문>>에 5회에 걸쳐 연재한 것이다. “임금”은 그 강연을 위한 준비 노트라고 추측할 수 있고, 따라서 47년의 늦어도 12월 경에 작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공산당 선언>>을 집필하기 시작한 것이 1847년 12월 중순(발간은 1848년 2월)이기 때문에, “임금”은 <<선언>>의 집필과 거의 같은 시기의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임금”은 [A]로부터 [C]까지 3구분 되어, [A]는 “이미 설명한” 7개 항목에 관한 대단히 간략한 결론의 서술, [B]는 “추가”라는 표제 하에 칼라일(Thomas Carlyle), 맥컬록(John Ramsey McCul- loch), 존 웨이드(John Wade), 쉐르뷜리에(Antoine-Elisée Cher- buliez) 등 9명에 관한 간단한 메모나 인용이며, 그 내용이 [C]에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C]를 위한 준비작업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그에 비해서 [C]는 아래의 8개 항목에 관한 맑스 자신의 적극적인 견해를 개시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 1. 생산력의 증대는 임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노동자와 고용주의 경쟁, 3. 노동자 상호의 경쟁, 4. 임금의 변동, 5. 임금의 최저한, 6. 구제책, 7. 노동조합, 8. 임금제도의 적극적 측면.

“이미 설명한”이라는 [A]의 7개 항목 가운데 5개 항목은, <<임노동과 자본>>의 내용과 거의 합치하고,7) 그에 대응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C]는 <<임노동과 자본>> 1-3회분의 내용과 관련된 것도 일부 보이지만, 대체로 4-5회분(과 그에 이어지는 미완성 초고의 일부)과 대응 관계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내용에서 보면, <<임노동과 자본>>의 4, 5회분에 비해서 [C] 쪽이 취급하고 있는 문제 영역이 넓고, 주제에 관해 보다 자세히 분석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논점들을 여기저기에서 볼 수 있다. 그 반면에 <<임노동과 자본>> 쪽이 보다 극명하고 간결하게 설명하고 있는 논점들도 존재한다.

초고 “임금”과 <<임노동과 자본>>의 관계를 우선 위와 같이 확인하면서 거기에서 볼 수 있는 공황 분석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아래에서의 과제인데, 자본의 축적과정을 직접적 생산과정의 수준에서 분석할 때에는, <<자본론>> 제1권을 펴서 읽을 필요까지도 없이, 가치론의 확립과 가치의 형성ㆍ증식과정이라는 메커니즘의 분석, 즉 잉여가치론의 확립, 그것을 뒷받침하는 범주들, 즉 노동력과 노동의 구별과 관련, 불변자본과 가변자본의 구별이나 자본의 기술적 구성 및 가치구성, 유기적 구성의 구별과 관련 등에 관한 정확한 파악이 불가결하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1840년대에 있어서의 그들 범주들의 성숙도, 즉 그 이론적 도달 수준 하나하나에 자세히 들어가는 것은 피하면서 “경쟁론적 공황론”이라는 이론적 틀 그것의 극복과 직접 관련된 논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양해해주기 바란다.

 

1) 초고 “임금”

 

[C]의 항목 I은 “생산력의 증대”가 임금을 위시한 노동자계급의 상태에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가에 관해서 총괄적인 결론을 적고 있다. 그러나 바로 그 결론을 도출하기에 이르는 분석 논리는 맬더스(Thomas Robert Malthus, 1766-1834) 비판을 주안으로 삼은 항목 VI의 부분에 상술(詳述)되어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항목 VI을 중심으로 다른 항목의 서술도 수시로 원용하면서 이 문제에 관한 분석 내용을 확인하고자 한다.

생산적 자본의 증대는 “임금 상승의 하나의 주요 조건”이지만, 그것은 노동자에게 있어서 다름 아니라 “자신에게 적대하는 힘”을 증대시키는 것이고, “적의 힘”(자신을 묶어서 끌고 다니는 “돈이라는 사슬”)을 강화하는 조건 하에서만 노동자는 “어떤 참을 만한(passabel) 상태”를 확보할 수 있을 뿐이라는 관계를 확인한 위에서(MEW, Bd. 6, S. 547), 다음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는 두 가지의 논리가 상정ㆍ전개되고 있다.

첫째. 생산적 자본의 증대, 즉 자본의 축적과 집적→(자본 상호의 경쟁→) 노동의 대규모화와 분업의 확대+기계화의 촉진, 즉 생산력의 증대→노동의 단순노동화와 임금(노동의 생산비)의 저하→임금과 고용을 둘러싼 노동자 간 경쟁의 증대(+소공업가의 몰락, 즉 노동자화가 경쟁을 심화)→노동시간의 증대 혹은 임금의 저하, 즉 노동자의 상태의 ‘상대적’ 악화→“과잉생산”의 필연화와 그 반복(→노동자 간의 경쟁의 더한층의 격화를 야기)→생산적 자본의 증대와 노동자 소비생활의 저하, 즉 양자의 ‘불균형’의 더한층의 확대(같은 책, SS. 540-49).

둘째. 생산적 자본은 3개의 부분(기계 즉 노동용구로 전화되는 부분과 원료로 전화되는 부분, 임금 즉 노동자의 생계에 충당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인식을 전제로 자본의 “절대량”의 증대→임금(고용수단)은 앞 2부분[기계 즉 노동용구로 전화되는 부분과 원료로 전화되는 부분: 역자]에 비례해서는 증가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감소, 즉 “불균형”의 증대(이것은 대공업의 본성, 자본ㆍ임노동 관계의 본성으로부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일반법칙)→과잉노동자ㆍ실업의 발생→과잉생산공황→“불균형”의 해결책, 즉 생산력의 증대를 수반하는 자본의 더한층의 증대→“불균형”의 “기하급수적”인 증대→과잉생산공황의 격화ㆍ대규모화(같은 책, SS. 549- 52) …

보다시피, 이들 두 논리는, 한편에서의 생산적 자본의 증대, 즉 대량의 상품의 공급과, 다른 한편에서의 노동자 임금의 상대적 저하, 즉 소비 수요의 상대적 감퇴를 함께 기본적 명제로 하고 있고, 이른바 “생산과 소비의 모순”을 상정하는 논리적 틀을 커다란 틀로서 보여주고 있는 내용이라고 말할 수 있다.

두 번째 논리는, 첫 번째 논리에 따라 분석한 후에, 자본의 증대와 최저한으로 인하되는 노동자의 소비생활의 “불균형”의 확대에 관해서 “문제를 더욱 간단히 정식화”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개되고 있다. 자본의 구성에 관해서 가치의 관점과 소재의 관점이 아직 정리되어 있지 않으며, C : V[불변자본 대 가변자본: 역자]의 불균등한 확대가 V의 절대적인 감소를 의미하지 않음을 고려한 경우에도 여전히 바로 그 “불균형”이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된다고 결론짓는 근거의 설명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는 등, 미해명ㆍ미해결의 문제를 아직 남기고 있지만, 자본 상호 간의 경쟁, 노동자 상호 간의 경쟁의 계기는 첫째 논리에 비해서 배후로 밀리고 사실상 “자본의 유기적 구성의 고도화”에 기본적 궤도를 설정한 설명으로 되어 있음이 명료하다. 첫째 논리는 <<임노동과 자본>>의 4, 5회분으로 계승되지만, 둘째 논리는 “임금”에서 고유하게 볼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을 처음으로 보여주고 있는 점에 “임금”의 독자적인 의의가 있다고 평가해도 좋을 것이다.8)

 

2) <<임노동과 자본>>

 

<<임노동과 자본>>에서는 위에서 말한 첫째 논리가 특히 다섯 번째 부분에 그 틀을 유지하면서 자본 상호의 경쟁, 노동자 상호의 경쟁의 계기를 논리전개를 매개하는 계기로서 도입되어 보다 상세히 전개되고 있다. ― 예컨대, 자본의 증대가 생산력의 증대, 즉 분업의 확대와 기계화의 촉진에 의한 생산방법의 변혁을 수반하면서 진행되는 것은 “특별한 이윤”의 획득을 목표로 한 상품의 저렴화, 즉 “생산비”의 인하를 위한 자본 상호의 경쟁(자본들에 대한 “경쟁의 법칙”의 강제) 때문이며(같은 책, SS. 417-19), 노동의 단순노동화는 노동자의 재생산비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숙련노동자를 비숙련노동자로, 남자를 여자로, 성인을 어린이로 대체함으로써 임금의 축소와 고용을 둘러싼 노동자 상호의 경쟁을 격화시키는(같은 책, SS. 420-22) 등등이다.

거기에서의 분석에 관해서는, ① “경쟁”의 역할이 아직 상당히 중시되고 있는 것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현저하게 현상론적”이긴 하지만, “대강”과는 달리 “경쟁”은 “이론적으로는 … 제2차적인 지위를 점할 뿐인 것”(佐藤金三郞, “産業豫備軍 理論의 形成”, 앞의 책, p. 137)으로 되어 있고, 자본 상호의 경쟁은 “자본의 축적과 생산력의 증대를 연결하는 매개고리”, 노동자 간의 경쟁은 “분업과 기계 사용의 확대, 기타 계기들과 노임의 저하를 연결하는 매개고리”에 불과하며, ② 자본축적론에는 “경쟁이라는 요인이 개재됨으로써 혼탁되어 있으면서도, 자본의 축적이 생산력의 증가와 생산구조의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그것이 실업의 발생과 기타로 귀결되어 임금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기본선”이 관철되고 있다(같은 글, p. 149)는 평가는 타당할 것이다. 다만, “경쟁이라는 요인의 개재”가 희박한 둘째 논리에 <<임노동과 자본>>이 의거하고 있다면, “기본선”은 바로 그 “혼탁”을 더욱 면하고 보다 선명한 것으로 되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공황에 관해서는, “자본가가 … 거대한 생산수단을 더욱 대규모로 이용”하는 데에 비례하여 “생산물의 양이, 따라서 시장 확대의 욕구가 증대하는 데에 비례하여 세계시장은 더욱 더 수축하고, 개발해야 할 시장은 더욱 더 적게 남아 있게 되기 때문에” “더욱 빈번해지고 더욱 격렬해져” 간다고 말하고 있는 데에 그치고 있지만(MEW, Bd. 6, S. 423), 앞에서 말했던, 자본의 축적과정에 관한 분석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던 “생산과 소비의 모순”을 상정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고려하면, 1840년대 말의 맑스는, 한편에서 자본의 축적과 생산력의 증대, 즉 대량의 상품 공급이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다른 한편에서 노동자계급의 임금 저하나 실업에 의한 궁핍화와 세계시장의 축소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생산에 비해서 소비가 협애화(狹隘化)된다고 하는 모순이 공황의 발발, 즉 모순의 일시적이고 폭력적인 조정을 불가피하게 한다고 하는 점에서 공황의 “근거”와 “필연성”을 보고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었을 것이다.9) 이상에서 우리는 1840년대의 공황 분석의 도달점을 확인할 수 있다. (번역: 편집부)

 


 

1) “…세계시장이 마지막 편(篇)을 이루는데, 거기에서는 생산은 총체성으로서 상정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생산의 각 계기들도 상정되어 있다. 그러나 거기에는 동시에 모든 모순이 과정에 등장한다. 세계시장은 그때 다시 마찬가지로 전체의 전제이자 그 담지자를 이룬다. 그때 공황은 전제를 초월하라는 일반적인 지시이며 새로운 역사적 형태를 수용하라는 압박이다.”(K. 맑스, <<1857-1858년 경제학 초고>>, MEW, Bd. 42, S. 154.; 김호균 역, <<경제학비판요강―I>>[이하에서는 <<요강-I>>로 표기한다: 역자], 백의, 2000, p. 219 [단, 인용되는 번역들은 국내의 기존 번역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2) “세계시장공황은 부르주아 경제의 모든 모순의 현실적인 총괄 및 폭력적인 조정으로서 파악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들 공황에서 총괄되는 개개의 계기들은 그리하여 부르주아 경제의 어떤 영역에서나 나타나지 않을 수 없고 전개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우리가 부르주아 경제 속으로 더욱 돌진하면 할수록, 한편에서는 이 모순의 새로운 규정들이 해명되지 않으면 안 되며, 다른 한편에서는 그것의 보다 추상적인 형태들이 보다 구체적인 형태 속에 반복되고 또 포함되어 있음이 입증되지 않으면 안 된다.”(K. 맑스, <<잉여가치학설사>> 제2권, MEW, Bd, 26.2, SS. 510-11; 칼 맑스, <<잉여가치학설사 ―자본론 제4권>> 제2부, 백의, 1989, pp. 495-96; 같은 책, 이성과 현실, 1989, p. 604.)

 

3) 또한 다카스카 씨는 “맑스주의 정당의 혁명전략”이 “전쟁ㆍ혁명 테제”(레닌), “항전 즉 혁명 테제“(중국, 베트남)에 의해서 크게 변용되었다고 한다(<<マルクスの競爭ㆍ恐慌觀>>, 岩波書店, 1985, p. 152). 독점=제국주의 단계의 공황의 형태변화ㆍ불황의 ‘만성화’와 ‘위기’론 등을 둘러싼 이론적 대항관계ㆍ연구동향에 관해서는 야마다 토시오(山田銳夫)의 <<二十世紀資本主義>>(有斐閣, 1994) 제7장이 솜씨 있게 개관하고 있다.

 

4) 그 후 오우치(大內) 씨는 “<<經濟學批判要綱>>における恐慌論の不在”(<<現代思想>> 제3권 13호, 靑土社, 1975)나 “공황”(大內 他編 <<資本論硏究入門>> 東京大學出版會, 1976, 수록)에서 초기 맑스의 공황 파악의 도달점을 <<임노동과 자본>>(1849)에서 구하고, “여기에서는 세계공황의 필연성이 상당히 명확하게 자본축적론의 내부에 위치지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위 “공황”, p. 294)고 말하며, 초기 맑스의 공황 파악의 도달점=<<공산당 선언>>이라고 하는 종전의 견해를 수정하고 있다. 또한 이의 구체적 내용에 관해서는 아래의 주9)를 참조하라.

 

5) 다카스카 씨는 이와 관련, “산업순환 속에서의 공황의 필연성을 해명하는 논리는 <<자본론>> 세 권 전체의 방법적 틀로부터 여전히 배제되어 있다”(위 <<マルクスの競爭ㆍ恐慌觀>>, p. 252)며, “산업순환 속에서 누적되는 자본제 생산의 모순의 폭력적 조정을 체계적으로 밝힌다고 하는 의미에서의 공황이론”(같은 책, p. 139)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고, 오우치 씨와는 다른 판단을 기록하고 있음에 유의할 것.

 

6) 공황과 “사회혁명”의 경제적 필연성에 관한 “대강”의 인식에 관해서는 中川弘, <<マルツスㆍエンゲルスの思想形成>>(創風社, 1997) 제6장 “초기 엥겔스의 사상형성(1)”과 그에 대한 [補章]에 논급해 두었다. 또 <<영국에서의 노동자계급의 상태>>도 자본들의 무정부적인 경쟁에 기본적인 관점을 둔, 단순한 균형론적 공황ㆍ산업순환 분석이라는 이론적 틀 속에 머무르고 있는 데에 관해서는 같은 책 제7장 “초기 엥겔스의 사상형성(2)”의 1-2에서 고찰하고 있다.

 

7) 7개 항목의 내용은 이래와 같다. ① 임금=상품의 가격(임금의 결정은 일반적으로 가격의 일반적 결정과 일치한다), 인간의 활동=상품(생명의 발현―생명활동이 단순한 수단으로서 나타나고, 이 활동으로부터 분리된 존재가 목적으로서 나타난다)이다, ② 임금은 경쟁에 의해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되며, ③ 공급 자체는 생산비=상품의 생산에 필요한 노동시간에 의해서 결정된다, ④ 이윤과 임금은 반비례관계에 있다(이윤과 임금을 경제적 존재로 하는 두 개의 계급의 대립), ⑤ 임금의 인상 혹은 인하 투쟁, 노동조합, ⑥ 노동의 평균가격 또는 정상가격=최저한은 (개개의 노동자에 대해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계급에 관해서 말할 수 있다, ⑦ 조세와 보호관세의 폐지, 군대의 축소 등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 평균적으로 결정되는 최저한=생활필수품의 가격. (MEW, Bd. 6, S. 535).

        ①②는 <<임노동과 자본>>의 연재 제1회분, ③⑥⑦은 제2회분의 주제와 각각 대응하는 내용이라고 보면 큰 잘못이 없다.

 

8) 요시자와 요시끼(吉澤芳樹) 씨도 “둘째 논리”에 주목하며 “<<임노동과 자본>>을 연구할 때에는 초고 <<임금>>에 의한 보완적 이해를 빠뜨릴 수 없다”고, 그 의의를 언급하고 있다(“맑스에 있어서의 리카도(D. Ricardo) 이론의 발견과 비판”, 專修大學, <<社會科學年報>> 제4호, 1970, p. 52). 그 외 공황에 관해서는 “IV. 임금의 변동”에서 공황기의 상품 수요 감퇴→임금 저하→상품 수요 감퇴, 즉 공급 과잉, 공황기의 완전한 실업, 임금의 인하, (성과급) 임금의 불변과 노동일의 축소가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생산적 자본의 증대라고 하는, 노동자에게 “가장 유리한 경우”의 위와 같은 결과에 더해서, 그 증대가 완만하거나 정체 혹은 감소하는 “가장 불리한 경우”에도 “노동에 대한 수요에 비해서 노동자의 공급은 언제나 너무나 많다”는 지적, 과잉인구의 존재는 임금에 대한 억제효과라는 지적도 이루어지고 있다(MEW, Bd. 6, S. 552).

 

9) 이에 관해서는, 예컨대 다음의 평가도 참조할 것. “노동자의 궁핌화에 의한 이러한 과소소비설은 … <<자본론>>의 상품과잉론적 견해로서 불균형설과 더불어 <<자본론>>의 공황론의 한 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자면, <<자본론>>의 공황론에서의 과소소비설적 견해의 원형은 <<임노동과 자본>>에서, 아직 미숙하면서도 가치론, 잉여가치론을 기초로 하면서, 자본축적론과 함께 맑스에 의해서 처음으로 제기되었다고 할 수 있다”(大內秀明, “공황”, 앞의 책, p. 294).

 

노사과연

노동운동의 정치적ㆍ이념적 발전을 위한 노동사회과학연구소

0개의 댓글

연구소 일정

3월

4월 2024

5월
31
1
2
3
4
5
6
4월 일정

1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3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4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5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6

일정이 없습니다
7
8
9
10
11
12
13
4월 일정

7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8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9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0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1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2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3

일정이 없습니다
14
15
16
17
18
19
20
4월 일정

14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5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6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7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8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9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0

일정이 없습니다
21
22
23
24
25
26
27
4월 일정

21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2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3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4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5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6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7

일정이 없습니다
28
29
30
1
2
3
4
4월 일정

28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9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30

일정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