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사회과학연구소

흐루쇼프가 거짓말했다(19)

WARNING: unbalanced footnote start tag short code found.

If this warning is irrelevant, please disable the syntax validation feature in the dashboard under General settings > Footnote start and end short codes > Check for balanced shortcodes.

Unbalanced start tag short code found before:

“Stalinodar)—스딸린의 선물(gift of Stalin)”이라고 이름을 새로 짓자는 제안이 나왔다. 그러나 이 이름을 새로 짓는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다. M. I. 까리닌은, 쏘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USSR—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과 …”

그로버 퍼(Grover Furr)

번역: 부산지회 연구팀

부록

─ 1차 자료들과 다른 자료들로부터의 인용들

1. 개인숭배

흐루쇼프:

동지들! 이전의 쏘련공산당 중앙위원회(CC/CPSU) 전원회의 동안 그랬던 것처럼, 제20차 전당대회 중앙위원회 보고서에서, 그리고 거기에 참석한 대의원들의 많은 연설에서, 개인숭배와 그것의 해로운 결과들에 관한 많은 말들이 나왔다.

스딸린이 죽고 난 후 쏘련공산당 중앙위원회는, 한 사람을 떠받들기 위해 그 사람을 신의 능력과 동등한 초인적인 특징을 소유한 초인으로 바꾸는 것은, 맑스-레닌주의 정신에 허용될 수 없고 이질적인 것이라고 간결하게 지속적으로 설명하는 정책을 이행하기 시작했다. 그런 사람은 아마도 모든 것을 알고 있고, 모든 것을 볼 수 있고, 모든 사람을 위해 생각하고, 어떠한 일도 할 수 있으며, 그의 행위에는 오류가 없다. 어떤 사람에 대한 그런 믿음, 특히 스딸린에 대한 그런 믿음은 오랜 세월 동안 우리들 사이에서 키워져왔다.

보고서의 목적은 스딸린의 삶과 활동 모두에 대한 평가가 아니다. 스딸린의 장점에 대한 책, 소책자, 연구서들이 그가 생존해 있을 때 이미 충분할 정도로 많이 쓰여졌다. 사회주의 혁명과, 반혁명과의 내전을 준비하고 수행하는 데, 우리나라에서 사회주의 건설을 위해 투쟁하는 데, 스딸린의 역할은 국제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모든 사람들은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다.

현재 우리는, 당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커다란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문제에 대해 숙고하고 있다. — 스딸린에 대한 개인숭배가 어떻게 점진적으로 성장해왔는지, 어떤 특정한 단계에서 당의 원칙, 당내 민주주의, 혁명적 합법성을, 대단히 심각하고 위험한 타락의 전 과정으로 빠져들게 한 원천이 되어버렸던 개인숭배에 대하여.

1) 개인숭배에 대한 스딸린의 반대

1926년 6월:

“동지들! 나는 여기에서, 나에 대한 과찬의 말씀들 중 절반의 칭찬이라도 받을 만한 것인지를, 내 양심을 걸고 말해야 한다. 나를 10월 혁명의 영웅 중의 한 사람, 쏘련 공산당의 지도자, 공산주의 인터내셔날의 지도자, 전설적인 전사 중의 한 사람, 기타 등등이라고 말하는 것 같다. 동지들! 이것은 터무니없고, 아주 불필요한 과장이다. 그것은 죽은 혁명가의 무덤 옆에 보통 쓰이는 그런 종류의 것이다. 그러나 나는 아직 죽을 생각은 없다…”

“나는 정말로 티플리스(Tiflis)1) 철도작업장 선진 노동자들 중에 있던 학생의 한 명이었고,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그러하다.” (J. V. Stalin: Works, Volume 8; Moscow; 1954; p. 177).

1927년 10월:

“스딸린이 어떤 사람이라고? 스딸린은 단지 사소한 인물이다.” (J. V. Stalin: Works, Volume 10; Moscow; 1954; p. 177).

1929년 12월:

“나는, 당신의 축하와 인사를, 현재의 내 모습 전부를 낳고 키운 노동계급의 위대한 당에 대한 신뢰로 받아들인다. 오직 그것들을, 우리의 영광스런 레닌주의 당에 대한 신뢰로 여기기 때문에, 나는 감히 당신에게 나의 볼세비끼적인 감사를 드린다.” (J. V. Stalin: Works, Volume 12; Moscow; 1955; p. 467).

1930년 4월:

“기사 ‘성공에 취해서’가 스딸린 개인의 독창성의 결과였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몇몇 있다. 물론 그것은 말도 안 되는 소리이다. 이와 같은 일에 있어서, 누군가가 — 그가 누가이든지 간에 — 개인적인 독창성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는 중앙위원회를 두고 있다.” (J. V. Stalin: Works, ibid; p. 218).

1930년 8월:

“당신은 나에 대한 ‘헌신’을 말한다. 아마도 이것은 뜻하지 않게 나왔던 말이다. 아마도… 그러나 그것이 의도하지 않게 나온 문구가 아니라면, 나는 당신에게 개인들에 대한 헌신의 ‘원칙’을 폐기하라고 충고하고 싶다. 그것은 볼세비끼적인 방식이 아니다. 노동계급, 당, 국가에 헌신하도록 하라. 그것이 좋고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그것을 개인들에 대한 헌신, 마음 약한 지식인들의 이 헛되고 쓸모없는 겉만 번지르르한 싸구려 물건과 혼동하지 마라.” (“샤뚜노프스끼(Shatunovsky) 동지에게 보내는 편지.” J. V. Stalin: Works, Volume 13; Moscow; 1955; p. 20).

1931년 12월:

“내 자신에 관해서 말하자면, 나는 단지 레닌의 제자일 뿐이다. 그리고 나의 삶의 목표는 그의 훌륭한 제자가 되는 것이다…

“맑시즘은 뛰어난 개인들의 역할, 즉 역사가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결코 부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 위대한 사람들은, 그들이 단지 이러한 상황들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어떻게 이 상황들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는 것이다. 만약 그들이 이러한 상황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신들이 상상한 것을 선동하면서 이 상황들을 바꾸고자 한다면, 그들은 돈키호테의 상황에 처한 자신들을 발견할 것이다…

“개개인들은 올바른 결정을 할 수가 없다. 개인들의 결정들은 항상, 혹은 거의 항상 한쪽으로 치우친 결정들이다… 모든 집단체에는, 의견을 평가하는 사람들이 있다… 세 번의 혁명의 경험으로부터, 집단적으로 검사받지 않고 정정되지 않는 100가지의 개인적인 결정 중에서, 대략 90가지가 한쪽으로 치우친 것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

“지금 어떠한 상황하에서도, 우리의 노동자들은 한 사람의 손 안에 있는 권력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노동자 대중들이 불신임하자마자, 우리와 함께 가장 큰 권위를 가진 유력자는 보잘 것 없는 사람으로 낮추어지고, 단지 그렇고 그런 사람이 된다.”( J. V. Stalin: Ibid.; p. 107-08, 109, 113).

1933년 2월:

“나의 사업에 대한 보상으로, 당신의 두 번째 훈장을 나에게 양도하는 당신의 편지를 받았다.

“나는 당신의 따뜻한 말들과 우호적인 선물에 아주 깊이 감사를 드린다. 당신이 자신의 어떤 것을 나에게 주려하는지 알고 있으며, 당신에게 감사드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당신의 두 번째 훈장을 받을 수가 없다. 나는 그것을 받아들일 수도 없고, 받아들여서도 안 된다. 왜냐하면 당신 혼자서 그것을 받았기 때문에, 그것은 오로지 당신의 것일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나는 동지들의 관심과 존경에 의해 충분히 보상을 받았다. 그래서 당신에게서 그것을 빼앗을 권리가 없기 때문이다.

“훈장은 잘 알려진 사람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거의 알려지지 않고 모두에게 알려질 필요가 있는 영웅적인 사람들을 위해 주로 만들어진다.

“뿐만 아니라, 나는 당신에게, 내가 이미 두 개의 훈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말해야 한다. 그것은 나에게 필요 이상이라고 확신한다.( J. V. Stalin: Ibid.; p. 241).

1933년 5월:

“로빈스(Robins): 나는 당신을 방문할 기회를 가지는 것이 커다란 영광이라고 생각한다.

“스딸린(Stalin): 그것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당신은 과장을 하고 있다.

“로빈스(Robins): 나에게 가장 흥미로운 것은, 함께 연결되어 있는 레닌-스딸린, 레닌-스딸린, 레닌-스딸린이라는 이름들을, 러시아 전역에서, 발견한 것이다.

“스딸린(Stalin): 그건 너무 지나친 과장이다. 어떻게 감히 내가 레닌과 비교될 수 있단 말인가? (J. V. Stalin: Ibid.; p. 267).

1938년 2월:

“나는 ‘스딸린의 유년 시절의 이야기들(Stories of Childhood of Stalin)’의 출판에 절대적으로 반대한다.

“그 책은 수많은 부정확한 사실, 변경, 과장, 분에 넘치는 칭찬들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 책이 지도자들과 무오류의 영웅들에 대한 개인숭배를 쏘비에뜨의 아이들(그리고 일반적으로 인민들)의 마음속에 새기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이것은 위험하고 유해하다. ‘영웅들’과 ‘군중들’에 대한 이론은 볼세비끼의 이론이 아니라 사회혁명당의 이론이다…

“나는 이 책을 불태워 버릴 것을 제안한다.” (J. V. Stalin: Ibid.; p. 327).

1946년 2월:

“내 귀는 스딸린의 영광을 기리는 열광적인 찬양가에 너무나도 고통 받고 있다—그것은 듣기에 당혹스러울 뿐이다.

(“라진(Razin) 동지에 대한 답장”, Works Vol. 16).

디미뜨로프의 일기

 

디미뜨로프: [스딸린에 대한 지나친 칭찬으로 건배를 제안하고, 지나친 칭찬의 말들로 끝을 맺는다] 스딸린과 레닌을 연결시키지 않고 레닌을 말할 수는 없다!

스딸린: 나는 디미뜨로프 동지를 대단히 존경한다. 우리는 친구이고 친구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디미뜨로프 동지의 말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는 여기에서 맑스주의자적이지 못한 방식으로 자기 자신을 표현해버렸다. 대의명분이 승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적절한 조건이다. 그러고 나면 지도자들은 항상 발견될 것이다. (p. 66; 1937년 11월 7일)

디미뜨로프: … 이것은 공동저작집인데, 편집장은 마누일스끼(Manuilski) 동지이다.

스딸린: (스딸린을 찬양하는 호소의 구절에 관하여, 특히:

“우리의 스딸린 만세!

스딸린은 평화를 의미한다!

스딸린은 공산주의를 의미한다!

스딸린은 우리의 승리이다!”)

—마누일스끼는 아첨꾼이다!

그는 뜨로츠끼파다! 뜨로츠끼파 도적들에 대한 숙청이 진행되고 있을 때, 그가 말을 하지 않고 침묵을 지켰기 때문에 우리는 그를 비판했다. 그리고 그는 이제 아첨을 시작했다! 여기에 의심스러운 내용이 있다.

—≪쁘라브다(Pravda)≫에 실린 그(마누일스끼: 역자)의 그 기사, “스딸린과 전 세계 공산주의운동”은 해롭고 도발적이다.

J. V. 스딸린은 “맑스-엥겔스-레닌-스딸린의 깃발하에”라는 문구가 호소문에 남겨지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고, 그는 단지 “맑스-엥겔스-레닌”이라는 문구를 주장했다.” (pp. 104-105, 1939년 4월 26일)

스딸린은 1934년 12월 그의 55번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하여 마련된, 그에 관한 전시를 허락하는 것을 거부했다:

“… 스딸린의 55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전(全) 고참 볼세비끼 연맹(All-Union Society of Old Bolsheviks)이 선전 활동 계획을 제안하는 편지에 관하여, 스딸린은 다음과 같은 결의를 밝혔다: ‘나는 반대한다. 왜냐하면 그러한 사업은 ‘개인숭배’의 강화를 초래할 뿐이며, 개인숭배의 강화는 해롭고 우리 당의 정신과도 모순되기 때문이다.’”

—로고빈(Rogovin), 1937, Chapter 41, citing Voprosy Istorii KPSS. No. 3, 1990, p. 104.

스딸린은 그 자신에 관하여 “Vozhd”(지도자2))라는 용어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극작가 아피노게노프(Afinogenov)를 비판했다:

“1933년, A. N. 아피노게노프가 쓴 The Lie(거짓말)이라는 연극의 원고(MS)를 읽고 난 후, 그 극작가에게 주는 장문의 편지를 썼다: ‘추신. “지도자”(vozhd) 따위의 말을 쓰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것은 잘못되었다. 그리고 설령 당신이 나를 인정한다고 할지라도, 그것은 점잖지 못한 일이다. ‘한 사람의 지도자’가 문제가 아니라, 집단적인 지도자 — 당의 중앙위원회 — 가 문제이다. 스딸린.” 스딸린의 속마음은 무엇인가. 연극 속의 영웅들 중의 한 사람인 정치위원 비서 리아도보이(Riadovoy)는, 이전에는 반대파였던 나까또프(Nakatov)와 언쟁을 벌이면서, 감정적으로 단정한다: ‘나는 우리의 중앙위원회에 대해 말한다… 나는 우리를 지도하는 지도자에 대해 말하는데, 그 지도자는 고등 교육을 받은 많은 다른 지도자들의 가면을 벗겨버렸다. 그들에게는 무한한 기회가 주어졌지만, 파산밖에는 보여준 것이 없다. 나는, 그의 힘이 수억 명의 화강암 같이 단단한 믿음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람을 말한다. 전 세계 사람들이 거론하는 그의 이름은 볼세비끼 대의의 요새를 상징하는 것처럼 들린다. 그리고 이 지도자는 정복될 수 없는 사람이다…” 스딸린은 직접 이 장광설을 편집하고 수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수정을 하였다: ‘나는 우리를 지도하는 우리의 중앙위원회에 대해 말하는데, 중앙위원회는 고등 교육을 받은 많은 지도자들의 가면을 벗겨버렸다. 그들에게는 무한한 기회가 주어졌지만, 파산밖에는 보여준 것이 없다. 나는 쏘비에트 땅의 공산당 중앙위원회에 대해 말하는데, 중앙위원회의 힘은 수억 명의 화강암 같이 단단한 믿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 세계 사람들이 거론하는 중앙위원회의 깃발은 볼세비끼 대의의 요새를 상징하는 것처럼 들린다. 그리고 이 집단적인 지도자는 정복될 수가 없다…”

1937년 1월 27일 “위대한 시민”[F. M. 에름레르(F. M.Ermler) 감독이 찍은 이 영화의 주제는 S. M. 끼로프(S. M. Kirov) 살해에 관한 이야기와 유사하다]이라는 영화를 본 후, 스딸린은 쏘비에트 영화사의 감독인 B. Z. 슈미아츠끼(B. Z. Shumiatskii)에게 편지를 썼는데, 그 편지에서 스딸린은 다음과 같이 잘 알려진 지시를 내렸다: “당신은 스딸린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빼버려야 한다. 대신에 스딸린은 당의 중앙위원회로 대체되어져야 한다.” (Surovaia drama naroda. Uchenye i publitsisty o prirode stalinizma. Sost. IU. P. Senokosov. Moscow: Politizdat, 1989.).

1936년, M. D. 오라껠라쉬빌리(M. D. Orakhelashvili)가 편찬한 세르고 오르조니끼제(Sergo Ordzhonikidze)의 전기문 초안이 출판되었다. 스딸린은 이 책을 읽었고 그 책의 페이지들에 많은 기록을 남겼다. 예를 들어, 초안에서 말하는 1917년 7월의 위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바꾸었다: ‘다가오는 위험에 직면하여, 많은 사람들이 머뭇거리던, 프롤레타리아에게 이 힘들었던 기간에, 스딸린 동지는 중앙위원회와 뻬뜨로그라드 당 조직을 지도하는 그의 위치에 견고하게 서 있었다. [레닌은 숨어 있는 중 이었다 — L. M.] 오르조니끼제 동지는 계속해서 그와 함께 있었으며, 당의 레닌주의 구호들을 따르는 활력적이고 충심어린 투쟁을 지도하였다.’ (ibid, p. 33) 스딸린은 이 말들에 밑줄을 그었고, 페이지의 끝에 붉은 연필로 다음과 같이 적었다: ‘그렇다면 중앙위원회는 어떻게 되는 건가? 그리고 당은 어떻게 되는 건가?’ (책의: 역자) 다른 곳에서,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RSDLP) 6차 전당대회(1917년 여름)에 있었던 다음 내용에 관해 논했다: 라즐리프(Razliv)에 숨어 있던 레닌이 어떻게 ‘전당대회에서 제기되었던 문제에 대해 지시를 했는가. 레닌의 지시를 받기 위하여, 스딸린의 명령에 따라 오르조니끼제 동지가 두 번 레닌의 은신처로 갔다.’ 스딸린은 다시 질문을 제기하였다: ‘그렇다면 중앙위원회는 — 그 중앙위원회는 어디에 있는가?’’

—L. Maksimenkov, in Al’manakh ‘Vostok’ 12(24), December 2004. Also quoted in Iulia Ivanova, The Dreaming Doors.

스딸린은 쏘련의 영웅상을 거절하였다(1945년 5월):

행진이 있었던 그 다음날, 쏘련 최고 쏘비에트의 상임간부회의 명령에 의해, 스딸린은 쏘련의 영웅이라는 이름으로 상을 받게 되었다. 말렌꼬프가 이 기획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스딸린은 이 명예를 거절했고, 심지어는 명령에 서명을 했던 깔리닌(Kalinin)에게 신랄하게 말했다: 스딸린은 말했다. “나는 군사작전에 참여한 적이 없고, 영웅적인 행위를 한 적이 없다; 나는 단지 한 사람의 지도자일 뿐이다.

V. F. Alliluev, ‘Chronicle of a family’: Alliluev—Stalin. Moscow, 1995, p. 195.

또 다른 설명들이 이 내용을 확인시켜준다:

“… 전쟁 후 쏘련의 영웅으로서 스딸린에게 상을 주는 것에 대해 논의가 이어졌다. 스딸린은, 개인적인 용기를 보여주었을 때만이 상을 받을 수 있는, 쏘련의 영웅의 기준에 자신은 어울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나는 그러한 용기를 보여주지 않았다’—스딸린은 말했다. 그리고 그 별을 받지 않았다. 사람들은 단지 스딸린 초상화에 이 별을 그려 넣었다. 스딸린이 죽었을 때 시상 분야의 지도자는, 그에게 쏘련의 영웅이라는 금으로 된 별을 주었다. 그들은 베개에 그 별을 꽂았고 그것을 장례식에 가지고 갔다.”

—Felix Chuev, p. 140; Conversation with Molotov. From the Diary of F. Chuev. Moscow, 1994, p. 254.

흐루쇼프는 “영웅 대(vs) 대중들” — 정확하게 스딸린이 적었던 내용 — 을 인용한다

흐루쇼프

“(스딸린은: 역자) 지도자들과 대중 조직가들의 역할에 커다란 중요성을 돌린 반면에, 레닌은 개인숭배의 모든 징후를 무자비하게 비난하였고, “영웅”과 “군중”에 관한 맑스주의와 무관한 관점들과 가차 없이 싸웠으며, 대중들과 인민들을 “영웅”에 대비시키려는 모든 노력들에 대해 반대하였다.

위에서의 스딸린의 인용들을 보라.

 

2) 1953년 4월, “개인숭배”와 관련해서 쏘련공산당 중앙위원회총회를 소집하려고 했던 말렌코프(Malenkov)의 시도

Zhukov, Tainy Kremlia. 617-621, 1953년 4월 말렌꼬프는 스딸린의 개인숭배에 관하여 토론하기 위해 중앙위원회의 특별회의를 소집하기 원했다. 618-619 페이지에서 주꼬프는 말렌꼬프의 보고서 초안과 결정사항 초안을 인용한다:

“이 원칙을 고려하여, 쏘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상임간부회는 다음과 같은 결정사항 초안을 쏘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회에 제출한다:

‘쏘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우리의 인쇄된 선전물과 구두의 선전에서, 선전가들이 역사에서 개인의 역할에 대한 반(反)맑스주의적인 이해와 개인을 숭배하는 선전에 빠져, 길을 잃고 있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스딸린 동지가 그러한 개인숭배를 확고하게 비판했고 개인숭배를 사회주의 혁명의 오류라고 불렀던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쏘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우리의 선전에서 나타나고 있는 반(反)맑스주의와, 본질적으로 사회혁명당의 경향들을 비판하고 확고하게 종식시키는 것이 의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경향들은 개인숭배 노선, 당이 이끌던 정치노선의 중요성과 역할을 감소시키는 노선, 당과 정부의 통합적, 통일적, 집단적 지도체제의 중요성과 역할을 감소시키는 노선에서 흘러나온다.’

여기에 있는 많은 사람들은 스딸린 동지가 종종 이러한 정신으로 큰 소리로 말했으며, 역사에서 개인의 역할에 대한 반(反)맑스주의적, 사회혁명당적인 이해에 대해 확고하게 비판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Zhukov, Taini Kremlia, pp. 618-619; 괄호 안에 있는 문장은, 다음의 책 속에 나오는 말렌꼬프의 동일한 결정사항 초안에 있다—M. P. Odesskii, D. M. Fel’dman, “Cult of the Individual (Materials for a Hyper-reference)”, in Osvoboditel’noe Dvizheniie v Rossii. 2003 (Saratov University), at http://www.sgu.ru/files/nodes/9873/09.pdf

이 두 학자에 의하면, 이 발언은 스딸린이 죽은 후(1953년 3월 5일) 채 일주일이 지나지 않은, 1953년 3월 10일 상임간부회 토론에 관한 뽀스뻴로프의 기록으로부터 나온다.

중앙위원회 총회를 소집하는 것에, 누가 찬성을 했고 누가 반대를 했는지 알려져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말렌꼬프는 중앙위원회 총회를 소집하는 것을 허락받지 못했다. 주꼬프는 흐루쇼프가 확실히 반대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3) 1953년 7월 총회—“개인숭배”를 반대했다는 혐의로 공격을 받은 베리아(Beria)

베리아를 공격했던 1953년 7월 중앙위원회 총회에서, 나중에 흐루쇼프의 주요한 동맹자가 되었던 미꼬얀(Mikoian)은, 스딸린의 “개인숭배”에 관해 공격했다는 것에 대해, 베리아를 강력하게 비난했다:

또 다른 문제는 그의[베리아의] 표리부동이다. [스딸린 사 후: 그로버 퍼] 초기에 그는 개인숭배에 관하여 강력하게 목소리를 높였다. 우리는 스딸린 동지의 시대 동안에조차도 이 문제에 있어 과도함(개인숭배의 과도함: 역자)이 있었다고 이해했다. 스딸린 동지는 우리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스딸린 동지는, 그들이 자신의 주변에서 개인숭배를 창조했다는 사실과, SRs3)가 그 일을 했다고 말했다. 우리는 그 당시에 이 문제를 교정할 수가 없었고, 그래서 계속되었다. 우리는 맑스주의자의 방식으로 개인의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그러나 베리아는 강력하게 목소리를 높였다. 그가 스딸린 동지의 개인숭배를 파괴하고, 자신의 개인숭배를 창조하기를 원했던 것이 밝혀졌다.

Lavrentii Beria. 1953, p. 168.

안드레예프(Andreev, p. 207)는, “개인숭배”라는 주제를 불러일으킨 것에 대해 베리아를 비난하기 위해, 역시 목소리를 높였으며, 그것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까가노비치도 그와 같이 행동하였다(ibid. p. 283).

분명히 그들 모두는 그 사람(개인숭배문제를 공격했던 사람: 역자)이, 말렌꼬프였다는 것을 정말로 알고 있었다!

막시멘꼬프는, 1953년 3월에 말렌꼬프가 “개인숭배”를 공격한 것을 “자아비판”으로 본다. 왜냐하면 말렌꼬프 자신이 개인숭배에 가담하였기 때문이다. 베리아를 공격하는 데 전념했던 1953년 7월 중앙위원회 총회 동안, 베리아를 부정직하게 비판하면서, 안드레예프는 “개인숭배”라는 주제를 불러일으켰다는 것 때문에 베리아를 비난했다.

4) 누가 “개인숭배”를 장려했는가?

로이 메드베데프는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1934년 ≪쁘라브다≫의 첫 번째 호는 라덱(Radek)의 커다란 두 페이지짜리 기사를 실었으며, 그 내용은 스딸린에 관한 칭찬을 흥청망청 늘어놓는 것이었다. 수년 동안 스딸린에 반대하는 진영을 이끌었던 전(前)뜨로츠키주의자가 이제 스딸린을 ‘레닌의 가장 뛰어난 제자, 레닌주의 당의 모델, 당의 뼈 중의 뼈, 당의 피 중의 피…’라고 불렀다. 스딸린은 ‘레닌만큼 현명한 사람이다’, 그리고 기타 등등. 이것은 스딸린에게 아첨하기 위해 특별히 바쳐진, 언론에서 가장 커다란 기사였음에 틀림없으며, 그 기사는 당시로서는 엄청난 숫자인 225,000매가 복사되어 팜플렛으로 아주 빠르게 재발행되었다.”

-R. A. Medvedev: ≪역사가 판단하게 하라: 스딸린주의의 기원과 결과(Let History Judge: The Origins and Consequences of Stalinism)≫. London; 1972; p. 148. Quoted from Bland, pp. 8-9.) 라덱의 기사는 32페이지짜리 팜플렛으로 출판되었다: Zodchii sotsialisticheskogo obshchestva.(Architect of socialist society) Moscow: Partiinoe izdatel’stvo, 1934).

부하린(BUKHARIN): 나는 그러한 사건 하나를 기억한다. 끌리멘뜨 에프레모비치[보로쉴로프]의 지시에 따라, 나는 붉은 군대에 관한 기사를 적었다. 그곳에서 보로쉴로프, 스딸린과 다른 사람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스딸린이 “당신은 거기에 무엇을 적고 있는 중인가?”라고 말했을 때, 누군가 날카롭게 대꾸를 하였다: “어떻게 그가 그런 종류의 내용4)을 적지 않을 수 있는가?” 나는 이 모든 것들을 아주 간단하게 설명했다. 나는 스딸린 개인에 대한 숭배를 창조할 이유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내가 아는 바로는, 그것이 적절했다.

소스노프스끼(SOSNOVSKY): 그리고 내가 보건대, 당신은 그것을 본질적이라고 생각했다.

부하린(BUKHARIN): 당신이 이전의 반대자라는 아주 단순한 이유 때문이다. 나는 이것에는 잘못된 것이 없다고 본다.

Voprosy Istorii No. 3, 2002, p. 28

5) 흐루쇼프와 미꼬얀(Mikoian)

흐루쇼프 자신은 “개인숭배”를 강화하는 데, 가장 큰 죄를 지은 사람 중의 한 사람이었다 (Bland, 9-11).

“‘vozhd’[‘지도자’, 독일어 ‘총통(Fü̈hrer)’에 해당한다]라는 용어를 도입했던 사람은 바로 흐루쇼프였다. 1932년 1월 모스끄바 당의 회의에서, 흐루쇼프는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연설을 마쳤다:

“모스끄바 볼세비끼들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레닌주의 중앙위원회 주위에 결집했고, 우리 당의 vozhd, 스딸린 동지의 주위에 결집했다. 모스끄바 볼세비끼들은 사회주의를 위한 전투에서, 전 세계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위한 전투에서, 새로운 승리를 향해 환호하며 자신 있게 행진하고 있다.” (Rabochaia Moskva, 26 January 1932, cited in: L. Pistrak: The Grand Tactician: Khrushchev’s Rise to Power, London; 1961; p. 159).

1934년 1월 17차 전당대회에서 스딸린을 “… 천재적인 ‘지도자’(‘vozhd’ of genius)”라고 불렀던 사람은 바로 흐루쇼프였고, 흐루쇼프 혼자만이 그렇게 불렀다. (“nashego geneal’nogo vozhdia tovarishcha Stalina”) (ⅩⅦ S’ezd Vsesoiuznoi Kommunisticheskoi Partii (B); p. 145, cited in: L. Pistrak: ibid; p. 160).

흐루쇼프 비밀연설의 사본은 다음의 주소에 있다.

http://www.hrono. ru/vkpb_17/6_4.html

1936년 8월 레프 까메네프와 그리고리 지노비에프의 반역죄 재판 동안, 모스끄바 당 서기의 자격으로 흐루쇼프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불쌍한 피그미들(pygmies)! 그들은 모든 인간 중 가장 위대한 사람… 우리의 현명한 ‘지도자’(vozhd), 스딸린 동지에 반대하는 기치를 높이 쳐들었다… 그대, 스딸린 동지는 전 세계에 맑스-레닌주의의 위대한 깃발을 들어 올렸고, 전진했다. 우리는 스딸린 동지 그대에게 보증한다. 모스끄바 볼세비끼 조직 — 스딸린주의 중앙위원회의 충실한 지지자 — 은 스딸린주의자의 (적들에 대한: 역자) 경계를 더욱 더 증대할 것이며, 뜨로츠키파-지노비에프파 잔존자들을 박멸할 것이고, 당원들과 비당원들을 위대한 스딸린과 스딸린주의 중앙위원회 주위로 더욱 더 결집시킬 것이다.” (Pravda, 23 August 1936, cited in: L. Pistrak: ibid.; p. 162. The entire speech reprinted in N. G. Tomilina, ed. Nikita Sergeevich Khrushchev. Dva Tsveta Vrenemi. Dokumenty iz lichnogo fonda N. S. Khrushchev. Tom 1 (Moscow: Mezhdunarodnyi Fond 《Demokratiia》, 2009), pp. 440-456.)

1936년 11월 제 8차 쏘비에트 연방의회에서, 의회 승인을 받기 전의 새로운 쏘비에트 헌법을, ‘스딸린주의 헌법’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제안했던 사람은 바로 또 다시 흐루쇼프였다. 왜냐하면,

“… 스딸린 동지가 직접 그 헌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작성했다.”

(Pravda, 30 November 1936, cited in: L. Pistrak: ibid.; p. 161).

그 당시 수상이던 브야체슬라프 몰로또프와 레닌그라드 당 서기이던 안드레이 쯔다노프는, 헌법의 초안작성에 있어, 스딸린의 어떠한 특별한 역할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같은 연설에서 흐루쇼프는 ‘스딸린주의’라는 용어를 새로 만들었다:

“우리의 헌법은 전 세계의 1/6을 정복했던 맑스주의-레닌주의-스딸린주의이다.” (Ibid).

1937년에 있었던 게오르기 뺘따꼬프(Georgii Piatakov)(23)와 칼 라덱(Karl Radek)의 반역죄 재판 당시에, 모스끄바에서 200,000명의 청중들에게 행한 흐루쇼프의 연설은 비슷한 맥락이었다:

“스딸린 동지에 반대하는 그들의 손을 들어 올림으로써, 그들은 인류가 가진 최선의 모든 것에 반대하는 손을 들어올렸다. 왜냐하면 스딸린은 희망이다; 그는 기대하고 바라는 것이다; 그는 모든 진보적인 인류를 안내하는 봉화이다. 스딸린은 우리의 깃발이다! 스딸린은 우리의 의지이다! 스딸린은 우리의 승리(victory)이다!” (Pravda, 31 January 1937), cited in: L. Pistrak: ibid.; p. 162. Entire speech at Tomilina ed., Nikita Sergevich Khrushchev T. 1 pp. 465-8; this exact passage at top of p. 467).

1939년 3월, 흐루쇼프는 스딸린을 “… 우리의 위대한 천재, 우리가 가장 사랑하는 스딸린,”이라고 묘사했다. (Visti VTsVK, 3 March 1939, cited in: L. Pistrak: Ibid.; p. 164)

1939년 3월 18차 전당대회에서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 인류의 가장 위대한 천재, 우리를 공산주의로 이끌어주는 스승이자 ‘vozhd'(지도자), 우리만의 스딸린” (ⅹⅧ S’ezd Vsesoiuznoi Kommunisticheskoi Partii (b.), p. 174, cited in: L. Pistrak: ibid., p. 164).

그리고 1945년 5월에는 “… 승리의 위대한 사령관.”으로 묘사했다. (Pravda Ukrainy, 13 May 1945, cited in: L. Pistrak: ibid,; p. 164).

 

미꼬얀(Mikoian)

1929년 12월 스딸린의 50회 생일 축하연에서, 아나스따스 미꼬얀(Anastas Mikoian)은 축하를 하면서 다음과 같은 요구를 덧붙였다.

“… 대중들의 정당한 요구에 부응하여, 우리가 마침내 그의 전기에 대한 작업을 시작하여, 당과 우리 조국의 모든 근로인민들이 그 전기를 이용가능하게 만드는 것.” (Izvestia, 21 December 1929, cited in; L. Pistrak: ibid,; p. 164).

10년이 지난 후, 1939년 11월 스딸린의 60회 생일 축하연에서, 미꼬얀은 여전히 스딸린의 “… 과학적인 전기(傳記)”의 창조를 주장하고 있었다. (Pravda, 21 December 1939, cited in: L. Pistrak: ibid,; p. 158).

개인숭배에 대해 스딸린이 의심하다투오미넨(Tuominen), 포이히트방거(Feuchtwanger)(블란트(Bland), 12)

숨어 있는 수정주의자들이 ‘개인숭배’의 뒤에 있던 주요 세력이었다는 사실을, 스딸린 자신은 모르지 않았다는 것을, 1935년 핀란드의 수정주의자 투오미넨이 보고했다. 투오미넨은, 스딸린이 자신의 흉상이 모스끄바의 대표적인 화랑 뜨레땨꼬프(Tretyakov)의 눈에 잘 띄는 장소들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는 정보를 듣게 되었을 때, 어떻게 소리쳤는지 서술했다.

“그것은 완전히 파괴행위이다” (A. 투오미넨: op. cit.; p. 164).

Bland, 12-13(fm Tuominen)—Bill Bland, “The Cult of the Individual,”

http://www.mltranslations.org/Britain/StalinBB.htm 블란트는 “개인숭배”에 대해 스딸린이 반대했던 아주 많은 증거들을 수집하였다.

독일의 작가 포이히트방거(Feuchtwanger)(24)는 1936년, 자신에 대한 불신을 조장할 목적으로, ‘개인숭배’가 ‘파괴분자들’에 의해 조성되어지고 있다고, 스딸린이 의심했다고, 확신한다:

“그렇게 숭배되는 것은 스딸린에게 분명히 곤혹스러운 일이고, 때때로 그는 그것을 조소했다… 모든 사람들 중에서 나는 누가 권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고 있다. 스딸린은 가장 수수한 사람이다. 나는 그에게, 그에 대한 저속하고 과도한 개인숭배에 관하여 솔직하게 말했고, 그는 똑 같이 솔직하게 대답했다… 그는, 자신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기 위해 시도하는 개인숭배의 뒤에, ‘파괴분자들’이 숨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L. Feuchtwanger: Moscow 1937; London; 1937; p. 93, 94-95).

스딸린은 스딸린 훈장을 제정하는 것을 거부하였는데, 스딸린 훈장은 1945년 5명의 정치국 위원에 의해 처음으로 제안되었고, 1949년 그의 70회 생일에 다시 제안되었다. 그것은 그가 죽고 난 이후에야 제정되었다.

쏘련 공산당(볼세비끼) 중앙위원회의 정치국에서

정치국의 고려로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의들을 제시한다:

1. “승리” 훈장을 스딸린 동지에게 수여하는 것;

2. “쏘련의 영웅”이라는 칭호를 스딸린 동지에게 수여하는 것.

3. 스딸린 훈장을 제정하는 것.

4. 모스끄바-민스끄 고속도로의 모스끄바 입구에 승리의 스딸린 아치(Stalin arch)를 세우는 것.

우리는, 상응하는 법령이 최고 쏘비에트의 7차 회의 동안 받아들여질 것을 제안한다.

22.Ⅵ.45

V. 몰로또프

L. 베리아

G. 말렌꼬프

K. 보로쉴로프

A. 미꼬얀

—V. A. 두로프(Durov),”Orden Stalina Stalin ne utverdil”, Rodina No. 4, 2005.

At http://chss. montclair.edu/english/furr/research/durovorden.pdf

마지막 두 가지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왼쪽 부분에 펜으로 쓰여진 “나의 문서고. J. 스딸린”이라는 글이 있다.

스딸린은 자신의 이름을 따서, 모스끄바의 이름을 새로 짓는 것을 거절하였다

1937년-1938년에 모스끄바를 “스딸리노다르((Stalinodar)—스딸린의 선물(gift of Stalin)”이라고 이름을 새로 짓자는 제안이 나왔다.

그러나 이 이름을 새로 짓는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다. M. I. 까리닌은, 쏘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USSR—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RSFSR-Royal Soviet Federated Socialist Republic)의 최고 쏘비에뜨 상임간부회에게, 스딸린이 이 제안에 대해 절대로 반대한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모스끄바는 모스끄바로 남았다.

—B. A. Starkov, “Kak Moskva chut’ne stala Stalinodarom.” Izvestiia TsK KPSS. 1990, No. 12, pp. 126-127.

At http://chss. montclair.edu/english/furr/research/stalinodar.pdf <노사과연>


1) 역자: 그루지야 공화국의 수도인 Tbilisi의 옛 이름.

2) 역자: 독일어의 총통((Fü̈hrer)에 해당한다.

3) 역자: 스딸린이 누군가를 지칭했는데, 후일 문서가 위조된 것으로 보인다.

4) 역자: 스딸린을 칭송하는 내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노사과연

노동운동의 정치적ㆍ이념적 발전을 위한 노동사회과학연구소

0개의 댓글

연구소 일정

3월

4월 2024

5월
31
1
2
3
4
5
6
4월 일정

1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3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4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5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6

일정이 없습니다
7
8
9
10
11
12
13
4월 일정

7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8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9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0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1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2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3

일정이 없습니다
14
15
16
17
18
19
20
4월 일정

14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5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6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7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8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19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0

일정이 없습니다
21
22
23
24
25
26
27
4월 일정

21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2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3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4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5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6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7

일정이 없습니다
28
29
30
1
2
3
4
4월 일정

28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29

일정이 없습니다
4월 일정

30

일정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