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사회과학연구소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는 글은 관리자 임의로 통보 없이 삭제합니다.

칭기즈칸과 신돈

작성자
최성년
작성일
2019-09-12 06:02
조회
1567
* 칭기즈칸과 신돈.

- 칭기즈칸은 한 편에서는 "잔인한 학살자"라고 평가하고, 한 편에서는 "위대한 정복자"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칭기즈칸의 나라 몽골 공화국에서 그 후손들의 평가는 어떨가? 몽골 사람들은 칭기즈칸을 "국부(國父)"라고 평가하고, 역시 상당한 자부심과 중대한 의미를 둔다.

칭기즈칸에 대한 나의 생각은 이렇다.
칭기즈칸이 몽골을 통일하고, 이런 선포를 했다고 한다.

"이제부터 모든 몽골인들은 다 같은 형제다."

이 선포 하나로 가장 중요하게 칭기즈칸을 평가할 수 있을 것 같다. 몽골 민족 내의 모든 억압과 피억압은 사라졌다.
그 선포와 반대로 그 사회에 귀족이 있고 노예가 있었다면, 노예들이 싸움터에서 모든 것을 걸고 용감하게 싸워 세계를 정복할 수 있었겠는가? 귀족과 노예는 일치단결할 수 없다.
칭기즈칸의 평등 사상이 몽골을 세계최강 제국으로 만든 가장 큰 요인이었다고 본다. 그런 의미에서 칭기즈칸은 역시 위대한 사람이었다고 생각한다.

우리민족인 조선과 고구려(고려)도 한 때 서경을 도읍으로 만주 벌판에서 말달리며 위용을 떨쳤었다.
그 후 당나라 군대를 끌어들인 신라가 삼국시대를 통일하고 당군을 축출했다.
신라가 천년의 운명을 다 하고, 궁예가 다시 고려를 세웠다. 궁예의 부하였던 호족 왕건이 궁예를 몰아내고 후삼국을 통일했다.
원래 고려는 독립국이었고 황제국이었다. 그러다가 몽골의 지배를 받는 속국으로 전락했다.
어떤 개인이나 나라나 타자(他者)에 종속을 당하는 노예나 속국이 되면 자기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없게 되고, 맛이 간다.

고려는 어쩌다가 맛이 가게 된 것이었을가?
고려는, 처음에는 귀족 천민이 없는 평등사회였다. 근대 이전까지 농경중심 사회였기 때문에 땅이 대표적인 생산수단이었다.
그런데 소수의 세도가(호족)들이 점점 많은 땅을 가지게 되었다. 그들이 가지는 땅이 늘어날수록 그 반작용으로 땅을 잃는 백성이 생겼다.
땅을 잃은 백성은 드디어 소작농이 되기도 하고, 세도가문의 노비가 되었다. 신분이 생겨나고 심화되면서 기득권 상류사회는 부패하고, 못 사는 사람들은 비참한 꼴이 되었다.
그로써 평등한 몽골 시민들이 고려 땅에 쳐들어 왔을 때, 고려는 강력하게 항전하기는 했지만 결국 버텨낼 수는 없었던 것이다.
그 후 고려는 속국의 의무를 감당하며 충(忠)자 돌림 임금 하에 쇠락의 길을 걸었다. 그나마 속방으로 나라 명맥을 유지한 것은 고려가 교양(문명)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공민왕이 역사에 등장하여 개혁을 시도하며 원제국의 쇠퇴와 맞물려 다시 독립을 되찾고 부강해질 수 있었다.
개혁의 핵심은 역시 광종 황제의 '노비안검법'을 본받은 '전민변정도감'을 세워 백성에게 땅과 평민 신분을 되찾아준 것이었다.

믿을만한 개혁의 주체가 있을 때에는 개혁이라는 것이 될 수 있고, 집권한 자들이 믿을만한 개혁의 주체가 아니라고 여겨질 때에는 먼저 혁명을 해서, 혁명을 성공시킨 혁명가들이 개혁의 주체가 되어, 다음 단계로 역시 사회 개혁을 추진하는 것이다.
개혁을 해야 할 때에 개혁이 될 경우도 혁명이 될 경우도 안 된다면, 이도 저도 안 된다면 사회는 늙고 쇠퇴하게 되는 것이다. 최악의 경우는 멸망한다.

공민왕에게는 신돈이라는 개혁의 주체가 있었다.
신돈은 천민의 자식으로 태어나 '일인지하만인지상'의 지위에 오른 인물이다. 그가 그렇게 될 수 있었던 처세도 귀감이 된다.
앞서 칭기즈칸이 위에서 "모든 몽골인을 형제처럼 평등하다"고 선포했다고 하였는데, 신돈은 매골승이었던 시절에 다른 사람들에게 신분의 귀천을 따지지 않고 존중하며 대했다고 한다.
그런 신돈을 사람들이 추앙하며 "미륵"이나 "생불"처럼 추앙했고, 공민왕이 신돈을 직접 찾아가 만나기도 하고 결국 공민왕의 절대적인 신임까지 받게 되었던 것이다.
칭기즈칸의 선포와 신돈의 처세, 그들의 미덕(美德)은 후세를 사는 우리에게 개인과 나라의 주권에 대해서 한껏 깨우쳐준다.

칭기즈칸은 몽골인들이 충분히 국부로 치켜세워줄만한 사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에비해 일부 사람들이 민국의 국부라고 해대는 이승만이나 박정희는 말할 가치도 없다고 생각한다.
끝으로 하고 싶은 말은, 지금 민국은 개인이나 나라에 주권이 있는지 한 번 다 함께 생각해보았으면 한다.
개인들 간에 계급은 없는가? 건물주나 집주인 멕여살려주는 세입자는 없는가? 자본가들 멕여살려주는 자본세입자, 노동자는 없는가? 빚쟁이들 멕여살려주는 빚쟁이들은 없는가? 극빈자, 노숙인은 없는가?
나라에 주권은 있는가? 속방으로서의 명맥만 유지하는 "대한미국"은 아닌가?

지금은 사회 개혁을 해야 할 때다. 빈부 양극화는 통계를 낼 때마다 부레이크 없이 계속 악화일로다.
그런데 지금 집권자들 중에는 믿을만한 개혁의 주체가 보이지 않는다. 개혁의 대상이 개혁의 주체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자기의 권리가 100에서 갑자기 50이나 10으로 떨어지면 사람들은 혁명을 떠올릴 것이다.
그런데 자기의 권리를 100에서 99, 98, 96, 95, 이런 식으로 서서히 양보한다면 혁명을 하기에는 좀 뜬금 없고, 서서히 노예화되며 맛이 가는 것이다. 이것이 지금 기득권의 지배 방식이다.
대한제국도 개항 이후 서서히 침탈당하여 군권을 일제에 양도하고, 외교권을 빼앗기고 세계재벌 개인들에게 진 나라빚 1300만원의 권리를 주장하며 국권까지 강탈해간 것이다.
최후의 발광(發光)이었던 동학 농민 혁명이 미완이 됨으로써 나라의 운명이 서서히 꺼져간 것이다. 을사늑약 이후 일제는 "개인의 총기 무장 권리"를 불법화했다.

민국은 imf 이후 대한제국의 상황과 유사하게 흘러가고 있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강자가 약자를 자유롭게 약탈하는 무역 협정 ⇔ 반反 : 공정무역)을 채결하고 도로나 지하철에도 외국 자본이 촉수를 꽂았다. 국가총부채는 1경원을 돌파했다.
"대한제국의 황제는 대한제국의 군권軍權을 일본제국 천황에게 허여許與하고 일본제국 황제는 이를 수락한다.", 이 말과
"대한민국은 전시작전권을 미합중국에 허여許與하고, 미합중국은 이를 수락한다."는 솝화(SOFA)협정의 내용이 왠지 비슷한 느낌이지 않은가?

대한의 모든 인민은 전부 자기 집을 가져 기회의 평등(없이 과정의 공정 없고 결과의 정의 없다)을 쟁취해야만 하고, 빚이라는 제도를 소멸시켜야만 한다.
그것을 모든 인민의 총기 무장 권리로서 이루어진다. 그것은 모든 사람이 존중 받는 길이고 개인에게 주권이 생기는 길이다. 개인에게 주권이 생기면 그로부터 나라도 주권이 생긴다.

* 당면적 강령은 이 3가지이다.
1. 경제적 민주주의는 공산주의이고, 정치적 민주주의는 공화주의다.
2. 경제적 공화주의 없이 정치적 공화주의는 요원하다.
3. 모든 사람이 총기로 무장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것만이 실질적인 민주주의다.

- 세상 모든 사람이 다 바보가 아닌 한 그대로 된다.
전체 0

연구소 일정

2월

3월 2024

4월
25
26
27
28
29
1
2
3월 일정

1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

일정이 없습니다
3
4
5
6
7
8
9
3월 일정

3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4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5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6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7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8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9

일정이 없습니다
10
11
12
13
14
15
16
3월 일정

10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1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2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3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4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5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6

일정이 없습니다
17
18
19
20
21
22
23
3월 일정

17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8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19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0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1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2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3

일정이 없습니다
24
25
26
27
28
29
30
3월 일정

24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5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6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7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8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29

일정이 없습니다
3월 일정

30

일정이 없습니다
31
1
2
3
4
5
6
3월 일정

31

일정이 없습니다