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사회과학연구소

[번역] 배반당한 사회주의: 쏘련 붕괴의 배후(16)

 

 

로저 키란(Roger Keeran)ㆍ토마스 케니(Thomas Kenny)

번역: 신재길(교육위원장)

 

 

[차례]

서문

1. 서론

2. 쏘련 정치에서의 두 가지 경향

3. 제2경제

4. 약속과 불길한 예감, 1985-86

5. 전환점, 1987-88

6. 위기와 붕괴, 1989-91        ㆍㆍㆍ <이번 호에 게재된 부분>

7. 결론과 암시

8. 끝 맺음말 ― 쏘련 붕괴의 설명들에 대한 비판

 

 

6. 위기와 붕괴, 1989-91(4)

 

다른 요인들도 시장으로의 전환을 촉진했다. 고르바쵸프가 당에서 국가 기관으로 정치적 기반을 바꾸고, 1990년 3월에 대통령에 취임하게 되자 운신의 폭이 넓어졌다. 1989년 7월에는 석탄 광부들의 파업이 일어났다. 이는 경기 침체를 반영한 것이었지만, 경기 침체의 원인을 제공한 것이기도 하였다. 모쓰끄바의 지도자들은 패닉에 빠졌으며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생각해 냈다.

이념적으로는, NEP를 왜곡하여 미화함으로 해서 친자본주의적 여론을 준비하였다. 고르바쵸프의 동조자들인 앤써니 존스(Anthony Jones)와 윌리엄 모스코프(William Moskoff)는 중앙 계획에 반하는 사례로 NEP를 수정주의적으로 이용했다. 그들은 60년 전에 쏘련에서 부하린과 쓰딸린이 이끄는 쏘련 공산당의 다수 사이에 있었던 산업화 논쟁과 ―거꾸로 된― 유사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때는 쏘비에트가 서방의 자본주의 국가들을 따라잡을 최상의 방법으로 시장이 아닌 계획 경제를 선택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국가가 시장 씨스템으로 돌아갈 방법과 속도에 대해 논쟁하고 있다.1)

무엇보다도, 국제적인 압박이 계속되었다. 제임스 베이커(James Baker) 미 국무장관은 모쓰끄바에 와서 물가 개혁에 관한 조언을 했다. 서구는 차관을 달랑거리며 애타게 했다.2) 서구와 쏘비에트 경제학자 사이에는 접촉이 가속화되었다. 자유 시장이라는 만병통치약을 선전하는 공동 회의, 자유 시장을 강조하는 경제학자들로 이루어진 모쓰끄바에서의 쎄미나, 일부 선별된 쏘비에트 경제학자들을 위한 돈벌이 미국 연설 여행 등이 이루어졌다. 환투기로 치부한 미국의 억만장자 조지 소로스(George Soros)는 1989년 내내 최고위 집단에 접근할 수 있는 모쓰끄바 내 비밀 자문 팀을 만들었다. 이들은 자본주의가 완전하고 전국적으로 복원될 때까지 일종의 자본주의 상륙 거점으로서의 개방 부문(Open Sector) 창설을 주창했다.

1990-91년에 고르바쵸프는 자신이 시장 경제로의 전환을 더 이상 추진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인기가 떨어지자, 충격 요법으로는 반대파가 더욱 인기를 끌까 봐 두려웠기 때문이다. 고르바쵸프 시대의 마지막 2년은 시장화 방안의 곡예 행렬이 지배했다. 이것은 고르바쵸프의 평판을 더욱 나쁘게 만들었다.3) 옐찐의 러시아 공화국 정부는 쏘련 정부보다 충격 요법을 향해 더 빨리 움직이고 있었고, 이로 인해 주저하던 쏘련 당국은 압박을 받았다. 르이쥐꼬프(Ryzhkov)의 경제학자 레오니드 아발낀(Leonid Abalkin)은 1989년 11월에 사유화와 물가 상승에 관한 6개년 계획을 세웠었다. 1990년 2월 중순에 아발낀과 국가계획위원회(Gosplan)는 시장 경제로의 급속한 조치와 관련하여 1990년 중반이나 1991년 1월에 효력을 발휘하는 수정된 계획을 발표하였다. 르이쥐꼬프와 르이쥐꼬프를 위해 일하는 공무원들과 경제학자들은 러시아 공화국이 시장 경제로 전격적으로 전환하는 것에 저항했다. 르이쥐꼬프가 주저하는 동안 옐찐의 힘은 커졌다. 1990년 7월에 고르바쵸프는 르이쥐꼬프를 버리고 최근에 러시아 쏘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RSFSR) 수장으로 선출된 옐찐과 경제에 관한 거래를 하기로 결정했다. 고르바쵸프와 옐찐은 연방 조약의 경제 분야에 대한 기초로써 시장 경제로의 전환 프로그램 구상에 대한 협정을 준비하기 위해 쓰따니쓸라프 샤딸린(Stanislav Shatalin)을 선임했다.4)

샤딸린의 500일 계획에는 연방 조약을 둘러싼 고르바쵸프와 옐찐 간의 투쟁이 밀접히 결부되어 있었다. 처음 100일 동안에 완전한 사유화와 통화 안정을 요구한 이 계획은 경제 현실과는 터무니없이 동떨어진 것이었다.5) 계획은 필수품에 대한 큰 폭의 가격 인상을 포함하고 있었다. 결정적으로, 500일 계획은 모든 과세 권리를 공화국에 주고, 공화국이 쏘련에 얼마를 할당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했다. 그리고 쏘비에트 법률보다 공화국 법률이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샤딸린 계획의 옹호자들은 쏘련을 해체하려고 한 것이 분명했다. 고르바쵸프는 샤딸린의 계획을 거부했다. 1990년 11월 고르바쵸프는 옛 고문인 아벨 아간베갼을 샤딸린, 아발낀, 뻬뜨라꼬프 등과 함께 다른 경제 계획을 수립하도록 임명했다. 이것은 한물간 고르바쵸프가 스스로를 중도주의자로 자처한 것이다. 대통령의 계획은 르이쥐꼬프-아발낀 계획과 같이 결과적으로 가격 인상을 가져왔다. 옐찐의 러시아 공화국은 가격 인상을 막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러한 조치는 옐찐의 데마고기를 알기 쉽게 보여 준다. 그는 자본주의로 급속히 전환하기 위해 쏘비에트 연방을 해체하고자 했다. 그는 열렬한 자유 시장 옹호자였다. 그러나 자유 시장에서 불가피한 가격 인상을 고르바쵸프가 수용하자 이를 맹비난하며 고르바쵸프에게 상처를 주고자 했다. 이것은 케익을 먹기도 하고 동시에 가지고 있기도 하려는 것과 같았다. 1990년이나 그전에 옐찐과 그와 가장 가까운 고문들은 완전한 자유 시장 경제로의 진입하면 연방 국가는 붕괴할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러한 이해는 샤딸린의 500일 계획에 내재해 있었다. 러시아에서 자본주의가 복구되기 위해서는 쏘련과 고르바쵸프가 사라져야 했다. 고르바쵸프의 고문들도 그 점을 알고 있었다. 고르바쵸프가 500일 계획을 거부한 것은, 자신의 지위와 권력을 사라지게 할, 강력한 친자본주의적 경향과 쏘련 해체를 거부한 것이었다. 그런데 그의 핵심인 야꼬블레프(Yakovlev), 쉐바르드나제(Shevardnadze), 메드베제프(Medvedev), 샤흐나자로프(Shakhnazarov) 및 체르냐예프(Chernyaev)는 500일 계획을 지지했다. 그러자 고르바쵸프는 시장 반대자들 편으로 돌아서서, 법무부 장관, 타스통신 국장, 내무부 장관 및 수석차관 같은 주요 요직을 교체했다. 결과는 야꼬블레프가 고르바쵸프를 버린 것이 되었다. 곧 쉐바르드나제 외무부 장관도 사임했다. 그는 1992년 그루지야로 돌아와 모국을 이끌었다.6)

고르바쵸프는 어떠한 포괄적 경제 개혁도 실행하지 못했다. 대통령의 어떠한 계획도 현실화되지 못했다. 옐찐이 그의 모든 계획을 무효화시켰다. 쏘비에트 연방의 계속되는 경제 악화는 당이 경제 분야에서 물러난 데 기인한다. 이는 중앙 계획 경제의 파탄뿐만 아니라, 공화국들의 독자적 방식에 따른 혼란, 동유럽과의 경제적 연결이 끊어진 데 따른 충격을 의미했다. 1992년 1월 이후 러시아에서 전권을 행사한 옐찐과 그의 경제학자들은 충격 요법을 시행했고, 그 결과는 대재앙이었다. 쏘비에트 붕괴 이후 1994년의 러시아 산업 생산은 이미 비참한 수준이었던 1991년의 절반으로 떨어졌다.

 

다민족 연방 국가로서의 쏘련의 종말은 1989-91년에 밀어닥쳤다. 이 3년 동안 고르바쵸프는 민족 문제를 더 이상 무시할 수 없었다. 1989년 9월에 커져 가는 분리주의에 대처하기 위해 중앙위원회는 민족 문제에 대한 총회를 열었지만 분리주의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아나똘리 체르냐예프(Anatoly Chernyaev)는 중앙위원회 총회를 태어나기도 전에 죽어 버린 사산이라고 불렀다. 이 기간 동안 고르바쵸프는 분리주의가 분명한 경우에는 억누르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1991년 2월 이후 전략을 바꿔 분리주의자들을 연방 조약의 재협상으로 수용하려고 노력했다.

모든 것이 실패했다. 민족적 분리주의가 변경 지역 공화국들에서 승리했다. 옐찐은 러시아를 쏘련에서 빼내 자신의 경제 프로그램을 밀고 나갔다. 몇 년 후 고르바쵸프는 민족 문제의 복잡성을 너무 늦게 인식하게 된 것을 인정했다.7) 1986년 12월의 바꾸(Baku) 폭동에서 1991년 12월에 옐찐이 끄레믈(Kremlin)의 붉은 깃발을 제거하기까지 분리주의와 민족 분쟁이 쏘련 전역에서 증가했다.

1989년 동유럽의 격변으로 쏘련의 민족 관계는 악화되었다. 쏘비에트 연방과 러시아에 맞선 민족 감정은, 1989년에 많은 공산당 정부가 몰락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격변은 차례차례 쏘련의 작은 공화국들로 분리주의를 고무시켜 갔다. 1989년 8월에 뽈쓰까(Poland)에 비공산당 정부가 들어섰다. 1989년 10월 마쟈르(Hungary) 정권이 무너졌다.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다. 1989년 11월에 체쓰꼬쓸로벤쓰꼬(Czechoslovakia)에서, 벨벳 혁명이 승리했다. 1989년 12월 로므니아(Rumania)에서 반(反)챠우쉐쓰꾸(anti-Ceaucescu) 진영이 무력으로 전복하고 챠우쉐쓰꾸와 그의 아내를 처형했다.

쏘비에트 생활의 모든 영역에 걸친 쏘련 공산당의 약화는 이질적인 사람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된 제도의 약화였다. 리가쵸프는 1989년 4월에, 그와 같은 문제[그루지야 민족주의적 분리주의―필자]를 논의할 수 있고, 해야만 했던 서기국 회의는 오랫동안 중단되었다. … 나는 국가에서 정부 권위가 그렇게도 묘하게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을 갑자기 깨달았다8)고 말했다.

러시아는 쏘비에트 연방의 핵심이었고, 러시아 분리주의는 이 모든 것의 가장 큰 위협이 되었다. 제리 허프는 러시아가 쏘련에서 탈퇴함으로써 결국 쏘련을 끝장냈다고 말했다.9) 레닌과 쓰딸린은 비러시아 민족들을 러시아 수준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러시아의 지원금제(Russian subsidy)라는 적극적인 조치를 지지했다. 이 정책은 억압받던 민족들의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엄청나게 가속화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점들이 남아 있었다. 러시아인은 어떤 문제에 대해서는 잘 보지 못하는 듯했다. 예를 들어, 많은 수의 러시아 노동자들이 작은 공화국으로 이주할 때 나타나는 민족과 언어 구성에 미치는 위협을 무시했다. 언어와 민족의 균형이 깨진 것이다. 에쓰또니야와 라뜨비야에서는 이러한 불균형이 곪아 터졌다. 다른 곳에서처럼, 능숙하게 다뤄지지 않았을 때, 긍정적인 행동은 역풍을 일으킨다. 일부 러시아인들은 변경의 공화국에 대한 계속적인 지원금에 분개했다. 그리고 그러한 분노가 러시아 민족주의를 자극했다.

러시아 민족주의는 다른 이유로도 성장했다. 브레쥐네프 시대에는 쏘련의 지도자들이 러시아 민족주의를 용인했다. 브레쥐네프 정치국의 지배적 분위기는 러시아 민족주의가 데탕트로 인해 러시아 사회로 침투하는 서구의 영향력에 대한 효과적인 제어 장치라는 판단이었다.

서방이 쏘련의 민족 문제에 끼친 영향력은 데탕트 시기의 은밀한 장기적 영향력을 훨씬 뛰어넘는 것이었다. 쏘련의 전 시기에 걸쳐 ―마지막 몇 해 동안은 거리낌이 없었다― 서구 라디오 방송들은 쏘련의 민족 분쟁을 격화시키는 데 일조했다. 자유 라디오 방송(비러시아계 쏘비에트 공화국 출신의 광적인 극우 민족주의자들로 가득 차 있었다)은 분리주의적 분노를 자극하기 위해 러시아어 이외의 언어로 끊임없이 방송하였다.10)

 

반체제 인사인 안드레이 싸하로프(Andrei Sakharov)는 쏘련 의회에서의 지역 간 그룹(Interregional Group)과 글라쓰노쓰찌(glasnost) 미디어를 통해, 주권화(sovereignization)의 개념을 보급했다. 이것은 러시아는 쓰딸린 시대의 헌법에 의해 오히려 다른 공화국과 동등하게 대우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헌법은 러시아에게 자신의 공화국 기관을 허용해야 한다는 것이다.11) 민주주의자들은 싸하로프의 주권화 개념을 받아들였고, 1990년 보리쓰 옐찐이 러시아 최고 쏘비에트 의장으로 당선되었을 때, 이를 발효시켰다.

싸하로프는 쓰딸린의 민족 정책을 거부하기 위해 주권화 개념을 고안했다. 옐찐의 민주주의자들이나 고르바쵸프의 개혁가 모두 마음에 들어 했다. 1988년 싸하로프는 고르바쵸프와 야꼬블레프의 암묵적인 지지를 받으며, 분쟁 지역인 나고르노 카라바흐(Nagorno-Karabakh)를 방문하여 현장 분석을 실시했다. 이건 명백히 장님이 장님을 이끄는 사례였다. 방송은 그의 견해를 내보냈다. 그의 극단적인 주권화 주장은 다음과 같다.

 

연방이나 자치 공화국 모두 그것이 행정적 자치구(지방)이거나 민족적 자치구(영토)이거나 현재의 영토 경계를 보존하면서 동등한 권리를 부여받아야 한다. 모두 최대한의 독립성을 보장받아야 한다. 그들의 주권은 국방, 외교, 통신 및 운송과 같은 모든 분야에서 제한은 최소화해야 한다. … 야꾸찌야(Yakutiya), 추바쉬야(Chuvashiya), 바쉬끼리야(Bashkiriya) 및 따따리야(Tatariya) 등과 같은 러시아의 자치구는 우끄라이나 및 에쓰또니야와 동등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 공화국과 자치주 사이에는 구별이 없어야한다. 모두 공화국이 되어야만 하고 모두 연방에서 탈퇴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12)

 

주권화 주장의 호소력은 어디에 있는가? 민주적으로 들리는 주권화는 전통적인 소수 민족 우대 정책과는 거리가 멀었다. 주권화는 민족적 불평등에 대한 투쟁을 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민족 불평등에 대한 투쟁은 확실히 역사적으로 지배적이었고 특권을 가졌던 민족인 러시아의 편은 아니었다. 싸하로프는 이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말했다. 쓰딸린 체제는 소수 민족들뿐 아니라 다수 민족 또한 억압했다. 특히 러시아 민족이 주요한 희생양 중 하나였다.13) 주권화는 또한 다민족의 통일을 위한 투쟁을 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이 개념은 민족 문제에 대한 계급을 기초로 한 공산주의적 접근을 포기한 것이었다. 대신에 분리 독립을 포함한 민족의 자기 결정이라는 민주적 권리를 주장했다. 그리고 작은 국가가 큰 국가로부터 분리 독립하는 것이 최후의 수단으로 정당화되는 조건들을 장황하게 설명했다.14) 분리주의자들은 주권화를 환호했다. 주권화가 그들의 발전을 축복했기 때문이다. 친자본주의 민주주의자들도 환호했다. 계급도 없고 당도 없는 정식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른 문제들에서 반쓰딸린 프로그램과 일치했기 때문이다. 싸하로프주의는 쏘련에서 러시아를 분리하려는 옐찐의 열망과 딱 들어맞았다. 싸하로프는 주권화 개념으로 민족 문제에 있어서 어리석었던 부하린-흐루쇼프의 기회주의적 전통에 서게 되었다.

해결되지 않은 민족 문제들이 쏘련의 여러 지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발트해 연안 국가들(Baltic states)에서 민족주의는 강한 호소력을 지녔다. 1939년 쏘련의 일부가 된 이 나라들은 그전에 20년간 독립 국가를 유지했었다. 자까프까즈(Transcaucasus)에서는 아르메니야와 아제르바이쟌 사이의 오랜 영토 분쟁이 민족주의에 기름을 부었다. 쏘련 중앙아시아의 이슬람 지역에서는 아프가니스딴과 다른 지역에서의 이슬람 근본주의가 되살아나면서 민족주의가 자극을 받았다. 전쟁 시기에 쓰딸린에 의해 강제 이주되었던 따따르인들과 체첸인들은 다시 살던 곳으로 돌아가지 못하자 불만을 키웠다. 쏘련의 핵심인 러시아 또한 그들만의 불만을 가지게 되었다.

1989-1991년에 민족주의의 중심점이 이 지역에서 저 지역으로 이동해 갔다. 1988년 10월 발트해 3개국은 민족 전선을 창설하였고, 곧바로 분리주의 감정의 통로가 되었다. 고르바쵸프가 1990년 초 비상 대권을 획득하자, 리뜨바(Lithuania)의 사유디스(Sajudis, 리뜨바어로 운동을 의미―역자) 민족주의 운동 지도자인 비따우따스 란스베르기스(Vytautas Landsbergis)가 1990년 3월 11일에 독립을 선포하도록 자극했다. 역사학자 제프리 호스킹(Geoffrey Hosking)은 이러한 움직임들로 인해 발트해 공화국들은 연방을 보존하려는 사람들과 연방으로부터 탈퇴하고자 했던 사람들 사이의 투쟁에 있어 중심이 되었다고 말했다.15)

민족주의는 리뜨바 공산당에서 승리하고, 이후 리뜨바 전체에서 승리하였다. 1989년 1월에 고르바쵸프가 3일간 리뜨바를 방문했을 때, 리뜨바 공산당 대표인 알기르다스 미꼴라스 브라자우스까스(Algirdas-Mykolas Brazauskas)는 민족주의 정서가 아주 강해서 오직 독립적인 리뜨바 공산당만이 대중적 지지를 받을 수 있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1989년 3월 25일 선거에서 사유디스 운동은 리뜨바 공산당에 완승했다. 1989년 12월 리뜨바 공산당은 쏘련 공산당에서 탈퇴했다.16) 이윽고 멀리 떨어진 지역들에서 민족적 위기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고르바쵸프는 정신을 차릴 수가 없었다. 1990년 1, 2월에 아제르바이쟌의 바꾸 근처에서 아르메니야인을 상대로 한 아제르바이쟌인의 학살이 있었고, 이로 인해 26명의 아르메니야인과 6명의 아제르바이쟌인이 죽었다.

고르바쵸프는 리뜨바의 독립 선언에 대한 첫 반응으로 경제 봉쇄를 단행했다.17) 쏘련은 1990년 4월에 분리 독립에 대한 법을 통과시켰다. 공화국들의 독립 과정에 대한 법적 세부 사항을 상세히 규정하고, 민족에 속한 하위 단위들이 분리 독립하려는 민족으로부터도 분리 독립할 수 있도록 허락함으로써, 분리 독립의 정치적 경제적 비용을 높였다. 또한 새로운 쏘비에트 법은 모든 분리 독립 국가가 독립을 위한 5년간의 전환 기간을 갖도록 했다. 그리고 쏘련의 승인이 필요하게 했다. 그러나 상황은 법을 기다려 주지 않았다. 1991년 1월 12일–13일, 쏘련 군대는 리뜨바의 빌뉴스(Vilnius)에서 민족주의 시위대를 향해 총격을 가해, 14명이 사망하고 많은 사람들이 부상당했다. 일주일 후 모쓰끄바에서는 10만 명의 시위대가 이 탄압에 항의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라뜨비야의 리가(Riga)에서 새로운 폭력 사태가 발생했고, 발트해 위기는 악화되었다. 1991년 늦은 봄에, 고르바쵸프는 탄압을 포기했다. 그 후에, 연방 조약을 재협상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18)

리가쵸프와 옐찐 모두 고르바쵸프의 뻬레쓰뜨로이까에 대한 투쟁에서 러시아 민족주의 정서를 각자의 목적에 이용하려고 했다. 공산주의-민족주의 연합은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러시아 민족주의는 고르바쵸프의 서구화된 관점, 서구 자본주의 시장에 대한 노예적 헌신, 사회민주주의적 이념들의 차용, 서구를 문명화된 세계로 여기고 아첨하는 굴종, 그리고 러시아 고유의 역사에 대한 경시에 분개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수십 년 동안 러시아 정치에서의 분열은, 한쪽에 서방주의자(Westernizers)가 다른 한쪽에는 슬라브주의자(Slavophiles)가 있었다. 이러한 분열은 20세기와 21세기를 통해 지속되었다.

처음에 옐찐은 스스로를 러시아 애국자가 아닌 쏘비에트의 일원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시장 개혁에 대한 노력을 키워 감에 따라, 러시아 카드를 가지고 게임을 하는 것이 잠재적인 이익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1990년에 그는 나는 모든 연방 수준에서 급진적인 개혁이 수행될 것이라고 여기지 않았다. … 그래서 개혁을 연방 수준에서 수행할 수 없다면, 러시아만이라도 시도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생각했다고 말했다.19)

옐찐이 러시아의 최고위직에 젊은 친시장주의 수재들을 기용했을 때, 허프의 말에 따르면 그들은 공화국 수준으로 권력이 분산되자 자신들이 사유화에 대한 사적인 통제권을 쥘 수 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20)

1989년에 쏘련의 많은 공화국들이 주권화를 선언하였지만, 쏘련으로부터의 완전하고 공식적인 분리 독립을 의미하는 것은 아직 아니었다. 쏘련의 마지막 21개월 동안, 독립 선언의 물결이 넘쳤다. 리뜨바는 1990년 3월 11일에 독립 선언을 했고, 라뜨비야는 1990년 5월 4일, 그루지야는 1991년 4월 9일에 독립 선언을 했다. 2차 물결은 1991년 8월에 일어났다. 1991년 8월 20일 에쓰또니야, 8월 24일 우끄라이나, 8월 27일 벨라루쓰와 몰도바, 8월 30일 아제르바이쟌, 8월 31일 우즈베끼스딴과 끼르기즈스딴, 9월 9일 따쥐끼스딴, 9월 23일 아르메니야, 10월 27일 뚜르크메니스딴, 12월 16일 까자흐스딴이 독립을 선언했다. 러시아 연방은 결코 공식적으로 독립을 선언한 적이 없다. 다른 공화국의 분리 독립은 싫든 좋든 러시아가 독립하게 했다.21)

견해를 표현할 기회가 주어지면, 쏘비에트 사람들의 압도적인 대다수는 연방이 유지되기를 원했다. 1991년 3월 17일, 발트해 국가들과 아르메니야, 그루지야, 몰도바를 제외하고 모든 공화국들에서 진행된 비구속적 국민 투표(non-binding referendum)에서, 투표자의 76.4%가 연방의 유지에 찬성했다.22) 러시아에서 71.4%, 우끄라이나에서 70.3%, 벨라루쓰에서 82.7% 그리고 아제르바이쟌과 중앙아시아 공화국들에서 각각 90% 이상이 찬성했다.23) 이러한 엄청난 다수는 옐찐의 민주주의자들에게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다. (다음 호에 계속)  노사과연

 

 


 

1) 앤써니 존스(Anthony Jones)ㆍ윌리엄 모스코프(William Moskoff) 편, ≪쏘비에트 경제에서의 시장 대논쟁, 문집(The Great Market Debate in Soviet Economics, An Anthology)≫, Armonk, New York and London: M. E. Sharpe, 1991, p. ix.

 

2) 허프(Hough), p. 134.

 

3) 허프(Hough), p. 139.

 

4) 허프(Hough), p. 360.

 

5) 허프(Hough), p. 363.

 

6) 캐롤린 매기퍼트 에케달(Carolyn McGiffert Ekedahl)ㆍ멜빈 A. 굳맨(Melvin A. Goodman), ≪예두아르트 쉐바르드나제의 전쟁(The Wars of Eduard Shevardnadze)≫, University Park: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97, p. 4.

 

7) 데이비드 렘니크(David Remnick), ≪부활: 새로운 러시아를 위한 투쟁(Resurrection: the Struggle for a New Russia)≫, New York: Vintage Books, 1997, p. 17.

 

8) 리가쵸프(Ligachev), p. 152.

 

9) 허프(Hough), p. 374.

 

10) 아치 푸딩턴(Arch Puddington), ≪방송 자유: 자유 라디오 방송과 자유 유럽 라디오 방송의 냉전 승리(Broadcasting Freedom: The Cold War Triumph of Radio Liberty and Radio Free Europe)≫, Lexington: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2000, p. 29.

 

11) 던롭(Dunlop), p. 90.

 

12) 던롭(Dunlop), p. 90.

 

13) 던롭(Dunlop), p. 91.

 

14) V. I. 레닌(V. I. Lenin), ≪선집(Selected Works)≫ 제1권, 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1967, p. 625. “대중들은 일상적 경험을 통해 지리적, 경제적 유대의 가치와 큰 시장과 큰 국가의 이점을 완벽하게 알고 있다. 그러므로 그들은 민족적 억압과 민족적 마찰이 공동생활을 전적으로 견딜 수 없게 만들고 모든 경제적 교류를 방해할 때에만 분리 독립에 호소할 것이다.”

 

15) 제프리 호스킹(Geoffrey Hosking), ≪최초의 사회주의 사회(The First Socialist Societ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p. 473.

 

16) 카이저(Kaiser), p. 315.

 

17) 브라운(Brown), pp. 280-282.

 

18) 호스킹(Hosking), p. 473.

 

19) 던롭(Dunlop), p. 55.

 

20) 허프(Hough), p. 388.

 

21) 오돔(Odom), p. 351.

 

22) 허프(Hough), p. 406.

 

23) 코츠(Kotz)ㆍ위어(Weir), p. 266.

신재길 교육위원장

0개의 댓글

연구소 일정

2월

3월 2024

4월
25
26
27
28
29
1
2
3월 일정

1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

일정이 없습니다
3
4
5
6
7
8
9
3월 일정

3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4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5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6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7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8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9

일정이 없습니다
10
11
12
13
14
15
16
3월 일정

10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1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2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3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4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5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6

일정이 없습니다
17
18
19
20
21
22
23
3월 일정

17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8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9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0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1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2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3

일정이 없습니다
24
25
26
27
28
29
30
3월 일정

24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5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6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7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8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9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30

일정이 없습니다
31
1
2
3
4
5
6
3월 일정

31

일정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